• Title/Summary/Keyword: STELLA model

Search Result 22,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Development of Model Linking Pilot System (WaterRing) for IWRM (통합수자원 모델 연계 파일럿 시스템 (WaterRing) 개발)

  • Lee, Sung-Hack;Kim, Sung;Kang, Jae-Won;Lee, Mi-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024-2028
    • /
    • 2007
  • 우리나라의 물관련 이슈는 수자원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 환경 등의 범위까지 확대되어 복합적이며, 기존 방법론과 기술만으로는 해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새로운 기술적/방법론적 도구 개발의 필요성에 따라 통합수자원관리가 하나의 방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통합수자원관리는 지속가능한 수자원관리를 목표로하며, 물과 이와 관련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는 통합적인 방법론이다. 그러므로 의사결정에 있어 전체론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세부적인 요소와 요소간의 연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통합수자원관리의 기반 도구 중의 하나인 통합수자원관리 모델링 환경인 WaterRing 시범시스템을 개발하였다. WaterRing은 모델연계에 있어 필수적인 표준성, 사용편의성 및 모델공유를 제공하며, 모델코드 자체보다 모델의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일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수자원분야 및 다양한 분야의 모델을 연계할 수 있다. 모델의 연계를 위하여 기본모델단위를 설정하고 각각의 기본모델단위의 결합을 통하여 보다 큰 시스템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본모델단위는 입력/상태/출력의 세 가지 기본요소와 내부수행 루틴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본모델단위 사이의 결합을 정의하기 위하여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Arkin, 2002)와 STELLA의 모델 결합방식을 활용하였다. 기본모델단위는 독립적인 수행단위로 표준적인 입력과 출력을 수행한다. 따라서 입력과 출력의 속성이 같은 기본모델단위는 결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시범적으로 개발된 수자원통합모델링환경 WaterRing은 통합수자원관리의 실현에 있어 평가, 계획에 이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향후 시스템의 개발이 완료되면 우리나라의 통합수자원관리의 실현을 위한 기반도구로서 많은 역할이 기대된다. 홍수기에 측정된 성과를 바탕으로 고수위대의 수위-유량관계 곡선식을 개발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일부 확인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자연하천이 아닌 감조하천의 경우는, 각각의 수위대별 유량 값의 변화가 발생하는 바 기간별 혹은 간조와 만조부를 포함하여 유량측정을 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청폐화담탕(淸肺化痰湯)은 LPS로 유도된 macrophage에서 NO와 염증Cytokine 생성량을 억제하였고 murine macrophage에서 NF-${\kappa}$B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iNOS와 염증Cytokine 유전자 발현을 하향조절 하였다. 이러한 청폐화담탕(淸肺化痰湯)의 항염작용으로 천식, 기관지염, 폐렴, 결핵, 산후감모 등의 호흡기 질환에 응용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im}$5개월), 9.44${\pm}$1.05 6${\sim}$ll개월)으로 개월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유사한 비율을 나타내었다. 분획물(첨가농도 15.6 ${\mu}$g/ml)은 60%의 저해효과를 나타내면서 농도 의존적으로 그 저해효과가 컸으며 250 ${\mu}$g/ml 농도에서는 80%의 저해효과를 관찰 할 수가 있었다. 에틸아세테이트분회물의 경우 디글로로메탄 분회물에 비해 다소 낮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지만 250 ${\mu}$g/ml 농도에서 약 60%의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디클로로메탄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의한 면역 활성 증진 효과를 검토한 결과, 디글로로메탄 분획물은 첨가농도 1 ${\mu}$g/ml에서 94%로 Yac-1표적세포를 사멸시켰으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도 동일 농도에서 96%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CTLL세포를 이용

  • PDF

Business Application of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or Apparel Classification Using Runway Image (합성곱 신경망의 비지니스 응용: 런웨이 이미지를 사용한 의류 분류를 중심으로)

  • Seo, Yian;Shin, Kyung-shik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4 no.3
    • /
    • pp.1-19
    • /
    • 2018
  • Large amount of data is now available for research and business sectors to extract knowledge from it. This data can be in the form of unstructured data such as audio, text, and image data and can be analyzed by deep learning methodology. Deep learning is now widely used for various estimation, classification, and prediction problems. Especially, fashion business adopts deep learning techniques for apparel recognition, apparel search and retrieval engine, and automatic product recommendation. The core model of these applications is the image classification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 CNN is made up of neurons which learn parameters such as weights while inputs come through and reach outputs. CNN has layer structure which is best suited for image classification as it is comprised of convolutional layer for generating feature maps, pooling layer for reducing the dimensionality of feature maps, and fully-connected layer for classifying the extracted features. However, most of the classification models have been trained using online product image, which is taken under controlled situation such as apparel image itself or professional model wearing apparel. This image may not be an effective way to train the classification model considering the situation when one might want to classify street fashion image or walking image, which is taken in uncontrolled situation and involves people's movement and unexpected pose. Therefore, we propose to train the model with runway apparel image dataset which captures mobility. This will allow the classification model to be trained with far more variable data and enhance the adaptation with diverse query image. To achieve both convergence and generalization of the model, we apply Transfer Learning on our training network. As Transfer Learning in CNN is composed of pre-training and fine-tuning stages, we divide the training step into two. First, we pre-train our architecture with large-scale dataset, ImageNet dataset, which consists of 1.2 million images with 1000 categories including animals, plants, activities, materials, instrumentations, scenes, and foods. We use GoogLeNet for our main architecture as it has achieved great accuracy with efficiency in ImageNet Large Scale Visual Recognition Challenge (ILSVRC). Second, we fine-tune the network with our own runway image dataset. For the runway image dataset, we could not find any previously and publicly made dataset, so we collect the dataset from Google Image Search attaining 2426 images of 32 major fashion brands including Anna Molinari, Balenciaga, Balmain, Brioni, Burberry, Celine, Chanel, Chloe, Christian Dior, Cividini, Dolce and Gabbana, Emilio Pucci, Ermenegildo, Fendi, Giuliana Teso, Gucci, Issey Miyake, Kenzo, Leonard, Louis Vuitton, Marc Jacobs, Marni, Max Mara, Missoni, Moschino, Ralph Lauren, Roberto Cavalli, Sonia Rykiel, Stella McCartney, Valentino, Versace, and Yve Saint Laurent. We perform 10-folded experiments to consider the random generation of training data, and our proposed model has achieved accuracy of 67.2% on final test. Our research suggests several advantages over previous related studies as to our best knowledge, there haven't been any previous studies which trained the network for apparel image classification based on runway image dataset. We suggest the idea of training model with image capturing all the possible postures, which is denoted as mobility, by using our own runway apparel image dataset. Moreover, by applying Transfer Learning and using checkpoint and parameters provided by Tensorflow Slim, we could save time spent on training the classification model as taking 6 minutes per experiment to train the classifier. This model can be used in many business applications where the query image can be runway image, product image, or street fashion image. To be specific, runway query image can be used for mobile application service during fashion week to facilitate brand search, street style query image can be classified during fashion editorial task to classify and label the brand or style, and website query image can be processed by e-commerce multi-complex service providing item information or recommending similar i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