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SPA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43초

공간결합기를 이용한 Ka대역 20W급 SSPA 개발 (Development of the Ka-band 20watt SSPA (Solid State Power Amplifier) Using a Spatial Combiner)

  • 최영락;이종우;이수현;안세환;이만희;김홍락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31-238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단위 전력증폭기를 여러 개 결합하여 높은 출력을 얻을 때 결합 손실을 최소화하여 증폭기의 효율을 높이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도파관과 cavity 구조로 되어있는 공간결합기를 이용한 Ka 대역 공간결합증폭기를 제안하였다. 제작된 공간결합증폭기는 Ka 대역 20W급의 SSPA로서 GaN bare die를 이용하여 설계된 5W급의 단위 증폭모듈 8EA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Hybrid Radial 구조의 8-way 공간분배기와 공간결합기를 이용하여 단위증폭모듈을 결합하였다. 제작된 공간결합기의 출력 결합손실은 약 0.334dB이며 약 92.6%의 효율을 얻었다. 본 논문의 공간결합증폭기는 최대포화출력 10W, 전력부가효율 15%이상을 목표로 개발하였으며, 측정결과 최대포화출력 30W와 전력부가효율19%의 결과값을 얻었다.

키조개(Atrina pectinata) 패주를 이용한 조미 중간수분제품의 제조 및 품질특성 (Developm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asoned Dried Pen Shell Atrina pectinata Adductor)

  • 황영숙;황석민;오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632-639
    • /
    • 2018
  • To develop the high-value added seafood products from a regional speciality seafood, the seasoned dried pen shell Atrina pectinata adductor (SDPA) and seasoned smoke-dried pen shell adductor (SSPA) samples were prepared, and their optimal processing conditions, quality metrics, and shelf-life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SDPA and SSPA samples were produced by thawing of frozen pen shell adductor, and cutting it into 6-7 mm slices, hot-air drying ($60^{\circ}C$, 20 min) or smoking ($110^{\circ}C$, 20 min), seasoning ($4^{\circ}C$, 12 h) with seasoning powder (60% sorbitol, 15% sucrose, 16% salt and 9.0% monosodium glutamate), hot-air drying ($60^{\circ}C$, 3 h), torching, vacuum-packaging in a laminated plastic film bag, heat treating with hot-water ($85^{\circ}C$, 15 min), and cooling. The moisture content of SDPA and SSPA samples was 44.5 and 43.0%, respectively, and the water activity was 0.845 and 0.842. The total amino acids in SDPA and SSPA samples were 20,986.8 and 21,312.4 mg/100 g, respectively, and the major amino acids in both products were aspartic acid, serine, glutamic acid, proline, glycine, alanine, valine, leucine, phenylalanine, lysine and arginine. The primary minerals were Na, S, K and P. Incubating tests indicated that the quality of SDPA and SSPA samples was maintained for 30 days of storage.

비선형 보상을 위하여 Predistorter를 사용한 OFDM 통신 시스템에서 IBO와 BER의 관계 (Relation between IBO and BER in the OFDM Communication System using Predistorter for the Nonlinear Compensation)

  • 박주석;이강미;유흥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692-697
    • /
    • 2004
  •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통신 시스템은 다중 경로 간섭에 효과적이며, 대역효율이 우수한 통신 방식이다. 하지만, OFDM 신호는 높은 PAPR(peak to average power ratio)이 나타나므로 HPA(high power amplifier)에 의해 비선형 왜곡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는 HPA의 비선형을 보상하기 위해 predisotertor를 사용했을 때, IBO(input back off)에 따른 비선형 특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SSPA(solid state power amplifier)에서 IBO=0 ㏈일 경우인 포화점 동작에서는 오히려 predistorter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시스템 성능이 더 좋았다. 하지만, IBO=3 ㏈일 때는 predistorter를 사용하는 시스템이 좋은 성능을 보인다. 즉, 적절한 back-off를 해야만 predistorter의 성능이 발휘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predistorter의 이득이 발생되기 시작하는 threshold IBO를 OFDM 시스템의 sub-carrier 수와 SSPA의 비선형 파라메터 p 값에 따라 구하였다.

Ku-band의 소형 지구국용을 위한 8W 고출력 증폭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8W High Power Amplifier for VSAT at Ku-band)

  • 조창환;이찬주;홍의석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53-60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hybrid기법을 이용하여 무궁화 위성의 상향 주파수인 14.0-14.5 GHz에서 동작하는 위성 지구국용 8W 전력증폭기를 설계.제작하였다. 제작의 간편성 때문에 전체 전력 증폭기를 크게 구동 증폭부와 전력 증폭부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 설계.제작하였다 또 각 부에 DC 전원 공급을 위 한 바이어스 회로부를 같은 하우정내에 장착하여 무게 및 부피를 최소화하였다 제작된 전력 증폭기는 500 MHz대역폭 내에서 소신호 이득이 $26\pm1dB$, 입.출력 반사손실이 각각 7dB와 12dB이상이었다. 14 GHz, 14.25 GHz와 14.5 GHz 주파수에 대해 ldB 압축접의 출력전력은 39.0-39.2 dBm으로서 설계시 목표로 했던 출력전력 8W를 상회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SSPA 제작기법은 각종 radar 및 SCPC용 고출력 증폭기 설계 및 제작에도 적용할 수 있다.

  • PDF

전차 탑재 L-밴드 펄수 도플러 레이더 설계 및 제작 (L-band Pulsed Doppler Radar Development for Main Battle Tank)

  • 박규철;하종수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580-588
    • /
    • 2009
  • 전차 탑재 레이더는 기상에 관계없이 전천후로 대전차 미사일을 탐지하는 능동 방호 장치의 필수적인 센서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차 탑재 레이더의 설계, 제작 및 시험 결과를 제시한다. 레이더 시스템은 안테나부, 송수신부, 신호처리부의 3개의 LRU로 구성되며, 개발 기술은 패치 안테나, SSPA 송신기, coherent I/Q detector, DSP기반 도플러 FFT 필터, 적응 CFAR, TWS 추적기 및 위협 판단을 포함한다. 개발된 레이더 시스템의 설계 성능은 고정 및 기동 시험을 통하여 확인한다.

GaN 고출력 증폭기의 초소형 레이다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High-Power GaN SSPA for Miniature Radar)

  • 이상엽;이재웅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74-581
    • /
    • 2016
  • Trend on high-power GaN(Gallium Nitride) SSPA(Solid-State Power Amplifier) and its availability in miniature radar systems are presented. There are numerous studies on high-power GaN devices since they have some characteristics of high-breakdown voltage, high power density, and high-temperature stability. Recent scaled GaN technology makes it possible to apply it in SSPAs for W- and G-band applications, with increasing its maximum frequency. In addition, it leads to downsizing and power-efficiency improvement of SSPAs, which means that GaN SSPAs can be available in miniature radar systems. This study also shows radar performance and comparison in the case of using such SSPAs at three frequency bands of Ku, Ka, and W. Finally, we demonstrate prospects of scaled GaN SSPAs in future miniature radar systems.

L-band 위성통신 시스템을 위한 극소형 25 Watt 고출력증폭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ltra Small Size 25 Watt High Power Amplifier for Satellite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at L-Band)

  • 전중성;예병덕;김동일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2-27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hybrid 기법을 이용하여 INMARSAT 위성의 상향 주파수인 L-HAND(1.6265∼1.6465 GHz)에서 동작하는 위성단말기용 25 Watt C급 고출력증폭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제작의 간편성을 위해서 전력증폭기를 크게 구동증폭단과 전력증폭단으로 나누어 구현하였으며, 전력증폭단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단은 Motorola사의 MRF-640을 사용하여 2단으로 구성하였고, 전력증폭단은 MRF-16006과 MRF-16730을 사용하였다. 또 각 부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바이어스 회로부를 같은 하우징 내에 장착하여 무게 및 부피를 최소화하였다. 제작된 고출력증폭기는 20 MHz 대역폭 내에서 이득이 30 dB 이상, 입 ·출력 정재파비는 1.7 이하의 특성을 가졌다. 1.635 GHz 주파수에 대해 1 dB 압축점의 출력전력은 44 dBm 으로서 설계시 목표로 했던 출력전력 25 Watt를 상회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SSPA(Solid State Power Amplifier) 제작 기법은 각종 Radar 및 SCPC(Signal Channel Per Carrier)용 전력증폭기 설계 및 제작에도 적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