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SDP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8초

Non-IP 장치 제어를 위한 새로운 UPnP 브리지 구조 (A Novel Architecture of UPnP Bridge for Non-IP devices)

  • 강정석;최용순;김성훈;이광국;박홍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442-444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an architecture of UPnP Bridge that allows controlling Non-iP devices from UPnP control point, without modification to Non-IP device or UPnP control point implementations. UPnP devices must provide SSDP discovery, SOAP control and GENA event processes. To represent Non-IP devices to UPnP devices, UPnP Bridge provides these functionalities on behalf of Non-IP devices. We provides two method to interoperability between UPnP and Non-IP devices, Message Field Description, Non-UPnP Proxy devices. And solution to integrate heterogeneous networking standards(RS232C, CAN, IEEE1394, USB) is provided.

  • PDF

DPI/QoS를 이용한 DDoS 탐지 및 방어 시스템 설계 (A Design of DDoS Detection and Defense System using DPI/QoS)

  • 박현우;최찬호;김용훈;최간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62-365
    • /
    • 2015
  • DDoS 공격의 빈도와 규모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피해와 파급도 커지고 있다. 최근 동향에서 봇넷을 이용한 패킷 플루딩 공격이 여전히 상위 공격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공격유형으로는 TCP SYN, UDP fragment 및 SSDP 플루딩 공격 등이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공격들은 source IP가 변조된 악의적인 패킷을 대량으로 발생시켜서 공격대상 네트워크 인프라를 마비시킨다. DDoS 공격 탐지를 위해서는 내부로 유입되는 초당 패킷수와 사용자와 서버간의 연결이 네트워크 플로우수의 변화를 관측하는 것이 필요하며 방어를 위해 트래픽 제어 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서비스 분석 및 제어 기술인 DPI/QoS 솔루션을 이용한 플로우 기반의 DDoS 탐지 및 방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네트워크 모니터링과 제어를 위하여 사용하던 DPI/QoS 솔루션에 DDoS 탐지 및 방어기능을 추가함으로써 효율성 및 경제성에서 강점을 가질 것으로 기대한다.

무선 LAN 환경에서 UPnP 홈네트워크 보안 취약점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Vulnerability of Security of UPnP Home-Network in Wireless LAN Environment)

  • 한설흠;권경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086-1089
    • /
    • 2009
  • UPnP(Universal Plug and Play) 홈네트워크에서 무선랜은 위치에 상관없이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 하지만, AP(Access Point)는 해킹을 통한 MAC 주소 및 SSID(Service Set Identifier), WEP(Wired Equivalent Privacy)의 암호를 쉽게 알 수 있어 보안에 취약하다. 또한 UPnP 는 TCP/IP 를 사용하는 인터넷 표준과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고 HTTP, UDP, SSDP, GENA 등의 표준 프로토콜을 사용하기에 보안 대책에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댁외에서 UPnP 홈네트워크에 사용되는 AP 를 해킹하고, 해킹한 AP 정보를 이용하여 UPnP 홈네트워크의 디바이스 정보를 취득하고, 댁내 컨트롤 포인트(Control Point)를 해킹하여 MAC 주소 및 IP 주소를 댁외 컨트롤 포인터로 변조하여 UPnP 홈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실험으로 UPnP 홈네트워크 보안의 취약점에 대해 분석한다.

복합재료 쌍동형 초고속선의 최적 구조 설계 - 최소 중량 설계 (The Optimum Structural Design of the High-speed Surface Effect Ship using Composite Materials - Minimum Weight Design)

  • 장창두;김호경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5권2호
    • /
    • pp.94-103
    • /
    • 1998
  • 최근 선박의 고속화와 경량화가 중요시되면서 고속화에 적합한 선형과 경량화를 위한 재질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속화와 경량화에 적합한 복합재료를 이용한 쌍동형 초고속선의 최소 중량 설계를 위한 구조 설계 기법과 전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합재료의 대표적인 구조 형식인 샌드위치 형식과 Single skin 형식, 두가지가 혼용되는 Hybrid 형식에 대하여 각각 최적 설계를 수행하여 우열을 비교 검토하였다. 설계과정은 먼저 종강도 관점에서 주요 부재의 최적 설계를 수행하고, 쌍동선형 특유의 비틀림 모멘트를 고려하여 횡부재 설계를 수행하였다. 전체적인 설계 알고리즘은 미해군의 군함설계방법(Structural Synthesis Design Program)을 따르고 설계하중, 강도기준은 DnV 선급규정을 적용하였으며, 최적화 알고리즘은 ES 1+1을 사용하였다.

  • PDF

UDP-Based Active Scan for IoT Security (UAIS)

  • Jung, Hyun-Chul;Jo, Hyun-geun;Lee, Heej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5권1호
    • /
    • pp.20-34
    • /
    • 2021
  • Today, IoT devices are flooding, and traffic is increasing rapidly. The Internet of Things creates a variety of added value through connections between devices, while many devices are easily targeted by attackers due to security vulnerabilities. In the IoT environment, security diagnosis has problems such as having to provide different solutions for different types of devices in network situations where various types of devices are interlocked, personal leakage of security solutions themselves, and high cost, etc. To avoid such problems, a TCP-based active scan was presented. However, the TCP-based active scan has limitations that it is difficult to be applied to real-time systems due to long detection times. To complement this, this study uses UDP-based approaches. Specifically, a lightweight active scan algorithm that effectively identifies devices using UPnP protocols (SSDP, MDNS, and MBNS) that are most commonly used by manufacturers is proposed.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is study have shown that devices can be distinguished by more than twice the true positive and recall at an average time of 1524 times faster than Nmap, which has a firm position in the field.

DRDoS 증폭 공격 기법과 방어 기술 연구 (A Study on Amplification DRDoS Attacks and Defenses)

  • 최현상;박현도;이희조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429-437
    • /
    • 2015
  • DDoS 공격은 주요 정부기관 및 기업의 서비스 시스템 및 웹사이트를 마비시키는 사이버 공격의 수단으로 지속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증폭기법을 이용한 DDoS 공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데 공격의 특징상 다수의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서버들에서 공격 트래픽이 발생하므로 정상 트래픽과의 구분이 어렵고 수백 Gbps 이상의 대규모의 공격 트래픽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탐지를 하더라도 방어를 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그리고 공격에 이용되는 프로토콜들 중에서 SSDP, SNMP등 일부 프로토콜들은 IoT 장비들에서 널리 사용되는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앞으로 공격에 이용될 수 있는 서버들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에 인터넷에 커다란 위협이 되고 있는 증폭 기법을 이용한 DDoS 공격들에 대해 이용되는 프로토콜별로 공격 기법을 분석한다. 또한, 공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공격을 방어하는 네트워크에 공격자가 존재하는 경우, 공격에 사용되는 서버가 존재하는 경우, 공격 대상이 존재하는 경우들로 나누어 각각의 상황에 취할 수 있는 대응 방법을 제안한다.

용수공급을 위한 댐 방류량 결정에서의 앙상블 유량 예측 효과 분석 (Analysis of 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 effect on deriving dam releases for water supply)

  • 김연주;김기주;김영오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12호
    • /
    • pp.969-980
    • /
    • 2023
  • 2000년대 이후 우리나라에 도입된 앙상블 유량 예측은 수문 예측 현업에서 성과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수자원 시스템 관리에서는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용수공급을 위한 수자원 관리 측면에서 앙상블 유량 예측의 효용성을 보이고자 댐 실무자들을 위한 간단한 가상 예제를 만들고, 이를 확장하며 실제 대한민국 다목적댐에 적용하였다. 가상 예제에서는 앙상블 유량 예측의 평균은 같지만 표준편차가 다를 때, 댐 운영 비용이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를 대한민국 다목적댐에 적용하기 위해 동일한 평균을 가지지만 표준편차가 평균과 동일한 유형W와 표준편차가 평균의 10배인 유형 P를 가정하여 용량 대비 연유입량 비율에 따라 소양강댐(CIR = 1.345)과 충주댐(CIR = 0.563)에 표본 추계학적 동적계획법으로 최적방류량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최적방류량으로 2020년부 2022년까지 모의 운영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충주댐에서는 표준편차가 적은 유형W에서 상대적으로 공격적인 최적방류량이 도출되었고, 모의 운영 결과 또한 양호함을 보였다. 소양강댐에서도 최적방류량에서 충주댐과 같은 결과를 보였지만, 모의 운영에서는 유형W와 P의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동일한 평균을 가지더라도 앙상블 유량 예측의 표준편차에 따라 다른 최적방류량과 모의 운영 결과가 도출되었고, 특히 용량 대비 연유입량이 작을수록 이러한 불확실성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함을 보였다. 본 내용을 바탕으로 현재 단일 대푯값만을 사용하여 댐 운영을 하는 수자원 관리에 개선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