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P

검색결과 4,589건 처리시간 0.039초

대청호에서 강우와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관계 (Relation between Rainfall and Phytoplankton Community in Daechung Reservoir)

  • 정승현;안치용;최애란;장감용;오희목
    • 환경생물
    • /
    • 제23권1호
    • /
    • pp.57-63
    • /
    • 2005
  • 2001, 2003년의 7월부터 10월까지 대청호에 위치한 댐 지역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 환경요인 및 강우량을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동안의 월평균 강우량은 2001, 2003년 각각 91.3, 265.3mm로 조사되었다. 최대 Chl. a의 농도는 2001, 2003년 각각 45.4, 131.5 ㎍ L/sup -1/로 조사되었다. 남조류 세포수는 2003년 최대 49,000 cells mL/sup -1/로 조사되었고, 2001년은 최대 200,000 cells mL/sup -1/ 이상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식물플랑크톤 군집에서 남조류의 상대 풍부도는 2001년 97%, 2003년 74%였다. 2001년은 Microcystis spp.가 조사기간동안 우점종으로 조사되었고, 2003년은 Oscillatoria spp., Phormidium spp. Chroococcus spp. 그리고 Microcystis spp. 순으로 우점종의 변화를 보여줬다. 결론적으로 강우량은 식물플랑크톤의 종 다양성 및 수화현상을 일으키는 남조류 세포 밀도에 영향을 주었다.

Fusarium spp.에 의한 호접란과 풍란류에 발생하는 뿌리 및 줄기기부썩음병 (Root and Basal Stem Rot of Moth Orchid (Phalaenopsis spp.), Pung-nan (Neofinetia falcata) and Nadopung-nan (Aerides japonicum) Caused by Fusarium spp.)

  • 김진원;천세철
    • 식물병연구
    • /
    • 제13권1호
    • /
    • pp.6-14
    • /
    • 2007
  • 2005년과 2006년에 걸쳐 경기도 남양주의 호접란(Phalaenopsis spp.), 풍란(Neofinetia falcata), 나도풍란(Aerides japonicum)을 재배하고 있는 온실재배농가에서 뿌리 및 줄기기부 썩음 증상이 발생되었다. 이들 난은 초기에는 시들음 증상을 나타내고 병든 개체의 잎들은 황화되거나 붉게 변하며 낙엽되고 결국 고사하였다. 병든 개체의 뿌리 및 하엽으로부터 59개 Furaium spp.를 분리하여 동정 한 결과 F. oxysporum, F. proliferatum, F. solani 3종으로 동정되었다. 이 중 F. oxysporum, F. proliferatum은 호접란과 풍란류에서 모두 분리되었고, F. solani는 호접란에서만 분리되었다. 병원성실험 결과 이들 3종 모두 병원성이 인정되었다. 비록 F. oxysporum, F. proliferatum, F. solani은 호접란에 대하여 뿌리썩음병원균으로 보고되어 있으나 풍란과 나도풍란에 대해서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F. oxysporum, F. proliferatum에 의한 풍란과 나도풍란의 뿌리 및 줄기썩음병을 처음 보고하는 바이다.

Penicillium citrinum 생육과 citrinin 생성에 미치는 젖산균의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Lactobacillus spp. on the Growth and Citrinin production by Penicillium citrinum)

  • 신동균;이용욱;김종규;정덕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19-126
    • /
    • 1991
  • Penicillium citrinum의 생육과 citrinin 생성에 젖산균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Penicillium citrinum을 치이즈 열성균인 Lactobacillus casei 및 Lactobacillus Bulgaricus와 혼합배의를 실시하였다. 즉 glucose를 7% 첨가한 APT 배지에 공식균을 각각 독립배의한 경우(Pc, Lb 및 Lc) , Penicillium citrinum 과 Lactobacillus spp.를 동시에 접종, 배양한 경우(ST; Pc+Lb 및 Pc+Lc) , Lactobacillus spp.를 접종하여 3일간 배양한 후 Penicillium citrinum을 접종하여 배양한 경우(LbPc 및 LcPc), 그리고 Penicillium citrinum을 접종하여 3일간 배양한 후 Lactobacillus spp.를 접종하여 배양한 경우 (PcLb 및 PcLc)로 구분하여 각각 30℃에서 15일간 정식 배의하면서 경시적으로 (0, 3, 6, 9, 12, 15일) 배의 액의 pH와 산도를 측정하고 공식균의 생육과 citrinin 생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 균의 생육은 혼합배의 의 경우 Penicillium citrinum의 성장이 크게 둔화되었고 특히 젖산균을 먼저 접종한 군(PcLb 및 PcLc)의 경우 더욱 현저히 나타났다. Citrinin의 생성은 곰팡이 대조군(Pc)과 곰팡이를 먼저 접종한군(PcLb 및 PcLc) 에서는 비슷한 함량을 보였으나 곰팡이와 세균을 동시 접종한 경우 (ST) 감소되었고, 특히 Lactobacillus spp. 배양 후 Penicillium citrinum을 접종한 군(LbPc 및 LcPc)에서는 citrinin 생성이 나타나지 않아 Penicillium citrinum의 생육과 citrinin 생성이 경쟁적으로 작용하는 microflora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시판 냉동식품에서 분리한 장구균의 항생제 내성 양상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s of Enterococcus spp. Isolated From Commercial Frozen Foods)

  • 박선희;김경식;유영아;이재규;정성국;한기영;김무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2-128
    • /
    • 2010
  • 2009년 4월부터 12월까지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 관리팀에 의뢰된 냉동식품 100건을 대상으로 일반세균수, 대장균군수, 대장균과 장구균의 오염도를 조사였으며, 분리된 장구균을 대상으로 하여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일반세균수는 평균 검출량이 $4.3{\times}10^4CFU/g$ 이고 대장균군수는 평균 검출량이 $4.3{\times}10^3CFU/g$ 이고 대장균은 100건 모두에서 불검출되어 0.0%의 검출률을 보였다. 100건의 검체 중 총 22건에서 장구균이 분리되었으며 이 가운데 12주는 E. faecium, 7주는 E. faecalis, 2주는 E. gallinarum, 1주는 E. hirae이었다. 분리균주의 항생제 내성률을 검사 한 결과, 내성을 나타내는 항생제들은 erythroycin, rifampin, teracycline ciprofloxacin, chlorampenicol, penicillin이며, vancomycin, ampicillin, gentamicin, strepomycin, linezolid에 대해서는 모두 감수성이었다. 또 22건의 분리 균주 중에서 2종 이상의 항생제에 다제 내성을 나타낸 균주가 15주나 되며 가장 많은 형태로는 6균주의 장구균에서 나타난 E-RA에 대한 것이었다.

조선시대 괘불탱 및 괘불궤 수종에 대한 연구 (Study Regarding Species Identification for Hanging Paintings and Hanging Painting Storage Boxes in Joseon Dynasty)

  • 김순관;최재완;정아름
    • 보존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35-548
    • /
    • 2016
  • 괘불탱은 불교에서 특별한 야외 법회 때 사용하는 대형 족자형 불화이다. 보관 시 괘불궤라는 보관상자에 보관한다. 괘불탱의 바탕재나 안료 등에 대한 연구 사례는 많으나 괘불탱의 괘불축과 괘불궤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에 제작된 괘불탱을 중심으로 수종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은 보은 법주사, 공주 마곡사, 예산 수덕사, 부안 개암사, 영천 수도사, 상주 북장사, 곡성 도림사, 양산 통도사, 예산 대련사 등 총 10건을 선정하였으며 시료 81점에 대해서 수종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괘불축 및 괘불궤에 사용된 수종은 소나무류 51점, 피나무속 8점, 노간주나무속 6점, 잣나무류 5점, 솔송나무속 4점, 미송속 3점, 망개나무속 2점, 문배나무속 1점, 대나무아과 1점으로 확인되었다. 솔송나무속과 미송속은 외래수종이며 보수 및 수리 과정에서 사용된 것으로 사료된다. 전체적으로 소나무류를 이용하여 괘불탱과 괘불궤를 제작하였고 잣나무류도 사용되었다. 불교문화에서 상징성을 갖는 피나무속도 괘불궤를 제작하는데 사용된 것으로 사료되며, 망개나무속과 노간주나무속과 같이 목조각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 수종도 식별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괘불탱 및 괘불궤에 진정성 있는 보존 연구에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광양만에서 TBTCl (Tributyltin Chloride) 내성세균의 분리 및 분해활성 (Isolation and Degradation Activity of a TBTCl (Tributyltin Chloride) Resistant Bacteriain Gwangyang Bay)

  • 정성윤;손홍주;정남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24-431
    • /
    • 2011
  • 본 연구에서 우리는 광양만의 해수와 표층 퇴적물에서 TBTCl 내성세균의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광양만에서 TBTCl 내성세균의 개체수는 해수에서 $2.5{\times}10^3-3.8{\times}10^3$ cfu/mL 범위였으며, 표층 퇴적물에서 TBTCl 내성세균의 개체수는 $3.2{\times}10^5-9.1{\times}10^5$ cfu/g 범위였다. 광양만에서 TBTCl 내성세균의 종조성은 Vibrio spp. (19.2%)가 가장 높은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Bacillus spp. (16.2%), Aeromonas spp. (15.2%), Pseudomonas spp. (13.1%), Klebsiella spp. (11.1%), Alteromonas spp. (9.1%), Pantoea spp. (6.1%), Proteus spp. (3.0%), Listeria spp. (2.0%), unidentified (5.0%)의 순으로 우점하였다. 또한 11개의 대표적인 TBTCl 내성균주는 여러 중금속들(Cd, Cu, Hg 및 Zn)에도 내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중에서 가장 강한 TBTCl 내성을 보이는 T7 균주를 선별하여, API 20NE등을 이용하여 본 균주의 형태학적, 생리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들을 조사하였다. T7 균주는 16S rRNA gene 염기서열 분석에 의해 Pantoea 속으로 동정되어 Pantoea sp. T7으로 명명되었다. 또한 본 균주는 $500{\mu}M$의 TBTCl 농도에서도 60시간 배양 후에 정상 균주 성장의 50.7%까지 증식하였다. Pantoea sp. T7의 생물학적 TBTCl 분해활성은 GC-FPD 분석에 의해 측정되었는데, $100{\mu}M$의 TBTCl 농도에서 배양 40시간 후에 TBTCl 제거 효율은 62.7%로 나타났다.

제주도에서 분리된 살모넬라균의 혈청형 및 유전학적 특성 (Serovars and Genetic Characteristic of Salmonella spp. Isolates from Jeju Island, South Korea)

  • 강은옥;조만재;양창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34-151
    • /
    • 2024
  • 살모넬라균은 가장 대표적인 수인성·식품매개질환 중 하나이며 전 세계적으로 인간 위장염, 설사 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이 되는 병원체이다. 식품 및 환경 검체, 식중독 또는 설사 환자로부터 분리한 살모넬라균의 혈청형, vitek2를 이용한 항생제 내성검사, PFGE를 이용한 유전적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제주도의 식품 또는 환경 검체에서 26주와 인체검체에서 313주로 총 339주가 분리되었다. 월별로 분리된 살모넬라균은 3월부터 서서히 증가하여 8월에 가장 많이 살모넬라균을 분리되었다. 환자로부터 분리된 살모넬라균은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살모넬라균은 70세 이상의 사람들에게서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10-19세 사이의 사람들에게서 가장 적게 분리되었다. 식품 및 환경 검체에서 분리된 살모넬라균은 8개 혈청형이 있었으며, 주요 혈청형은 S. Bareilly (26.9%), S. Rissen (23.1%), S. Thompson (19.3%) 순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인체검체로부터 분리된 살모넬라균은 27개 혈청형이 있었으며, 주요 혈청형은 S. Bareilly (31.0%), S. Typhimurium (24.6%), S. Enteritidis (11.5%) 순으로 확인되었다. 집단식중독의 원인이 되었던 살모넬라균 혈청형은 S. Bareilly, S. Enteritidis, S. Thompson이 있었다. 항생제 내성 검사 결과에서는 다양한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나타났으며, 일부 살모넬라균에서는 다제내성이 나타났다. 살모넬라균은 17개의 혈청형에 따라 다양한 유전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살모넬라균의 유행을 예측하고, 과학적 근거를 제공함으로써 역학조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시판 쇠고기의 Listeria spp. 오염 (Contamination of Listeria spp. in Market Beef)

  • 구동환;정충일;정동관;남은숙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89-95
    • /
    • 1995
  • Highly lethal Listeria monocytogenes, causing bromatoxism through vegetables, dairy products, meat products and shellfish etc, was examined for possible contamination in market beef. USDA, FDA, Malthus and Modified Cold Enrichment methods were used for the detection of Listeria spp.. Samples of domestic and imported market beef were collected from local meat shopsat Seoul, Korea. Total two hundreds and six of Listeria spp.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beef. Among 206 isolates, the number of L. welshimeri was one hundred and twenty-one(44.8%). The numbers of isolated L. innocua, L. murrayi, L. monocytogenes, L. grayi, L. seeligeri, and L. ivanovii were 49(18.1%), 14(5.2%), 12(4.4%), 6(2.2%), 2(0.7%), and 2(0.7%), respectively. Detection rates of Listeria spp. varied among four methods. The highest detection rate of Listeria spp. in market beef was found at USDA method and that of L. monocytogenes was found at Malthus method.

  • PDF

False Positive SOD Activity of Bifidobacterium spp. Grown in MRS Medium

  • Chang, Woo-Suk;So, Jae-Se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8권4호
    • /
    • pp.305-309
    • /
    • 1998
  • The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of seven Bifidobacterium spp. strains was examined by an indirect SOD assay method. Some Bifidobacterium spp. showed significant levels of SOD activity. However, we could not observ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naerobic and aerobic cultures. Furthermore, although several Bifidobacterium spp. exhibited some degree of tolerance to paraquat which produces superoxide radicals, the apparent SOD activity of these strains was not correlated with their resistance to paraquat. In addition, when we added increasing amounts of manganese or iron to MRS medium which had been prepared without either of the metal ions, the apparent SOD activity of cell free extracts (CFEs)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both metal ions. To our surprise, the heat-denatured CFEs also showed nearly identical correlative patter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apparent SOD activity was likely due to a nonenzymatic dismutation.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high concentration of divalent metal ions ($Mn^{2+}$, $Fe^{2+}$) in MRS medium result in nonenzymatic dismutation which can lead to false positive SOD activities in Bifidobacerium spp.

  • PDF

Endophytic fungi harbored in Chinese native gramineous plants

  • Wang, Zhiwei;Ji, Yanling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44-56
    • /
    • 2009
  • $Epichlo\ddot{e}$ endophytes, including Neotyphodium spp. and $Epichlo\ddot{e}$ spp., enhance plant growth, mediate more plant tolerance or resistance to biotic and abiotic stresses, and also synthesis various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in their host plants, and important in many areas. In early stages, most of $epichlo\ddot{e}$ endophytes were described during surveys practiced by American, European and Oceania scientists, while fungal endophytes within native Asian plants were poorly investigated. In recent years, an $Epichlo\ddot{e}$ sp. and 4 Neotyphodium spp. were described in cool season Chinese native gramineous plants. Most of Chinese native Neotyphodium spp. were presumed as hybrids originated from members of ETC and EBY. Investigation on NRPS genes shows lack of toxic ergopeptines and potential production of peramine. Biological and ecological roles of Chinese native $epichlo\ddot{e}$ endophytes should be investigated in future, and it will be very valuable if we can have some joint projects with Korean scientists for Asian native $epichlo\ddot{e}$ endophyt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