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T

검색결과 818건 처리시간 0.038초

게이트 심근 SPECT의 관동맥우회로술후 심근 벽운동 호전 예측능 (Predictive Values of Gated Myocardial SPECT for Wall Motion Improvement After Bypass Surgery)

  • 이동수;윤석남;송호천;김기봉;정준기;이명묵;이명철;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3-49
    • /
    • 1997
  • 이 연구에서 우리는 관동맥우회로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수술 전에 게이트 심근 SPECT에서 심근벽의 수축기 두꺼워짐을 보아 수술 후 심근벽 운동이상의 호전을 예측할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심근벽의 수축기 두꺼워짐이 좋은 분절은 생존심근이라 할 수 있었으나 심근벽의 수축기 두꺼워짐이 좋지 못하여도 생존심근이 아니라고 단정할 수 없었다. 심근벽 두꺼워짐 여부의 예측능은 심근 관류 감소의 중증도, 심근벽 운동 장애의 정도와 관련이 없었다. 게이트 심근 SPECT로 심근벽 두꺼워짐을 자극할 방법을 도입하고 자극 후 변화를 보는 방법으로 게이트 심근 SPECT를 시행하여 생존심근을 찾는 예민도와 음성예측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

  • PDF

아급성 뇌경색 환자에서 $^{99m}Tc$-HMPAO 및 $^{99m}Tc$-ECD 뇌 SPECT: 증례보고 (Brain SPECT Using $^{99m}Tc$-HMPAO and $^{99m}Tc$-ECD in Subacute Cerebral Infarction: Case Report)

  • 안병철;이동수;윤병우;소영;정준기;이명철;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70-575
    • /
    • 1996
  • 우리는 혈전 용해요법을 시행한 뇌경색 환자를 대상으로 과잉관류가 발생한 아급성기에 $^{99m}Tc$-HMPAO SPECT와 $^{99m}Tc$-ECD SPECT를 같은 날 실시하여 $^{99m}Tc$-HMPAO SPECT에서는 과잉관류 소견이 보이나, $^{99m}Tc$-ECD SPECT 에서는 결손으로 나타남을 관찰하였다. 이 환자는 임상적으로 신경학적 이상에 호전이 없이 증상 발생 42일째 사망하였다. 문헌을 검토하여 종합하고 우리 환자예를 분석한 결과 $^{99m}Tc$-HMPAO SPECT가 뇌혈류를 반영하여 관류회복과 과잉관류상태를 나타내었고, $^{99m}Tc$-ECD SPECT는 뇌세포의 대사 및 생존여부를 반영하여 뇌세포 손상이 넓고 심각함을 나타내었다고 보았다.

  • PDF

게이트심장혈액풀 스캔과 게이트심장혈액풀 SPECT를 이용한 심실기능의 평가 (Assessment of Ventricular Function Using Gated Blood Pool Scan and Gated Blood Pool SPECT)

  • 박석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0-106
    • /
    • 2005
  • Non-invasive evaluation of cardiac function by nuclear medicine technologies are one of the major contribution of nuclear medicine. Gated cardiac blood pool scan was once a novel and robust technique which enabled evaluation of ventricular function. Concept of EKG gating was one of the major breakthrough in nuclear cardiology. According to the evolution of echocardiographic techniques, and as the evaluation of myocardial perfusion by perfusion SPECT became feasible, number of gated blood pool study dong in nuclear medicine laboratory is declining. And recently, evaluation of ventricular function with gated perfusion SPECT further decreased the use of gated blood pool scan. In this article, assessment of ventricular function using gated blood pool scan is discussed including some insight about the role of gated blood pool SPECT.

$^{99m}Tc$-테트로포스민를 이용한 심근 SPECT 영상 재구성에서 $180^{\circ}$의 유용성 (Effect of $180^{\circ}$ Reconstruction in Myocardium SPECT($^{99m}Tc$-Tetrofosmin))

  • 최성욱;지용기;박훈;김기;석재동
    • 대한방사선협회지
    • /
    • 제29권1호
    • /
    • pp.67-71
    • /
    • 2003
  • 목적 : $^{201}T1$ 심근 SPECT 검사는 척추 및 근육에 의한 에너지 산란 감쇠 때문에 $180^{\circ}$ 재구성을 이용하지만 $^{99m}Tc$-Tetrofosmin 심근 SPECT 검사는 $360^{\circ}$ 재구성으로 보다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99m}Tc$-Tetrofosmin은 간에 과도하게 섭취되어 심장과

  • PDF

한의학적 치료로 $^{99m}Tc-HMPAO$ SPECT상 현저한 재관류를 보인 아급성기 중대뇌동맥경색 환자 1례 (Significant Reperfusion on $^{99m}Tc-HMPAO$ SPECT in a Case of Subacute MCA Infarction)

  • 박정미;정우상;서알안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37-442
    • /
    • 2001
  • For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it is well known that early luxury perfusion is related to a good clinical outcome and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SPECT) has the potential for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about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We report one case of Rt. MCA infarction mainly treated by oriental medicine and revealed luxury perfusion without thrombolysis. In acute stage, neurological deficits of the patient were very severe. 99mTc-HMPAO SPECT images obtained 10days after the attack showed large perfusion defect in the Rt. MCA territory. We followed up 99mTc-HMPAO SPECT 40days after the ictus. Despite of the poor early perfusion, we found considerably improved perfusion and neurological improvement.

  • PDF

방사성동위원소 위치에 따른 산업용 SPECT 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adioisotope Position on Performance of Industrial SPECT)

  • 문진호;김종범;정성희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45-249
    • /
    • 2012
  • Demand of fluid flow visualization has increased in industrial processes, because medical imaging technology is highly developed. As a part of the industrial process imaging technology, industrial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system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cross-sectional distribution of the process fluid. The SPECT consists of 36 NaI (Tl) detectors with the hexagonal configuration. Reconstructed images were acquired for various positions of radioactive source to estimate SPECT device performance.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Monte Carlo simulation results a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In general, the experimental and simulation results were consistent. However, as the source position was getting far from the center of the reactor, the accuracy of reconstructed images was compromised. It seems to be due to the inconsistent spatial resolution of the collimators according to the source position.

두경부 혈관종 진단시 $^{99m}Tc$-RBC Scan and SPECT 검사의 유용성 (Usefulness of $^{99m}Tc$-labeled RBC Scan and SPECT in the Diagnosis of Head and Neck Hemangiomas)

  • 오신현;노동욱;안샤론;박훈희;이승재;강천구;김재삼;이창호
    • 핵의학기술
    • /
    • 제12권1호
    • /
    • pp.39-43
    • /
    • 2008
  • 혈관종의 진단에 초음파(US), 전산화단층촬영영상(CT), 자기공명영상(MRI), 핵의학 검사 등 다양한 검사방법이 사용 될 수 있지만 $^{99m}Tc$ 표지 적혈구를 이용한 혈액풀 영상검사는 단일광자단층촬영(SPECT)의 발달로 혈관종을 확진하고 배제할 수 있는 가장 경제적일 뿐 아니라 비침습적이고 시행 하기도 쉬운 확실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간 혈관종 외 두경부 (head and neck) 혈관종 진단시 $^{99m}Tc$-RBC scan and SPECT 검사의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혈관종의 진단을 위해 본원 핵의학과에 내원한 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6명의 환자 중 두부 부위 4명, 경부 부위 1명은 혈관종이라 추정하였고, 1명은 혈관종으로 의심되었다. 변형 체내 표지법(modified in vivo method)을 사용하여 표지하고 원심침전시켜 혈장을 제거한 다음 $^{99m}Tc$-RBC를 순 간주사하였다. 혈류기 영상을 얻은 후 즉시 전면상, 후면상, 양측면상의 혈액풀 영상을 얻었고 4시간 후 동일한 지연 영상을 얻었다. SPECT 영상은 이중 검출기(dual head detector)를 이용하여 64 projections ($180^{\circ}$)을 시행하였고 각 projection당 30초간 집적하였다. 모든 영상을 재구성한 후에 3명의 핵의학과 전문의, 핵의학과 전공의 및 핵의학과 방사선사가 특별한 정보없이 영상을 검토하였다. 혈관종으로 추정된 5명의 환자는 혈류기 영상에서 방사능은 증가하지 않았고 혈액풀 영상에서 증가하였으며 지연 영상과 SPECT 영상에서 증가된 소견을 보여 전형적인 혈관종 소견을 보였다. 혈관종이 아닌 1명의 환자는 혈류기 영상과 혈액풀 영상에서 방사능 증가를 보였고, 지연 영상과 SPECT 영상에서 감소된 소견을 보여 혈관종이 아닌 것으로 판정되었다. 5명의 혈관종 환자의 병소 크기는 모두 2 cm 이상이었고 SPECT 영상이 지연영상과 비교하여 뚜렷하게 병소 감별을 할 수 있었다. 간혈관종뿐만 아니라 두경부 혈관종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비교적 경제적이고 비침습적이며 쉽게 시행할 수 있는 $^{99m}Tc$-RBC scan and SPECT 검사를 시행함으로써 초음파, 전산화 단층촬영영상, 자기공명영상 검사와 같은 다른 영상진단법과 함께 혈관종을 확진하고 배제하는데 의미있는 영상의학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두부외상후 만성 기질성 정신장애 환자에서 Tc-99m HMPAO Brain SPECT 분석 (Tc-99m HMPAO Brain SPECT in Patients with Post-Traumatic Organic Mental Disorder)

  • 이강욱;이종진;송민호;강민희;지익성;신영태;노흥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93-300
    • /
    • 1994
  • 두부외상후 후유증으로 기질적 정신장애를 호소하는 환자들에서 Tc-99m HMPAO 뇌혈류 SPECT 검사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교통사고 및 추락 등에 의한 두부외상후 평균 23개월이 경과되고, 지속적인 여러 정신적 장애를 호소하여 1991년 9월부터 1994년 3월까지 충남대학교병원에서 기질성 정신장애로 진단받고 Tc-99m HMPAO brain SPECT 검사를 시행한 29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정신감정결과, CT 및 MRI 결과와 Tc-99m HMPAO brain SPECT 결과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두부외상후 기질적 정신장애로 진단된 환자 모두가 Tc-99m HMPAO 뇌혈류 SPECT상 이상소견을 보였으며 MRI상에서는 57%, EEG검사에서는 33%만이 이상소견을 나타냈다. 2) 대상환자 28명중 중 SPECT상 가장 많은 병변은 양측 전두엽 혈류감소 소견(68%)이었으며 MRI 검사에서도 전두엽에 병변(43%)을 보이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3) MRI 검사상 병변부위에 SPECT상 정상 소견을 보였던 병변은 8예(22%)로 전두엽의 수활액낭종(hygroma) 4예, 작은 뇌경색부위 3예, 및 소뇌의 뇌연화증 1예 이었다. 4) MRI 검사가 정상인 환자 12명중 SPECT상 가장 많은 뇌내 병변은 양측 전두엽의 혈류감소(92%)소견이었다. 5) MMSE 검사상 20점 미만인 환자들에서 20점 이상인 환자군보다 EEG 또는 MRI상 이상소견을 보인 경우가 많았다. 이상의 결과로 저자들은 기질성 정신장애 환자에서 Tc-99m HMPAO 뇌혈류 SPECT는 MRI나 EEG보다 매우 예민한 검사방법으로 생각하였다.

  • PDF

심근관류 SPECT의 정량적 분석에서 관류정량값 정상변이의 고려: 생존심근 평가에서의 유용성 (Consideration of Normal Variation of Perfusion Measurements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Myocardial Perfusion SPECT: Usefulness in Assessment of Viable Myocardium)

  • 팽진철;임일한;김기봉;이동수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2권4호
    • /
    • pp.285-291
    • /
    • 2008
  • 목적: 심근관류 SPECT에서 자동정량화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관류 및 기능에 대한 객관적이고 재현성 높은 정량 값을 얻을 수 있지만, 이러한 정량값들을 이용할 때는 분절별로 적지 않은 정상변이가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관류에 대한 정량값에서 정상변이를 고려한 새로운 지표들을 유도하고, 이러한 지표들이 임상적 유용성을 가지는지 생존심근 평가를 통해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심근관류 SPECT에서 관류의 정상변이를 구하기 위해 55명(남:여=28:27)의 관상동맥질환 저확률군을 선정하였다. 이들에게서 $^{201}Tl$ 휴식기/$^{99m}Tc-MIBI$ 부하기 심근관류 SPECT를 실시하고, 20분절 모델을 이용하여 $^{201}Tl$ 휴식기 관류정량값에 대한 각 분절의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구하였다. 생존심근 평가를 위해서는 관상 동맥질환을 진단 받고 관상동맥우회로이식술(CABG)을 시행한 환자 48명을 연구대상에 포함하였다. 이들은 수술전 $^{201}Tl$ 휴식기/$^{99m}Tc$-MIBI 부하기 게이트/$^{201}Tl$ 24시간 지연 SPECT을 실시하였고, 수술 3개월 후 추적 게이트 SPECT를 실시하여 생존심근을 판정하였다. 수술 전 $^{201}Tl$ 24시간 지연 SPECT에서 분절별 $Q_{delay}$ (관류정량값), ${\Delta}_{delay}$ ($Q_{delay}$ - m), $Z_{delay}$ (($Q_{delay}$ - m)/SD)가 정의되었고 이들의 생존심근에 대한 진단성적은 수신자특성곡선 상의 곡선하면적(AUC)을 통해 평가하였다. 결과: 관류정량값은 분절 사이에 상당한 변이를 보여, 남자의 경우 최저치 분절에서 $51.8{\pm}6.5$, 최고치 분절에서 $87.0{\pm}5.9$였고, 여성의 경우 최저치 분절 $58.7{\pm}8.1$, 최고치 분절 $87.3{\pm}6.0$으로 나타났다. 생존심근에 대한 진단성능 평가에서 $Q_{delay}$의 AUC는 0.633인데 반해 ${\Delta}_{delay}$$Z_{delay}$의 AUC는 각각 0.735와 0.716으로 나타나 $Q_{delay}$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각각 p=0.001, 0.018). 가장 높은 AUC를 보인 ${\Delta}_{delay}$는, 최적분리점 -24.7에서 85%의 예민도와 53%의 특이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심근관류 SPECT의 자동 정량화 분석에서 관류정량값의 정상변이는 분절에 따라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을 고려하여 유도된 정량적 지표들은 직접적인 관류정량값에 비해 생존심근 진단에서 더 나은 진단성적을 보였다. 이 연구는 심근관류 SPECT의 정량적 분석에서 정상변이의 고려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경미한 급성 두부외상환자에서 SPECT, q-EEG 및 CT의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SPECT, q-EEG and CT in Patients with Mild, Acute Head Trauma)

  • 이석호;김진석;문희승;이숭구;김소연;김영중;박병익;이권전;김갑득;김호정;조경형;설현욱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65-169
    • /
    • 1993
  • Functional cerebral impairments have been verified objectively by brain SPECT and q-EEG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 Microcerebral circulatory defects without anatomical changes can-not be detected by the brain CT or MRI. Brain SPECT using $^{99m}Tc$-HMPAO (Hexamethyl propyleneamine oxime) as a key radioisotope may be accepted as the useful method for identifying functional cerebral impairments. We studied 25 patients with mild head trauma to define whether the SPECT was helpful in detecting cerebral impairment.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PECT was positive in 23 patients out of 25, q-EEG positive in 16 patients and brain CT was positive in 3 cases. SPECT and q-EEG were more sensitive than CT, SPECT would be more useful method than brain CT to investigate cerebral function after head inju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