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WNING SEASON

검색결과 300건 처리시간 0.03초

멸종위기 어류 꾸구리 Gobiobotia macrocephala (Pisces: Cyprinidae)의 번식생태 (Reproductive Ecology of an Endangered Species Gobiobotia macrocephala (Pisces: Cyprinidae), in Seom River, Korea)

  • 고명훈;송하윤;홍양기;방인철
    • 생태와환경
    • /
    • 제45권2호
    • /
    • pp.190-199
    • /
    • 2012
  • 멸종위기종 꾸구리의 번식생태를 밝히기 위하여 2010년 3월부터 2011년 2월까지 한강 지류인 섬강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비산란기의 암컷과 수컷은 형태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나 산란기에는 체장에 대한 체고와 체폭, 배지느러미 기점거리, 뒷지느러미 기점거리 등에서 차이를 보여 구별되었다. 성비(female; : male)는 1 : 1.01이었고, 산란기는 수온 $15{\sim}25^{\circ}C$인 4월말부터 6월 중순으로 추정되었다. 포란수는 평균 $2,134{\pm}930$개였으며, 성숙난의 크기는 $0.88{\pm}0.04mm$였다. 산란장소는 느린 여울부인 유속 13~24 cm $sec^{-1}$, 수심 12~18 cm의 3~10 cm의 자갈과 돌이 깔려있는 곳으로 추정되었다. 실험실 수조에서 Ovaprim을 주사하여 산란행동을 유도한 결과, 14~15시간 후에 암컷과 수컷이 수면 근처에서 1 : 1로 산란하였다.

Radio telemetry를 이용한 금강보 설치구간에서 쏘가리(Siniperca scherzeri)의 이동 특성 (Evaluation of the Movement Pattern of Siniperca scherzeri Using the Radio Telemetry in the Middle Part of the Geum-River where Wiers were Constructed Recently)

  • 백승호;윤주덕;김정희;박상현;이진웅;장민호;김수경;변명섭
    • 생태와환경
    • /
    • 제48권2호
    • /
    • pp.77-85
    • /
    • 2015
  • 쏘가리는 국내 주요 경제성 어종이며 방류 및 복원사업의 대상 어종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금강의 보 설치구간에서 쏘가리의 이동 특성 및 서식처 범위 등을 평가하기 위해 Radio telemetry를 이용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산란기에 방류한 개체들의 경우 방류 즉시 상류로 10km 이상 소상하였지만, 비 산란기에 방류한 개체들은 2개체를 제외한 모든 개체들이 방류 지점으로부터 400 m 이내에서 정착하였다 (Ss11, 3.2 km; Ss 15, 1.4 km). 산란기에 상류로 소상한 개체들이 정착한 지점의 서식처 특성은 기존에 알려진 쏘가리의 산란장 특성과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현재 퇴적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였다. 쏘가리가 감지는 수변부에서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이는 수변부에 큰 돌이 많이 분포하는 것, 쏘가리가 주로 돌 틈에 숨어서 서식하는 특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쏘가리의 개체 특성과 이동거리와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무게와 비대지수가 이동거리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성별과 크기는 이동거리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주기 이동 범위 분석 결과$214.94m^2{\sim}3,257.19m^2$로 나타났으며 주로 수변부에 국한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쏘가리 방류사업, 혹은 복원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모래주사 Microphysogobio koreensis(Cyprinidae)의 산란행동 (Spawning Behavior of Microphysogobio koreensis(Cyprinidae) in Korea)

  • 박종성;윤승운;김재구;김현태;박철우;김형수;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8-14
    • /
    • 2021
  • 멸종위기 담수어류 모래주사의 산란행동을 조사하기 위해 산란시기인 2012년 4월부터 5월까지 전북 임실군의 섬진강 일대에서 연구를 실시하였다. 모래주사의 산란은 무리산란 (group spawning)하는 어류와 달리 암수 한 쌍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수중으로 대량의 생식세포를 방출하여 산란하는 원시적인 생식모드 (broadcast spawner)로 확인되었다. 자연에서 모래주사의 산란행동은 휴식(resting), 유혹(male chase), 자극(body beating), 평행유영(parallel swim), 암컷의 산란회피(female withdrawal), 경쟁(male competition), 산란(spawning), 산란 후 난을 보호하는 행동은 보이지 않아(not guard) 총 8가지 행동을 보인 반면 수조 내에서는 휴식, 유혹, 자극, 평행유영, 산란, 산란 후 난을 보호하지 않은 6가지 행동이 관찰되었다. 특히 산란전 행동은 수조 내에서 보다 자연상태에서 더 빈번하게 일어났다. 이와 같은 행동적 차이는 작고 좁은 수조에서의 행동적 제약에 의한 결과로 추정된다.

잔가시고기 Pungitius sinensis koibaroe (Tanaka) (큰가시고기과, 어강)의 산란과 성장 (Spawning and Growth of eightspine stickleback, Pungitius sinensis kaibarae (Tanaka) (Gasterosteidae, Pisces), in the Chavans Stream, a tributary of Kumho River, Korea)

  • 채병수;양홍준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81-192
    • /
    • 1993
  • The spawning and growth of eightspine stickleback,Pungitius sinensis kaiborae (Tanaka, 19151, were investigated in the Chavang Stream from March 1990 to february 1991 as a part of study on its life history. Nest building, spavming and parental behaviors were similar to those known on the sticklebacks of Europe, North America and Japan. Bht f sinensis kaibarae in the Chayang Stream, peculiarly, showed only superficial gluing behavior in nest building phase and made two nurseries iust behind the nest in Parental Phase. The individuals with fully mature eggs were found from late February to late June. The fecundity of an adult female was about 21 to 110 (mean 47.07) eggs and the diameter of kllv matured ovarian eggs ranged 1.3 to 1.5 mm. The smallest female with fully mature eggs was 25.8 mm in body length and had 21 egg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mature eggs in ovary and body length was No. of eggs = 2.857BL -55.134 (r = 0.890). The number of deposited eggs in a nest was 27 to 637 and thew were composed of several clusters of various developmental stages. The distribution pattern of gonadsomatic index (GSl) against the body length shown that in females 1+ year-old fishes mainly participate in spawning but in males 11 and 2+ year-old fishes equally participate. From the fluctuat지n pattern of GSI and the number of mature eggs in ovary, it was assumed that the spawning season was from February to June and the peak of spawning was early March to late April. The newly hatched vouns was found at late April and their body length was about 10 mm. The vouns (O+) grew rapidly until late August. Then their srowth was slowed down and finallY ceased in midautumn. The young reached about 35 mm BL in their first year of life. The halting of growth was lasted to next Sune when the spawning season would be nearly closed. They (1+) began to grow asain from late june, grew rapidly until tate september and reached about 415 mm BL. Then there was no more grouvth until to die as 2+ yearold fish. Therefore it was assumed that the life span of P. sinensis kaibarae in the Chavang Stream would be about ko yea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length and the body weight was logBW = 2.9541ogBL -4.802 (r = 0.998).

  • PDF

전어, Konosirus punctatus의 생식생물학적 연구 (Reproductive Biology of a Shad, Konosirus punctatus(TEMMINCK et SCHLEGEL))

  • 김형배;이택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06-218
    • /
    • 1984
  • 낙동강하구에 위치한 부산 다대포 앞바다에서 1982년 9월부터 1983년 8월까지 채집된 전어, Kenosirus punctatus(TEMMINCK et SCHLEGEL)를 대상으로 생식생물학적 조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어의 난소는 경골어류의 전형적인 낭상형이고 정소는 엽상형을 나타내고 있다. 2. 생식소숙도지수는 수컷과 암컷이 각각 5, 6월이 연중 최대값을 나타내며, 수컷이 한 달 빨리 최대값에 도달한다. 이들 생식소는 수온 상승과 함께 활성화되어 고수온기전에 산란기를 마친다. 3. 산란기를 지난 개체의 난소내에는 성장에 관여하지 않은 초기난모세포들이 휴지기 상태로 월동하여 이듬해 성장에 참여하고 있다. 4. 생식주기는 수온상승이 시작되는 3월부터 활성화되어 성장기를 맞이하며 $4{\sim}5$월에는 성숙기가 되고 6월에 접어들어 1달이내 단기간의 완숙 및 산란기를 맞게 된다. 이후 7월에서 이듬해 성장기까지 회복 및 휴지기 상태를 나타낸다. 5. 전어개체군들은 난경조성의 조사 결과, 한 산란기 동안 적어도 2회 이상 산란하는 다회산란종으로 밝혀졌다. 6. 비만도의 변화는 암${\cdot}$수 모두 방란${\cdot}$방정에 의한 감소보다 계절적 수온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어 먹이 섭취량에 더욱 의존되는 것 같다. 7. 전장 $17.0{\sim}18.0cm$에서 군성숙도 $50\%$ 이상에 달하며, $18.0{\sim}19.0cm$에서는 전개체가 성숙에 참여했다. 또 각각의 포란수는 179개/cm, 291개/cm로서 체장이 증가함에 따라 포란수도 증가한다. 8. 생식소 성숙에 따라 뇌하수체 GTH cell의 활성과 분포면적이 확대되고 있으며, 난황축적을 완료한 난모세포를 가진 완숙개체들은 GTH cell의 활성이 퇴화되고 그 분포면적이 줄어든다.

  • PDF

수온과 광주기 조절에 의한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산란유도 (Spawning Inducement of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by the Control of Water Temperature and Photoperiod)

  • 김윤;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85-95
    • /
    • 1991
  • 1989년 6월 1일부터 1990년 1월 5일까지 189일간 수온과 광주기를 조절하여 넙치의 산란을 유도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온 조절에 의한 최초의 산란은 최저수온 $10.6^{\circ}C$ 설정후 수온 $13^{\circ}C$ 전후인 60일 만에 산란이 시작되었고, 자연수의 수온을 낮추기 시작한 때로 부터는 76일이 소요되었다. 한편 광주기 조절에 의한 산란은 수온 $13^{\circ}C$ 전후에서 광주기가 10L/14D로 될 때부터 장일처리를 시작하여 14L/10D로 전환되는 시기에 산란이 이루어졌으며, 장일처리개시일로부터는 71일이 소요되었다. 전 산란기간은 94일이었으며, 그 중 산란이 이루어진 일수는 69일이었다. 산란기간중 1일 최대 산란양은 $133.2{\times}10^4$입 이었으며, 1마리의 평균 산란양은 $267.1{\times}10^4$입이었다. 산란 기간은 산란 전기 30일, 산란중기 41일, 산란후기 23일의 3단계로 구분되었다. 총산란양에 대한 부상란 수와 수정률은 서로 비예하는 경향이었고, 평균 수정률은 중기가 $54.1{\%}$로 가장 좋았고, 전기 $37.4{\%}$, 후기 $19.6{\%}$ 순이었으며, 전체 평균은 $44.4{\%}$였다. 한편, 사료섭식량과 산란과의 관계는 성숙이 진행되는 시간에는 섭식량이 증가하다가 산란개시시부터는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산란 종료시에는 더욱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새고막(Scapharca subcrenata)의 가공적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ppropriate Processing Season of Ark Shell (Scapharca subcrenata))

  • 박춘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408-1411
    • /
    • 1999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 processing season of ark shell(Scapharca subcrenata) cultured at the south coast of Korea, the edible portions were determined for coefficient of fatness and yield of edible portion using specimens collected bimonthly from December 1994 to December 1995. The relationship between shell length(X) and total weight(Y) of S. subcrenata is shown as follows; Y=0.001608X2.5199.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weight(X) and meat weight(Y) of S. subcrenata is shown as follows; Y= 0.3594X 0.5566(r=0.99).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weight(X) and meat weight(Y) of S. subcrenata is shown as follows; Y=67.1647X+20.6370(r=0.99). The coefficient of fatness and yield of edible portion showed a marked bimonthly variation with a maximum in December and a minimum in August. The appropriate processing season of S. subcrenata would be in winter and spring, and not in summer and autumn season, the spawning season of the S. subcrenata.

  • PDF

대형 담수산새우, Macrobrachium rosenbergii (De Man)의 생식생리에 관한 연구 I. 탈피행동과 수온이 탈피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the Reproductive Biology of the Giant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rosenbergii (De Man) 1. Molting Behavior and Effect of Rearing Termperature on Molt)

  • 권진수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권2호
    • /
    • pp.173-180
    • /
    • 1997
  •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olting behavior and the effects of rearing temperature and day length on molting in the behavior and the effects of rearing temperature and day length on molting in the giant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rosenbergii reared in the laboratory.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 1. After pre-spawning molting, the protopodites of 1st, 2nd, 3rd, and 4th except 5th pleopod bore new breeding setae which conserve eggs in the brooding chamber and the basis of 3rd, 4th, and 5th pereiopods bore new breeding dresses which transport the ovulated eggs into the brooding chamber. 2. Adult females reared in 27.5-$29.4^{\circ}C$ molted 10-12 times per year at interval of 27-35 days, of which four or six moltings were common molting for growth and another four or five moltings were pre-spawning molting for spwaning and brooding. In winter season, pre-spawning molting did not happen to most of adult females in spite of the same temperature. 3. Duration of intermolt cycle was 31-38 days and 26-30 days at 25.3- $26.5^{\circ}C$ and 28.7- $30.4^{\circ}C$ of rearing temperature, respectively.

  • PDF

전라남도 칠산도 주변 참조기(Larimichthys polyactis) 어란 출현의 첫 보고 (First Report on the Occurrence of Eggs of the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from Chilsan-do Island, Jeollanam-do, Korea)

  • 장서하;김진구;유정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650-655
    • /
    • 2020
  • Chilsan-do Island, South Korea, has previously been identified as one of the biggest spawning sites of the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in the Yellow Sea. To determine whether Chilsan-do still serves as a spawning site for L. polyactis, three to five stations around Chilsan-do Island were surveyed for eggs from April to June (the main spawning season of L. polyactis) in 2019, using an RN80 net. For the first time, three L. polyactis eggs were identified at two stations, located just in front of Chilsan-do Island and between Chilsan-do and the coastline, only in May. The diameter of L. polyactis eggs (1.26-1.34 mm) was very similar to those of Collichthys niveatus (1.30-1.37 mm) and Setipinna tenuifilis (1.34-1.35 mm). During the survey period, the sea surface salinity remained constant (32.0-32.1 psu), but the sea surface temperature (SST) rapidly rose from 13.6-13.7℃ in April to 22.1℃ in May. Our findings suggest that L. polyactis still spawns near Chilsan-do Island today, but on a very small scale, and that changes in SST promote spawning of L. polyactis.

한국산 날개망둑의 생태학적 연구 (An Ecological Study on Gobioid (Favonigobius gymnauchen) in Korea)

  • Choi, Youn;Jong-yeon Kim;Yong Tae Rh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9권3호
    • /
    • pp.217-222
    • /
    • 1996
  • For the ecological study on the gobioid (Favonigobius gymnauchen), samples were collected in the Korean coasts from 1983 to 1995, and the process of ovarian maturation, spawning season, settling period of young individuals and growth were investigated with the specimens collected from Kunsan coast. The ovarian egg development of this species underwent three stages; growth stage from March to April, maturity stage from May to June and spawning stage in July. All the adults died after spawning in late July. Young individuals of total length 10 mm began to live a bottom life in the tide pool of shallow waters in early and middle August. The total length of these individuals reached about 42.1 mm (mean 36.7 mm) in late November. The largest specimen examined in this study was 85.0mm of male. After that time, individuals of this species inhabited in subtidal zone from December to May of the next year. The Favonigobius gymnauchen is distributed at 17 areas of shallow waters and estuaries in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s of Ko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