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검색결과 24,323건 처리시간 0.039초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공간 분석을 위한 공간 집계연산 (Spatial Aggregations for Spatial Analysis in a Spatial Data Warehouse)

  • 유병섭;김경배;이순조;배해영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16
    • /
    • 2007
  •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공간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공간 데이터 큐브를 이용한다. 공간 데이터 큐브에는 분석의 기준이 되는 공간 차원테이블과 분석의 대상이 되는 공간 사실테이블들로 구성되는데 의사결정 지원을 위해서는 공간 차원테이블의 개념계층 지원과 공간 사실테이블의 요약정보 제공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공간 개념계층에 대해서만 연구하였을 뿐 공간 요약정보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공간 공간 요약정보를 위한 공간 집계연산에 대하여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집계연산을 숫자화 집계연산과 객체화 집계연산으로 나누어 제안한다. 숫자화 집계연산은 공간 분석의 결과로 숫자 형태의 데이터를 반환하며, 객체화 집계연산은 공간 객체 형태로 결과를 반환한다. 본 논문에서는 확장된 공간 데이터 자료구조를 제공하여 공간 집계연산의 효율성을 높인다.

  • PDF

과제 제시방법에 따른 유아의 공간표상 (Spatial Representation on the Part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ask Conditions)

  • 민미희;이순형
    • 아동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3-70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ask conditions (physical similarity between the spatial product and the reference space, presentation place of the spatial product) on children's spatial representation.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40 3-year-olds and 40 4-year-ol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Both 3-year-olds and 4-year-olds were capable of a greater degree of spatial representation when there was a high level of physical similarity between the spatial product and the reference space, and when the presentation place of the spatial product was in the reference space. 4-year-olds were capable of more accurate spatial representation than 3-year-ol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ildren's spatial representa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spatial product (scale model, map).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hysical similarity between the spatial product and the reference space and the presentation place of the spatial product are essential in young children's spatial representation. Additional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spatial representation of children develops gradually from when they are three to when they turn four.

Oracle 기반의 OpenGIS 공간 인터페이스의 개발 (Development of an OpenGIS Spatial Interface based on Oracle)

  • 박춘걸;박희현;강홍구;한기준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11
    • /
    • 2007
  • 최근에 공간 데이타의 수집 방법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산업과 연구 분야에서 공간 데이터가 생성되고 유통 및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대용량의 공간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ESRI의 ArcSDE, Oracle의 Oracle Spatial과 같은 기존 DBMS를 확장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용 DBMS의 확장을 사용 시에는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고, 사용되는 공간 데이터 타입과 공간 연산자들이 서로 상이함으로 인해 상호운용성의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에서 제시한 "SQL을 위한 심플 피쳐 명세(Simple Features Specification for SQL)"의 표준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OpenGIS 공간 인터페이스를 Oracle 상에서 개발하였다. OpenGIS 공간 인터페이스는 "SQL을 위한 심플 피쳐 명세"에서 제시한 모든 데이타 타입과 공간 연산자를 지원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추가적인 비용 없이 본 논문에서 개발한 OpenGIS 공간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Oracle의 대용량 공간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성능 평가를 통해 OpenGIS 공간 인터페이스가 Oracle Spatial보다 응답 시간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입증하였다.

  • PDF

인근지역 범위 설정이 공간회귀모형 적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eighborhood Segmentation on the Adequacy of a Spatial Regression Model)

  • 이창로;박기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978-993
    • /
    • 2013
  • 공간회귀모형은 공간가중행렬을 통해 공간관계를 명시적으로 정량화한다는 점에서 타 모형과 뚜렷하게 구별되는 강점이 있는 동시에, 공간가중행렬 구성에 자의성이 개입된다는 약점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가중행렬의 구성에 따라 모형 적합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인천시를 사례로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또한 인근지역 범위 설정에 따라 공간시차모형(spatial lag model) 또는 공간오차모형(spatial error model) 중 어떠한 모형이 보다 우수하게 나타는지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토지가격 추정에 있어 인근지역 범위를 좁게 파악하는 공간가중행렬을 구성할수록 모형 적합도가 전반적으로 개선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공간적 이질성이 심한 지역은 공간오차모형의 적합도가 보다 우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공간적 이질성이 심한 지역은 동질적 성격을 갖는 하부 인근지역으로 세분함으로써 그러한 이질성을 완화시킬 수 있었고, 그 결과 공간오차모형보다 공간시차모형의 적합도가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음을 밝혔다.

  • PDF

대용량 공간 데이타의 효율적인 검색을 위한 공간 미들웨어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a Spatial Middleware for Efficient Retrieval of Mass Spatial Data)

  • 이기영;김동오;신중수;한기준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14
    • /
    • 2008
  • 최근 GIS 분야에서 공간 분석이나 군사적 목적을 위해 좀 더 상세하거나 넓은 영역의 공간 데이타를 요구함에 따라 대용량 공간 데이타의 효율적인 검색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분야에서 공간 데이타 검색에 활용되고 있는 Oracle Spatial이나 ESRI ArcSDE와 같은 기존의 GIS 소프트웨어는 공간 데이타의 안정적인 관리와 다양한 서비스를 위해 많은 기능들을 제공하지만, 저장 구조 및 공간 연산의 복잡성으로 인해 대용량 공간 데이타에 대한 검색이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용량 공간 데이타의 효율적인 검색을 위한 공간 미들웨어를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공간 미들웨어는 안정적인 공간 데이타의 관리를 위해 상용 DBMS인 Oracle을 데이타 저장소로써 활용하였으며, Oracle에 저장된 대용량 공간 데이타의 효율적인 접근을 위해 OCCI(Oracle C++ Call Interface)를 이용하였다. 또한, 대용량 공간 데이타의 효율적 연산과 검색을 위해 다양한 공간 연산 기법 및 Array Fetch 기법 등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개발한 공간 미들웨어와 Oracle Spatial 및 ESRI ArcSDE의 검색 성능을 비교함으로써 공간 미들웨어에 대용량 공간 데이타 검색 성능의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 PDF

Spatial Clearinghouse Components for OpenGIS Data Providers

  • Oh, Byoung-Woo;Kim, Min-Soo;Lee, Jong-Hu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84-88
    • /
    • 1999
  • Recently, the necessity of accessing spatial data from remote computer via network has been increased as distributed spatial data have been increased due to their size and cost. Many methods have been used in recent years for transferring spatial data, such as socket, CORBA, HTTP, RPC, FTP, etc. In this paper, we propose spatial clearinghouse components to access distributed spatial data sources via CORBA and Internet. The spatial clearinghouse components are defined as OLE/COM components that enable users to access spatial data that meet their requests from remote computer. For reusability, we design the spatial clearinghouse with UML and implement it as a set of components. In order to enhance interoperability among different platforms in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we adopt international standards and open architecture such as CORBA, HTTB, and OpenGIS Simple Features Specifications. There are two kinds of spatial clearinghouse: CORBA-based spatial clearinghouse and Internet-based spatial clearinghouse. The CORBA-based spatial clearinghouse supports COM-CORBA bridge to access spatial data from remote data providers that satisfy the OpenGIS Simple Features Specification for OLE/COM using COM and CORBA interfaces. The Internet-based spatial clearinghouse provides Web-service components to access spatial data from remote data providers using Web-browser.

  • PDF

Spatial XML 생성기를 위한 알고리즘 (Algorithm for Spatial XML Generator)

  • 서현호;최영운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66-469
    • /
    • 2004
  • XML은 개발자들이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에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조작하기 위해 구조화된 데이터를 표현하고 전달하고 교환할수 있는 텍스트 기반 포맷을 말한다. 이러한 XML에 Spatial 정보를 포함한 Spatial XML이 등장하면서 이에대한 이용에 많은 관심이 있으며 실제로 Spatial XML을 RDBMS에 저장하여 지리정보 검색에 대한 유용한 자료로 사용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Spatial XML을 질의 하기 위한 Spatial XQuery를 이용하여 RDBMS에 저장된 자료에 대한 검색하고 또한 Spatial XML Generator를 통해서 XML형태로 RDBMS에 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Spatial XML Generator 알고리즘을 구현하고자 한다.

  • PDF

메커니즘 공간 배치의 정성적 표현과 부호 대수를 이용한 공간 거동 추론 (Qualitative Representation of Spatial Configuration of Mechanisms and Spatial Behavior Reasoning Using Sign Algebra)

  • 한영현;이건우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380-392
    • /
    • 2000
  • This paper proposes a qualitative reasoning approach for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mechanisms that could be applied in the early phase of the conceptual design. The spatial configuration problem addressed in this paper involves the relative direction and position between the input and output motion, and the orientation of the constituent primitive mechanisms of a mechanism. The knowledge of spatial configuration of a primitive mechanism is represented in a matrix form called spatial configuration matrix. This matrix provides a compact and convenient representation scheme for the spatial knowledge, and facilitates the manipulation of the relevant spatial knowledge. Using this spatial knowledge of the constituent primitive mechanism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mechanism is described and identified by a spatial configuration state matrix. This matrix is obtained by using a qualitative reasoning method based on sign algebra and is used to represent the qualitative behavior of the mechanism. The matrix-based representation scheme allows handling the involved spatial knowledge simultaneously and the proposed reasoning method enables the designer to predict the spatial behavior of a mechanism without knowing specific dimension of the components of the mechanism.

  • PDF

다중지점 지진하중에 대한 아치구조물의 지진응답 분석 (Seismic Response of Multi-Supported Spatial Structure under Seismic Excitation)

  • 김기철;강주원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57-66
    • /
    • 2013
  • Spatial structures have the different dynamic characteristics from general rahmen structur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analyze dynamic characteristics and seismic response for seismic design of spatial structure. Keel arch structure is used as an example structure because it has primary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ructures. In case of spatial structures with different ground condition and time lag, multiple support excitation may be subjected to supports of a keel arch structure. In this study, the response of the keel arch structure under multiple support excitation and with time lag are analyzed by means of the pseudo excitation method. Pseudo excitation method shows that the structural response is divided into two parts, ground displacement and structural dynamic response due to ground motion excitation. It is known that the seismic responses of spatial structure under multiple support excitation are different from those of spatial structure under simple excitation. And the seismic response of spatial structure with time lag are different from those of spatial structure without time lag. Therefore, it has to be necessary to analyze the seismic response of spatial structure under multiple support excitation and time lag because the spatial structure supports may be different and very long span. It is shown that the seismic response of spatial structure under multiple support seismic excitation are different from those of spatial structure under unique excitation.

유아의 좌표지각능력과 위치표상능력과의 관계 연구 (Young Children's Ability to Use Spatial Coordinates and to Represent Spatial Locations)

  • 김지현;이정욱
    • 아동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1-13
    • /
    • 200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young children's abilities to use spatial coordinates and to represent spatial locations by children's age and sex,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abilities. It also explored whether the young children could use coordinates as the frames of reference for representing spatial locations. Seventy 5- and 6-year-old children from two kindergartens in Seoul and in Buche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ge groups on the children's ability to use spatial coordinates and to represent spatial location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on these two abilities.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ses two abilities of using spatial coordinates and representing spatial locations. Most of the young children used landmarks as the frames of reference to represent spatial locations while some of the children were partially able to use spatial coordinates. Twenty percent of 6-year-old children were fully able to use spatial coordinates as the frames of reference to represent spatial loca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