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18

검색결과 1,076건 처리시간 0.03초

자연기흉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Spontaneous Pneumothorax)

  • 손지웅;박재용;김관영;채상철;강태경;박기수;김창호;정태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3호
    • /
    • pp.374-382
    • /
    • 1999
  • 연구배경: 자연기흉은 임상에서 흔히 접하는데도 불구하고 기흉의 위험인자, 재발율, 임상양상, 치료에 대한 반응과 예후와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는 드물다. 방법: 경북대학교병원에서 1996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자연기흉으로 진단받은 225예를 대상으로 기흉의 크기, 폐허탈의 분포, 흉관삽관술 시행빈도 등을 $17{\pm}7.8$개월 추적기간 동안 재발율과 재발의 위험인자를 조사하였다. 결과: 원발성과 자연기흉은 저체중인 환자가 많았으며, 홉연력은 속발성 자연기흉에서 유의하게 많았다(p<0.05). 속발성 자연기흉의 기저질환은 비활동성 폐결핵이 68%로 가장 많았고, 활동성 폐결핵 12.4%, 만성폐쇄성폐질환 11.3% 순이었다. 기흉의 기왕력은 원발성 자연기흉의 경우 28.9%에서, 그리고 속발성 자연기흉의 경우는 25.8%에서 있었다. 폐허탈의 분포는 속발성에서 원발성 자연기흉에 비해 국소형이 유의하게 많았다(p<0.05). 흉관삽관을 시행한 경우는 원발성과 속발성 자연기흉에서 각각 96.8%와 97.9%였으며, 추가적인 흉관 삽관이 필요했던 경우는 원발성 6.4%와 속발성 18.0%로 속발성 자연기흉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p<0.05); 흉관 유치기간은 원발성의 경우 $7.5{\pm}6.57$일인데 비해 속발성은 $18.2{\pm}19.59$일로 속발성 자연기흉에서 유의하게 길었다(p<0.05). 수술적 치료는 원발성 자연기흉의 22.7%, 그리고 속발성 자연기흉의 10.3%에서 시행하였으며, 수술 원발성의 경우 기흉이 기왕력이 있는 경우가 가장 많은 반면 속발성의 경우는 치료실패가 가장 많았다. 보존적인 치료를 방은 경우 재발율은 원발성의 경우 16.5%, 11.8%였으며, 원발성 자연기흉의 재발율은 남자, 흡연자, 저체중에서 높았다. 결론 : 자연기흉의 재발율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수술적 치료 등의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MT 양성 유즙에서 유방염 원인균 분리 및 분리균의 항균제 감수성 (Isolation of causative agents from CMT-positive mastitic milk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isolates)

  • 이정원;김추철;윤여백;송희종;최인방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1-159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solate of causative agents from CMT-positive and mean somatic cell count(SCC) $\geq$500,000 cells/ml mastitic milk, and evaluate to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isolates in Iksan branch area from January to November, 1996. 1. The CMT-positivity(SCC 500,000 cells/ml) of 610 heads was 36.2% (221), and of 2,373 quarter milks was 16.1% (383). 2. The Gram-positive isolates were 153 strains which was Staphylococcus sp (115), Micrococcus sp (18), Streptococcus sp (10), Listeria monocytogenes (5) and Enterococcus faecalis(5). 3. The Gram-negative isolates were 66 strains including E coli(14), Yersinia sp (13), Shigella sp(8), Enterobacillus sp(8), Cedecea sp(5), Pseudomonas aeruginosa(5), Proteus sp(5), Klebsiella sp(4), Salmonella sp(2), kluyvera ascorbate(1) and Tatumella ptyseos (1). 4. The Gram positive strains of isolates were moderately susceptible to T/s, Cp, Fd, Imp, Aug, Rif, Cft and Va. And the Gram negative strains of Isolates were moderately susceptible to T/s, Cp, Imp, Pi and Ti, In order. 5. Multiple antimicrobial resistant patterns were encountered 62 and 36 from Gram positive and negative isolates, respectively.

  • PDF

시력 교정용 안경의 세균 오염 (The Bacterial Contamination in Glasses for Vision Correction)

  • 김흥수;황석연;윤치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7-73
    • /
    • 2013
  • 목적: 최근 시력 교정용 기구 및 주변용품들에 대한 미생물의 오염이 안과 질병요인으로 지목됨에 따라 시력 교정용 안경에 대한 세균의 오염 실태를 조사하였다. 방법: 초등학생 36명, 중학생 37명, 고등학생 30명, 대학생 10명, 노인 32명으로 총 145명의 안경으로부터 세균을 채취하여 분리 배양한 후 동정하였다. 결과: 시력 교정용 안경으로부터 검출된 세균은 총 17종으로 Bacillus cereus, Bacillus licheniformis, Bacillus sp., CNS, Enterococcus, Escherichia coli, Proteus sp., Pseudomonas sp., Serretia sp., Streptococcus sp., Staphylococcus epidermidis,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hemolyticus, Acinetobacter, Enterobacter cloacae, GNR, Pseudomonas aeruginosa이었다. 안과질환과 관련한 세균류는 각막염을 유발하는 Enterobacter cloacae, Pse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epidermidis, 각막궤양을 유발하는 Pseudomonas sp., Staphylococcus aureus, 급성누낭염, 안와봉소염, 망막정맥주위염, 눈꺼풀테염을 유발하는 Staphylococcus aureus와 급성결막염 등을 유발하는 Streptococcus hemolyticus가 포함되었다. 결론: 시력 교정용 안경에서 고위험군 기회감염성 균류들이 다량으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한 감염에 따른 질병의 유발이 예측되므로 안경의 청결관리를 위한 대안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담배나방 저장단백질 SP-2의 정제 및 생화학적 특성 (Purification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Storage Protein SP-2 in Tobacco Budworm (Helicoverpa assulta Guenee))

  • 정성은;채순용;김선봉;이형철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9-48
    • /
    • 1996
  • A storage protein(SP-2) was confirmed in haemolymph during larval-pupal-adult development of tobacco burdworm(Helicoverpa assulta Guenee), and its bi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The titer of SP-2 showed a peak at mature larva, decreased gradually through the late pupal stage, and became undetectable at adult period. As the results from electrophoretic mnysis, SP-2 was confirmed to be glycolipoprotein(M.W. 332kDa) relatively stable to heat( $\leq$ 68$^{\circ}C$ ). This storage protein was determined to be a tetramer composed of a single subunit with MW of 83kDa, and the isoelectric point was 5.7. The amino acid composition of the SP-2 was characterized. It has relatively high content of methionine and histidine, whereas the contents of tyrosine and phenylalanine were relatively low.

  • PDF

Evaluation of Antibacterial Efficacy of Certain Botanicals Against Bacterial Pathogen Bacillus sp. of Silkworm, Bombyx mori L.

  • Pachiappan, Priyadharshini;Aruchamy, Mahalingam C;Ramanna, Shashidhar Kaluvarahalli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8권1호
    • /
    • pp.49-52
    • /
    • 2009
  • An in vitro and in vivo studie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antibacterial efficacy of certain botanicals viz., rhizomes of turmeric (Curcuma longa) and leaves of amla (Phyllanthus emblica), asparagus (Asparagus racemosus), bael (Aegle marmelos), boerhavia (Boerhavia diffusa), garlic (Allium sativum) and basil (Oscimum basicilum) against bacterial pathogens viz., Staphylococcus sp., Bacillus sp. and Klebsiella cloacae, of silkworm, Bombyx mori. Asparagus and basil, amla and boerhavia, basil and bael at concentration of 20, 000 ppm showed higher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sp., Bacillus sp., K. cloacae respectively, both in vitro and in vivo studies.

Streptomyces sp. AC-3을 이용한 배추 무사마귀병의 생물학적 방제 (Biocontrol of Cabbage Clubroot by the Organic Fertilizer Using Streptomyces sp. AC-3.)

  • 주길재;김영목;김정웅;김원찬;이인구;최용화;김진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72-178
    • /
    • 2004
  • 본 연구는 배추 무사마귀병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해 수행되었다. 배추 무사마귀병균 Plasmodiophora sp외 길항미생물은 낙엽부식토양에서 분리한 350여 종의 토양미생물 중에서 가장 길항력이 높은 방선균 AC-3균주를 이용하였고, AC-3 균주는 16S rDNA 염기서열분석방법으로 Streptomyces sp.로 동정되었다. Streptomyces sp. AC-3은 배양액 $m\ell$당 9.3 units의 chitinase를 생산하였다. 그 결과 배추 무사마귀병균 Plasmodiophora sp.의 배양액에 Streptomyces sp. AC-3을 접종하고 배양하면 Plasmodiophora sp.의 균체가 팽윤되거나 세포벽이 용해된 모습이 관찰되었다. Streptomyces sp. AC-3은 전딘도 배추 무사마귀병이 만연했던 포장에서 재배 시험하기 위해 제형화시키고 유기질비료에 첨가하여 이용하였다. 미생물제제를 첨가하지 많고 제조한 유기질비료(H-1)(대조구)와 미생물제제 첨가하여 제조한 유기질비료(H-2)(처리구)에 의한 포장시험에서 배추의 생육은 재배 40일 까지는 거의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으나 재배 60일에는 다소 차이를 나타내었다. 배추의 병 발생율을 조사한 결과 무사마귀병은 H-1 비료 처리구에서는 36.17% 병이 발생되었으나 H-2 비료 처리구에서는 18.28% 발병되어 약 50%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균핵병, 잎마름병, 그루썩음병 등에서도 길항효과를 나타내어 생물학적 방제가 가능한 균주로 확인되었다.

Pseudomonas sp. HJ로부터 Polyhydroxyalkanoate 대량생산을 위한 유가식 배양 (Fed-Batch Culture for Polyhydroxyalkanoate Overproduction by Pseudomonas sp. HJ)

  • 손홍주;이상준
    • KSBB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201-210
    • /
    • 1996
  • 본 연구는 단일 탄소원인 포도당으로부터 PHA를 생산하는 공시균 Pseudomonas sp. HJ의 유가배양 을 검토함으로써, PHA 대량생산을 위한 기초자료 를 얻는데 그 목적을 두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U 발효조를 이용하여 배양시 교반속도 4 400rpm, 통기량 2vvm, 종균 배양시간 18 시간 및 종균 접종량 5%(v/v)일때 최적 생육을 나타내었다. 공시균 Pseudomonas sp. HJ는 용존산소의 결핍 에 의해서 PHA 축적율이 향상되지 않았으며, P PHA 생산단계에 충분한 수준으로 용존산소를 유지 시켜 주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공시균 Pseudomo­7 nas sp. HJ를 회분배양했을 때 24시간만에 $6.251g/\ell$의 건조균체량과 20% 의 PHA 축적율을 나타내었으며, constant feeding fed-batch culture로 배 양 45시간만에 최고$33.24g/\ell$의 건조균체량과 48.9%의 PHA 축적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intermit­t tent feeding fed-batch culture로 공시균 Pseu domonas sp. HJ를 배양했을때, 배양 45시간만에 $37.89g/\ell$의 건조균체량과 53.5%의 PHA 축적율을 나타내였다.

  • PDF

가평 사문암 지역의 토양 별 식물체내 희토류 원소 함량 차이: 억세, 쑥, 산딸기를 근거로 (Differences of Rare Earth Element Concentrations of Plants in Top Soils of Gapyeong Serpentine Area: Based on the M. sinensis, A. vulgaris and R. crataegitolius)

  • 송석환;신병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621-632
    • /
    • 2009
  • Rare earth contents(REE) were analysed for the plants, M. sinensis. A. vulgaris and R. crataegitolius, from two different soils serpentine area consisting of serpentinite(SP) and non-serpentine area, containing amphibole schist(AS) of Gapyeong area, and were compared with soils and host rocks. The AS were high with the differences of several times in the top soils, and with the differences of several to ten times in the host rocks relative to the SP. In the same area, the SP were high in the soil, but the rocks for the AS. In the plants, the A. vulgaris were high, but low in the R. crataegitolius. Root parts were higher than the upper parts. Differences between the upper and root parts were big in the SP rather than the AS, and were big in the R. crataegitolius, but small in the M. sinensis. Among the parts of the plants, high elements were shown in the R. crataegitolius of the SP, and the A. vulgaris and M. sinensis of the AS. I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most of the REE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the element pairs, especially high positive correlation coefficients in the upper parts of the SP.Differences of the soils and plants(average) were smalle in the M. sinensis and big in the R. crataegitolius. In the upper parts. contents of the A. vulgaris were close to the soils while the R. crataegitolius showed large discrepancies with the soils. In the root parts, contents of the A. vulgaris showed discrepancies with the soils regardless of soil types, but close in the R. crataegitolius of the SP and M. sinensis of the AS.

AI 종모돈 정액내 세균감염 정도와 항생체 감수성에 관한 연구

  • 홍종훈;김창근;정영채;김일;류재원;손동수;김인철;이장희;윤희진;강권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32-32
    • /
    • 2002
  • 본 연구는 인공수정용 액상정액을 생산하는 돼지 AI 센터의 종모돈으로부터 채취한 정액내 세균 감염정도를 조사하고 감염율이 높은 세균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3개 AI 센터의 원정액내 세균수 (cfu × 10²/㎖)는 각각 8.2±28.8(1 -100), 18.2± 20.0(5-48) 및 33.1±62.l(4-173)로서 평균 23.8±38.l 이었고 AI 센터간, 개체간에 변이 가 컸다. 감염 세 균의 특성은 간균 74%, Gram stain(+)균 60%, catalase 생산 (+)균 100% 및 oxidase activity (+) 균 98%였으며 센터간에 다소 차이가 있었다. 정액샘플내 감연빈도가 높은 세균은 Bacillus sp(조사시료의 75.0%), Pseudomonas sp(67.9%), Proteus sp(53.8%), Staplhylococcus sp(53.6%), E. coli(l5.4%), Klebsiella sp(15.4%), Enterobacter sp(7.7%) 순이었으며 전체 감염세균 종류중 이들 세균의 비율은 각각 25.6%, 20.9%, 16.3%, 18.6%, 4.7% 및 2.3%였다. 액상정액에서 보존 2일과 6일의 세균수 (cfu×10²/㎖)는 2.4± 2.7과 44.0±44.6이었다. 항생제 감수성은 Corynebacterium sp의 경우는 8종 항생제 중 3종 (Streptomycin, polymyxin B, erythromycin)에서 저항성을 나타냈다.(농림기술개발사업 연구결과의 일부)

  • PDF

혼합영양 조건하에서 Haematococcus sp.의 배지 최적화 및 대사산물 생산 (Medium Optimization for Cell Growth and Metabolite Formation from Haematococcus sp. under Mixotrophic Cultivation)

  • 김효선;김성구;정귀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37-343
    • /
    • 2020
  • Haematococcus sp.를 대상으로 mixotroph 형태에서 배양을 위한 배지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본 배지로는 modified MS 배지가 적절했으며, 탄소원으로는 glucose가, 그리고 농도는 10 g/l가 적합하였다. 질소원으로는 KNO3를 선정하였으며, 농도는 1.9 g/l이 최적이었다. 최적의 배지조건에서 Haematococcus sp.를 초기 접종량(0.18 g/l)로 접종하여 14일 후에 5.58 ± 0.25 g/l로 성장하였으며, 이는 건조 세포중량 기준으로 약 31배의 성장한 것이다. 이때 생성된 클로로필은 172.16 ± 7.79 mg/l였으며, 카로티노이드는 42.33 ± 1.91 mg/l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미세조류 대량 배양과 대사산물의 생산에 이용가능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