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M

검색결과 741건 처리시간 0.025초

Comparison of Somatostatin and Morphine Action on the Responses of Wide Dynamic Range Cells in the Dorsal Horn to Peripheral Noxious Mechanical and Heat Stimulation in Cats

  • Jung, Sung-Jun;Choi, Young-In;Kim, Ju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권2호
    • /
    • pp.155-163
    • /
    • 1998
  •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somatostatin (SOM) and morphine (Mor) on the responses of wide dynamic range (WDR) cells to peripheral noxious stimulation. Single neuronal activity was recorded with a carbon-filament electrode at the lumbosacral enlargement of cat spinal cord. After identifying WDR cells, their responses to peripheral noxious mechanical or thermal stimuli were characterized and the effects of SOM and Mor, applied either iontophoretically or intrathecally, were studied. In most cells SOM and Mor suppressed noxious stimulus-evoked WDR neuronal activity, though a few WDR neurons showed no change or were excited by SOM and Mor. Systemically applied naloxone, a non-specific opioid antagonist, always reversed the Mor induced suppression of neuronal activity evoked by noxious mechanical stimuli, but did not always reverse the suppression of neuronal activity elicited by SOM. The suppressive effect of Mor on thermal stimulus-evoked neuronal activity was partially reversed by naloxone, while that of SOM were not reversed at all.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both Mor and SOM exert an inhibitory effect on thermal and mechanical stimulus-evoked WDR neuronal activity in cat spinal dorsal horn, but the mechanisms are dependent upon the functional populations of dorsal horn nociceptive neurons.

  • PDF

SOM 알고리즘을 이용한 부분방전 패턴인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artial Discharge Pattern Recognition by Use of SOM Algorithm)

  • 김정태;이호근;임윤석;김지홍;구자윤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기물성ㆍ응용부문C
    • /
    • 제53권10호
    • /
    • pp.515-522
    • /
    • 2004
  • In this study, we tried to investigate that the advantages of SOM(Self Organizing Map) algorithm such as data accumulation ability and the degradation trend trace ability would be adaptable to the analysis of partial discharge pattern recognition. For the purpose, we analyzed partial discharge data obtained from the typical artificial defects in GIS and XLPE power cable system through SOM algorithm. As a result, partial discharge pattern recognition could be well carried out with an acceptable error by use of Kohonen map in SOM algorithm. Also, it was clarified that the additional data could be accumul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lgorithm. Especially, we found out that the data accumulation ability of Kohonen map could make it possible to suggest new patterns, which is impossible through the conventional BP(Back Propagation) algorithm.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degradation trend could be easily traced in accordance with the degradation process. Therefore, it is expected to improve on-site applicability and to trace real-time degradation trends using SOM algorithm in the partial discharge pattern recognition

양자화 기법과 퍼지 기반 SOM 알고리즘을 이용한 CT 영상에서의 간 영역과 간 종양 검출 및 분석 (Detection and Analysis of the liver Area and liver tumors in CT Images using Quantization Method and Fuzzy based-SOM Algorithm)

  • 전태룡;정경훈;김광백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7권 제1호
    • /
    • pp.63-74
    • /
    • 2007
  • 간은 인체의 생명을 유지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영양섭취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진 중요한 장기이다. 이러한 간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의 간암 발병률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간암을 조기 진단하고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영상 의학적 검사 방법 중 하나인 CT 촬영으로 획득된 조영 증강 CT 영상에서 간 영역과 간 종양 영역을 정확히 검출하고 간 종양의 악성도를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흉부로부터 5mm 간격으로 약 $40\;{\sim}\;50$장 정도로 촬영한 조영 증강 CT 영상에서 명암도와 명암의 분포도를 이용한 양자화 기법과 장기들의 위치 및 형태학적 특징정보, 그리고 흉부와 복부 양방향으로 인접한 CT 영상들의 정보를 분석하여 간 영역을 검출한다. 간 종양 영역은 과혈관성 종양의 특징을 분석하고 간 영역의 검출 방법에 적용하여 추출한다. 추출된 간 종양 영역은 퍼지 기반 SOM 알고리즘을 제안하여 간 종양의 악성도를 분석하는데 적용한다. 제안된 퍼지 기반 SOM 알고리즘은 SOM의 이웃 반경을 동적으로 조정하는데 퍼지 제어 기법을 적용하여 기존의 SOM 알고리즘보다 종양의 악성 정도를 분류하는 정확성을 개선하였다. 제시된 간 영역과 간 종양 검출 및 분석 방법의 결과와 전문의가 진단한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기존의 간 영역 및 간 종양 영역 검출 방법보다 정확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ssessing Organic Matter and Organic Carbon Contents in Soils of Created Mitigation Wetlands in Virginia

  • Ahn, Changwoo;Jones, Stacy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8권3호
    • /
    • pp.151-156
    • /
    • 2013
  • Several soil properties were studied from three young created mitigation wetlands (<10 years old), which were hydrologically comparable in the Piedmont region of Virginia. The properties included soil organic matter (SOM), soil organic carbon (SOC), pH, gravimetric soil moisture, and bulk density ($D_b$).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oil properties between the wetlands, except SOM and SOC. SOM and SOC indicated a slight increase with wetland age; the increase was more evident with SOC. Only about a half of SOC variability found in the wetlands was explained by SOM ($R^2$ = 0.499, p < 0.05). The majority of the ratios of SOM to SOC for these silt-loam soils ranged from 2.0 to 3.5, which was higher than the 1.724 Van Bemmelen factor, commonly applied for the conversion of SOM into SOC in estimating the carbon storage or accumulation capacity of wetlands. The results may caution the use of the conversion factor, which may lead to an overestimation of carbon sequestration potentials of newly created wetlands. SOC, but not SOM, was also correlated to $D_b$, which indicates soil compaction typical of most created wetlands that might limit vegetation growth and biomass production, eventually affecting carbon accumulation in the created wetlands.

SOM을 이용한 복합지식의 3D 가시화 방법 (3D Visualization of Compound Knowledge using SOM(Self-Organizing Map))

  • 김귀정;한정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50-56
    • /
    • 2011
  • 본 연구는 복합지식 객체를 기반으로 다차원적인 관계를 쉽게 식별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복합지식의 3D 가시화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복합지식을 네트워크 형태의 의미화된 링크와 노드로 구조화하고 3차원 형태로 보여줄 수 있도록 SOM을 이용한 가시화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3D 공간상에서 복합지식을 배치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다 실감적이고 직관적인 정보검색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 객체 유사도를 이용한 복합지식의 3D 클러스터링 방법을 제안하였다. SOM을 이용한 복합지식의 3D 가시화와 클러스터링은 복합지식의 맥락과 연계성을 시공간에 가시화하는데 최적의 방법이 될 수 있다.

FCM과 SOM을 이용한 전력용 변압기 고장진단 기법 (Fault Diagnosis Method of Power Transformer Using FCM and SOM)

  • 한운동;이대종;지평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25-33
    • /
    • 2007
  • 전력계통의 갑작스런 고장은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함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전력계통의 상태를 진단하는 모니터링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FCM과 SOM을 이용하여 다양한 전력설비 중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전력용 변압기의 고장진단 알고리즘을 개발한다. 즉, FCM은 효과적인 특징점을 선택과 학습시간을 줄이기 위해 수행하고, SOM에 의해 변압기의 고장진단이 이루어진다. 제안된 방법은 변압기의 고장진단 뿐만 아니라 열화진행추이 특성까지 분석한다. 제안된 방법은 다양한 사례 연구를 통해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SOM과 개선된 ART-1을 이용한 악보 인식 (Musical Score Recognition with SOM and Enhanced ART-1)

  • 김광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064-1069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SOM과 개선된 ART-1을 이용하여 악보를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악보 인식을 위해 스캔된 악보 이미지를 호프 변환, Otsu's 이진화를 원본 이미지에 적용하고, 히스토그램 분석을 통해 구분된 작은악절에서 오선을 제거하여 악보의 음표 성분을 추출할 수 있는 이미지 전처리 단계를 수행한다. 오선이 제거된 작은악절은 레이블링을 이용하여 음표 성분을 분리한다. 추출된 음표들은 SOM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일정한 크기로 정규화하고, 정규화된 음표 정보들을 개선된 ART-I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학습과 인식한다.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여 음표 인식 실험을 한 결과, 제안된 방법이 음표 인식에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Comparison of Three Land Cover Classification Algorithms -ISODATA, SMA, and SOM - for the Monitoring of North Korea with MODIS Multi-temporal Data

  • Kim, Do-Hyung;Jeong, Seung-Gyu;Park, Chong-Hwa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81-188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optimal land cover classification algorithm for the monitoring of North Korea with MODIS multi-temporal data based on monthly phenological characteristics. Three frequently used land cover classification algorithms, ISODATA1), SMA2), and SOM3) were employed for this study; the land cover categories were forest, grass, agricultural, wetland, barren, built-up, and water body. The outcome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classification accuracy of ISODATA, SMA, and SOM was 69.03%, 64.28%, and 73.57%, respectively. Second, ISODATA and SMA resulted in a higher classification accuracy of forest and agricultural categories, but SOM performed better for the built-up area, bare soil, grassland, and water. A possible explanation for this difference would be related to the difference of sensitivity against the vegetation activity. This would be related to the capability of SOM to express all of their values without any loss of data by maintaining the topology between pixels of primitive data after classification, while ISODATA and SMA retain limited amount of data after normalization process. Third, we can conclude that SOM is the best algorithm for monitoring the land cover change of North Korea.

협동적 필터링과 SOM 신경망을 결합한 추천시스템 모델 (A Recommender System Model Combining Collaborative filtering and SOM Neural Networks)

  • 이미희;우용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1213-1226
    • /
    • 2008
  • 추천시스템은 사용자가 제공한 선호, 관심, 구매경험과 같은 정보를 근거로 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가장 알맞은 정보를 제공하는 일련의 가치교환 과정인 개인화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으로 고객의 선호도를 정확히 분석하고, 정제하여 정확한 예측력으로 고객이 원하는 가장 적절한 상품을 추천 해줄 수 있어야 한다. 대부분의 추천시스템들이 협동적 필터링 기법을 적용하고 있어 본 논문에서는 협동적 필터링 기법의 연산수행 량을 개선한 새로운 결합 모델인 SOM(Self-Organizing Map) 신경망 회로와 결합한 추천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먼저, 사용자 그룹을 인구통계학적인 특징으로 세그먼트하고 SOM 신경망회로를 이용하여 item 특징에 대한 선호도를 입력 값으로 학습하여 클러스터를 생성하였다. 임의의 사용자에 대한 추천은 선호도가 유사한 클러스터를 결정하여 협동적 필터링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기존의 협동적 필터링 기법의 연산 수행량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영화를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하여 추천효율이 향상되었음을 나타내었다.

  • PDF

Feature-Based Image Retrieval using SOM-Based R*-Tree

  • Shin, Min-Hwa;Kwon, Chang-Hee;Bae, Sang-Hyun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3년도 Proceeding
    • /
    • pp.223-230
    • /
    • 2003
  • Feature-based similarity retrieval has become an important research issue in multimedia database systems. The features of multimedia data are useful for discriminating between multimedia objects (e 'g', documents, images, video, music score, etc.). For example, images are represented by their color histograms, texture vectors, and shape descriptors, and are usually high-dimensional data. The performance of conventional multidimensional data structures(e'g', R- Tree family, K-D-B tree, grid file, TV-tree) tends to deteriorate as the number of dimensions of feature vectors increases. The R*-tree is the most successful variant of the R-tree. In this paper, we propose a SOM-based R*-tree as a new indexing method for high-dimensional feature vectors.The SOM-based R*-tree combines SOM and R*-tree to achieve search performance more scalable to high dimensionalities. Self-Organizing Maps (SOMs) provide mapping from high-dimensional feature vectors onto a two dimensional space. The mapping preserves the topology of the feature vectors. The map is called a topological of the feature map, and preserves the mutual relationship (similarity) in the feature spaces of input data, clustering mutually similar feature vectors in neighboring nodes. Each node of the topological feature map holds a codebook vector. A best-matching-image-list. (BMIL) holds similar images that are closest to each codebook vector. In a topological feature map, there are empty nodes in which no image is classified. When we build an R*-tree, we use codebook vectors of topological feature map which eliminates the empty nodes that cause unnecessary disk access and degrade retrieval performance. We experimentally compare the retrieval time cost of a SOM-based R*-tree with that of an SOM and an R*-tree using color feature vectors extracted from 40, 000 images. The result show that the SOM-based R*-tree outperforms both the SOM and R*-tree due to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nodes required to build R*-tree and retrieval time cos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