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D1

검색결과 2,048건 처리시간 0.176초

토마토(Lycopersicon esculentum Mill) 현탁배양세포에서 Superoxide Dismutase 활성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in Suspension Cultured Cells of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 유순희;허경혜;권석윤;이행순;방재욱;곽상수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7-61
    • /
    • 1997
  • Superoxide dismutase (SOD) 고생산세포주로 선발된 토마토(Lycopersicun esculentum) 배양세포를 사용하여 현탁배양에 따른 SOD 활성과 isoenzyme변화를 조사하고 토마토 식물체의 것과 비교하였다. 현탁배양은 세포생중량 2 g을 1 mg/L 2,4-D, 30 g/L sucrose를 함유한 MS 배지 50 mL과 함께 mL flask에서 $25^{\circ}C$암상태로 배양(100 rpm)하였다. 세포생장은 계대배양후 20일에 최고점에 도달한 후, 급격히 감소하며 배양 후 23일부터 세포가 검게 변하였다. 세포 단위무게당 SOD활성(unit/g dry cell wt)은 배양 후 23일부터 증가하여 28일째에 최고활성(52,400 unit)을 나타낸 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세포 밖으로 분비되는 extracellular SOD활성은 배양 후 25일에 최고치(27,800 unit/so mL medium)를 나타낸 후 감소하였다. Flask 전체의 SOD활성은 배양 후 25일에 최대치(35,700 unit)를 나타내었으며 extracellular SOD 활성이 약 75%을 차지하였다. 토마토 배양세포에는 4개의 SOD isoenzyme이 존재하며, isoenzyme의 패턴변화는 세포생장에 따른 효소활성의 변화와 일치하였다. 토마토 식물체는 배양세포에 없는 CuZnSOD가 존재하며 배양세포와 식물체 조직사이에는 서로 다른 isoenzyme 패턴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Effect of Copper Ion on Oxygen Damage in Superoxide Dismutase-Deficient Saccharomyces Cerevisiae

  • Lee, Jeong-Ki;Kim, Ji-Myon;Kim, Su-Won;Nam, Doo-Hyun;Yong, Chul-Soon;Huh, Keu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178-182
    • /
    • 1996
  • Using superoxide dismutase (SOD)-deficient mutant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the oxidative stresses induced by 0.1 mM of copper ion $(Cu^{++})$ was studied. In aerobic culture condition, yeasts lacking MnSOD (mitochondrial SOD) showed more significant growth retardation than CuZnSOD (cytoplasmic SOD)-deficient yeasts. However, not so big differences in growth pattern of those mutants compared withwild type were observed under anaerobic condition. It was found that, under aerobic condition, the supplementation of 0.1 mM copper ioh:(Cu") into culture medium caused the remarkable increase of CuZnSOD but not so significant change in MnSOD. It was also observed that catalase activities appeared to be relatively high in the presence of copper ion in spite of the remarkable reduction of glutathion peroxidase in CuZnSOD-deficient yeasts, but the slight increments of catalase and glutathion peroxidase were detected in MnSOD-deficient strains. It implies that the lack of cytoplasmic SOD could be compensated mainly by catalase. However, these phenomena resulted in the significantincrease of cellular lipid peroxides content in CuZnSOD-deficient yeasts and the slight increment of lipid peroxides in MNSOD-deficient cells. In anaerobic cultivation supplementing copper ion, the cellular enzyme activities of catalase and glutathion peroxidase in SOD-deficient yeasts were slightly increased without any significant changes of lipid peroxides in cell membrane. It suggests that a little amount of free radicals generated by copper ion under anaerobic condition could be sufficiently overcome by catalase as well as glutathion peroxidase.dase.

  • PDF

SOD2와 NDPK2 유전자 집적에 의한 페튜니아의 아황산가스 저항성 증진 (Enhanced Resistance to Sulfur Dioxide Gas in Transgenic Petunia by Stacking both SOD2 and NDPK2 Genes)

  • 이수영;천경성;김소영;권오현;이혜진;김원희;유봉식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1호
    • /
    • pp.154-162
    • /
    • 2016
  • 유전자 집적에 의해 아황산가스 저항성 증진 페튜니아를 개발하고자 비생물적스트레스 저항성 유전자로 널리 알려진 SOD2와 NDPK2유전자가 각각 도입된 SOD2 형질전환 계통 SOD2-2-1-1-35($T_4$)[S($T_4$)]와 NDPK2 형질전환 계통 NDPK2-7-1($T_2$)[N7-1($T_2$)]간 상호교잡을 실시하여 교잡 제1세대를 획득하였다. 교잡 제1세대 중 SOD2와 NDPK2유전자가 모두 집적된 개체 획득율은 32.1-73.0%이었고, SOD2와 NDPK2유전자가 모두 집적된 개체는 SOD2 또는 NDPK2유전자가 단독 도입된 개체에 비해 아황산가스 30ppm처리 피해율이 2.6-5.1배 낮아 아황산가스 저항성이 증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아황산가스 저항성이 증진된 교잡 제1세대를 자가수분에 의해 세대진전 시켜 획득한 교잡 제2세대의 아황산가스 저항성 검정을 통하여 교잡 제1세대에서의 아황산가스 저항성이 후대에서도 안정적으로 발현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광합성 효율 증진 조사를 통해 아황산가스 저항성이 증진된 SOD2와 NDPK2유전자 집적 후대가 아황산 가스에 대한 스트레스를 덜 받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RT-qPCR분석을 통해 SOD2와 NDPK2유전자 집적 후대의 아황산가스 저항성 증진이 SOD2와 NDPK2 유전자 집적에 의한 효과임을 확인하였다.

Superoxide Dismutase가 백서의 실험적 치은염과 3T3 섬유모 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UPEROXIDE DISMUTASE ON EXPERIMENTAL GINGIVITIS AND ACTIVITY OF 3T3 FIBROBLAST)

  • 김윤성;유형근;강현구;신형식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5권2호
    • /
    • pp.222-238
    • /
    • 1995
  • Inflammatory cells may produce active species of oxygen in antimicrobial defense. While such species can directly damage surrounding tissue, their major secondary role may be to mediate important components of the inflammatory response. Superoxide dismutase, antioxidant, have significant anti-inflammatory properties in rheumatoid arthritis, ischemic tissue injury and gastrointestinal disease. Increased oxidative product formation diseases. And superoxide dismutase produced by Porphyromonas Gingivalis is resistant to killing by polymorphonuclear leukocy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n the effects of superoxide dismutase in 3T3 fibroblast and in experimental gingivitis in the rats. The effect of superoxide dismutase(SOD) to cell morphology and cell activity was measured in cultured mouse 3T3 fibroblast. After experimental gingivitis were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LPb) and bovine serum albumin(BSA), injection of SOD were done. WBC count and histologic findings were observed at 1, 2, 3, and 7 day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between LPS treated groups and SOD treated groups in 3T3 fibroblast morpholoy. 2.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only SOD treated groups (except SOD 150U at 3days) and control in 3T3 fibroblast activity. 3. LPS $0.5{\mu}g/ml$ and SOD treated groups (except 150U) had decreased 3T3 fibroblast activity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3 days. 4. LPS $5.0{\mu}g/ml$ and SOD trea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ell activity of 3T3 fibroblast than control group at 1 day(P<0.05). 5. In LPS induced gingivitis, the number of leukocytes in SOD treate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in saline treated at 1 day(P<0.05). 6. In histopathologic findings of LPS or BSA induced gingivitis, inflammatorycell infiltration in SOD treated groups were less than in saline treated group at 1, 2 and 3 days.

  • PDF

PME88 멜론SOD의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광노화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PME88 MelonSOD on the Ultraviolet-Induced Photo-aging)

  • 조세행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01-408
    • /
    • 2009
  • PME88 멜론(글리아딘과 결합된 식물 추출물) superoxide dismutase(SOD)의 섭취는 체내에 존재하는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및 glutathione peroxidase를 포함한 항산화 효소의 활성 및 총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이전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minimal erythema dose (MED) 값의 변화, 홍반점수의 변화, 분광비색계 측정값을 분석함으로써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광노화 억제 효과를 알아보았다. MED 값의 변화 분석에서는 PME88 멜론SOD 섭취 군에서는 시험 물질을 28일 동안 섭취한 후 MED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14일과 28일 사이에 그 유의성은 더욱 증가하였다. 홍반의 심한 정도(홍반점수) 분석에서 28일 동안 섭취 후 위약 군이 PME88 멜론SOD 투여군보다 1.25 MED의 자외선을 조사하였을 경우 홍반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분광비색계 측정값 분석에서 0.64 MED$_{D14}$, 0.80 MED$_{D14}$, 1.0 MED$_{D14}$에서 $a^*$변수(색변화에 가장 민감한 변수, 홍반의 색조 변화를 반영)가 위약 군에서 PME88 멜론 SOD 투여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4주간의 시험기간 동안 대변에 대한 횟수나 성향의 이상 징후 및 거부반응은 없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PME88 멜론SOD의 섭취는 안전하게 UV로 인한 피부의 광노화를 억제하는데 유용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홍삼 투여가 방사선에 조사된 생쥐 신장의 Superoxide Dismutase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 on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in the Kidney of Gamma-ray Irradiated Mice)

  • 박영순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15권1호
    • /
    • pp.123-130
    • /
    • 1992
  • 감마선에 조사된 흰쥐의 신장 내의 효소활성에 홍삼 추출물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고자 생후 5주령의 생쥐를 4군으로 분류하여 감마선 조사 및 홍삼 추출물 투여 혹은 생리적 식염수를 투여하고 그로부터 1일, 2일, 3일, 4일 및 5일 등 5회에 걸쳐 도살하여 신장을 취하고 신장조직 내의 SOD, peroxidase 및 catalase 등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홍삼 추출물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SOD나 catalase 및 peroxidase의 활성이 유의성있게 증가하다가 회복하였으며 감마선 조사 후 생리적 식염수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SOD, peroxidase 및 catalase의 활성이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감마선 조사후 홍삼 추출물 투여군은 SOD, peroxidase 및 catalase의 활성도가 감마선 조사 후 생리적 식염수 투여군에 비하여 보다 빠르게 회복되는 경향이었다. 그러므로 홍삼 추출물이 이온화 방사선 조사 후 장해로 일어나는 SOD, peroxidase 및 catalase 활성도의 변화에 회복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 PDF

흡연한 흰쥐 폐조직 항산화효소들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ntioxident Enzymes in the Lung of Rat Exposed to Cigarette Smoke)

  • 이영구;손형옥;임흥빈;이동욱;박준영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14
    • /
    • 1993
  • 공기중에 존재하는 여러 산화성 물질들은 호흡기의 손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이와같은 산화성 물질에 의한 손상은 폐에 존재하는 항산화 물질이나 항산화 효소들에 의해 감소 또는 예방될 수 있다. 저자들은 폐의 항산화방어 기전에 대한 흡연의 영향을 흰쥐에서 관찰하였다. 횐쥐를 6개피의 담배연기에 일일 20분씩 90일간 전신 폭로했을때 조직내의 catalase와 superoxlde dismutase(SOD)의 활성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5) 그러나 glutathione peroxidase의 활성도는 변화되지 않았고 thiol 화합물의 함량은 흡연 시작후 15일에 44%까지 감소되었으나 그후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한편, 횐쥐를 1, 3, 5, 10 및 20개피의 담배연기에 같은 방법으로 15일간 노출시켰을때, catalase는 개피수에 따라서 증가되었고 총 SOD의 활성도는 5개피 이하에서만 특이하게 증가되었으며 대부분 Zn-SOD이었다. 폐에는 한 종의 Cu, Zn-SOD (pI 4.9)와 CN에 내성이 있는 두종의 Mn-SOD(pI 4.7, pI 7.9)가 존재하였고, 등전점이 4.7인 Zn-SOD가 주된 동위효소로써 흡연에 의해 유도되는 형태였다. 이 결과들은 흡연으로부터 폐의 보호는 초기에는 항산화 물질들의 소모로, 그리고 만성 흡연의 경우는 항산화 효소들의 유도로 이루어지며. 특히 Zn-SOD (pI 4.7)와 catalase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Optimization of SOD Biosynthesis by Controlling Sucrose Concentration in the Culture of Carrot Hairy Root

  • Kim, Ji-Hyeon;Yoo, Young-J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2권4호
    • /
    • pp.617-621
    • /
    • 2002
  • In order to optimize the carrot hairy root culture for SOD production, a fed-batch culture of hairy roots was performed in a bioreactor. Maximum SOD activity was obtained when the hairy roots were transferred to the MS medium containing 110 g/1 concentration of sucrose. By controlling the sucrose concentration (70 g/1 sucrose for growth and 110 g/1 sucrose far production, respectively) In a two-stage fed-batch culture, 29 g/1 of the hairy roots was obtained based on the final dry mass. The volumetrically determined SOD activity and productivity in the fed-batch culture were about 6 times higher than those from the flask culture containing sucrose at 30 g/1 concentration.

Antiproliferative Effect of Artemisia argyi Extract against J774A.1 Cells and Subcellular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Changes

  • Lee, Tea-Eun;Park, Sie-Won;Min, Tae-Jin
    • BMB Reports
    • /
    • 제32권6호
    • /
    • pp.585-593
    • /
    • 1999
  • The water and methanol extracts of Artemisia argyi showed significant cytotoxicities against J774A.1 cells but not so much against normal leukocytes. The cytotoxicities were found to be dependent on the extract concentration and the incubation time. The concentration of water and methanol extracts inhibiting 50% of cell proliferation ($IC_{50}$) were estimated to be 44.2 mg/ml and 71.6 mg/ml, respectively. In the presence of Artemisia argyi water extract, total superoxide dismutase (CuZnSOD and MnSOD) activities of media, cytoplasmic and mitochondrial fractions of J774A.1 cells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cytotoxicity. MnSOD was found to be the main component of enhanced total SOD activities, particulary in the mitochondrial fraction. In contrast to SOD,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GPx) were not found in any instance of the current investigation. In addition, substantial amount of $O_2^-$ appeared to be generated in the mitochondrial fraction under the influence of Artemisia argyi. All data put together, it is postulated that Artemisia argyi extracts seem to stimulate $O_2^-$ generation in mitochondria of J774A.1 cells with concomitant increases of SODs. Since $H_2O_2$, the reaction product of SOD on $O_2^-$, is known to be readily converted to very toxic $OH{\cdot}$ in the absence of catalase and/or GPx cooperation, toxicity derived from ROS such as $O_2^-$, $H_2O_2$, and $OH{\cdot}$ may be the main cause of necrosis and/or apoptosis of J774A.1 cells.

  • PDF

카인산 유발 신경세포 변성 모델에 대한 Aspalatone의 항산화 작용. (Antioxidant effect of Aspalatone on KA-induced neurodegeneration in rat.)

  • 김진;남성원;구창휘;김형춘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5-95
    • /
    • 1995
  • 뇌신경 변성 / 퇴행과 관련된 중요한 병인론 중의 하나는 변성 과정에서 형성된 유리기(free radical)로 인한 항산화계의 평형 소실로 알려져 있다. Aspalatone (APT)의 예상되는 항산화 효능을 검정하기 위하여 본 실험에서는 Kainic acid (KA) 유발 뇌변성 모델을 적용하였다. KA 모델은 변연계의 간질성 경련과 신경세포 변성에 대하여 재현성 있는 병변 모델을 제공해 주며, 이와 같은 신경세포의 병독 기전에 산소 유리기가 관여함이 강력히 시사되고 있기 때문이다. KA 투여로 인하여 지속적이고도 전형적인 간질성 경련이 관찰되고 1일 이내에 높은 치사율을 보였으나 APT으로 인하여 그 간질성 경련 행위와 비율이 억제되고 KA 유발 치사율도 억제되었다. 최종 KA 투여 3일 후에 얻어진 흰쥐 해마 및 대뇌 피질에서 항산화 효소인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및 과산화지질의 지표인 Malondialdehyde (MDA)를 검정하였다. 대조군에 비하여 KA는 뇌조직의 SOD-1을 유도하였으나, Cat.와 GSH-PX의 활성은 현저히 유도되지 않았고, 반면에 MDA 치는 현저히 증가하였다. 즉, Cat., GSH-PX와 같은 $H_2O$$_2$중화제가 동반 유도하지 않는 SOD의 유도는 세포내 축적되는 $H_2O$$_2$로 인하여 Fenton/Haber-Weiss 반응을 가속화하여 과산화지질화를 촉진함을 시사한다. APT 병용 투여로 SOD는 현저히 유도되지 않았으나 특히 Cat.가 현저히 유도되어지고 MDA는 억제되었다. 이와 같은 생화학적인 결과는 다음의 형태학적인 소견과 일치한다. Fos 관련 항원 (FRA)와 SOD-1을 면역세포화학 (Immunocytochemistry)적 방법으로 이중 표식 (double-labelling) 하였다. FRA는 KA로 인한 신경세포의 자극에 대한 지표로 응용하였고, SOD-1은 퇴행성 뇌질환에서 산화적 손상의 지표로 사용하였다. KA 투여로 해마의 dentate gyrus (DG) 내에 강한 면역환성 (immunoreactivity)이 나타났고 pyramidal cell layer (PCL)와 glia에 SOD-1이 강하게 염색되었다. APT 병용 투여로 상당수의 경련이 일어나지 않은 흰쥐는 해마의 DG에 FRA가 경미하게 염색되었고, PCL에 SOD-1도 경미하게 나타났으나, 경련이 나타난 쥐에서는 KA만을 투여한 흰쥐와 구별되지 않았다. 이상의 APT의 항산화 효과는 KA로 인한 뇌세포 변성 개선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할 것으로 사료되나, 보다 명확한 APT의 기전을 검색하고 직접 임상에 응응하기 위하여는 보다 다양한 실험 조건이 보완되어야 찰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