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D like Activity

검색결과 578건 처리시간 0.033초

조경수목(造景樹木)의 대기오염물질(大氣汚染物質)에 대한 방어기능(防禦機能) (I) - SOD 활성(活性)을 중심으로 - (Resistance Functions of Woody Landscape Plants to Air Pollutants (I) - SOD Activity -)

  • 김명희;이수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1권2호
    • /
    • pp.164-176
    • /
    • 1992
  • 조경수목(造景樹木)들의 대기오염물질(大氣汚染物質)들에 대한 감수성(感受性) 및 저항성(抵抗性)을 규명하기 위해서 야외조사(野外調査)와 실내실험(室內實驗)을 통하여 엽내(棄內) 유황함량(硫黃含量)과 superoxide dismutase(SOD) 함량(含量)을 측정(測定) 분석(分析)하였다. 전(全) 수종(樹種)에서 엽내(棄內) 유황함량(硫黃含量)과 SOD 활성간(活性間)에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타내었다. 식물체(植物體)가 오염물질(汚染物質)에 대하여 자체방어(自體防禦)를 위하여 초기(初期)에는 효소활성(酵素活性)을 증대(增大)시키지만, 식물체(植物體)의 수용한계(收容限界)를 넘을 때는 오히려 효소(酵素)의 실활(失活)과 함께 식물체(植物體)가 피해(被害)를 받았다. 활엽수(闊葉樹)는 대기오염물질(大氣汚染物質)의 정화능력(淨化能力)이 큰 반면 침엽수(針葉樹)는 오염물질(汚染物質)에 대한 방어기능(防禦機能)이 크게 나타났다. 엽내(葉內) SOD 활성(活性)은 비오염지역(非汚染地域)과 오염지역간(汚染地域間)에 차이(差異)가 뚜렷하였는데, SOD 활성(活性)은 활엽수(闊葉樹)에 비하여 침엽수(針葉樹)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묘목(苗木)보다는 성목(盛木)에서 높았고, 소나무보다는 잣나무에서 활성(活性)이 높았으며, 튜립나무는 은행나무와 양버듬나무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나 SOD 활성(活性)이 높은 것이 대기오염물질(大氣汚染物質)에 대한 내성(耐性)이 강(强)함을 알 수 있었다. 고유(固有)의 SOD 활성(活性)이 높은 소나무 2년생(年生)잎과 잣나무 1, 2년생(年生)잎에서는 $SO_2$ 처리농도(處理濃度)가 강(强)해질수록 SOD 활성(活性)이 증가(增加)하였으나, 고유(固有)의 SOD 활성(活性)이 나은 수종(樹種)은 저농도(低濃度(0.5ppm)처리(處理)에서는 증가(增加)하고 고농도(高濃度) 처리(處理)에서는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 PDF

Protective Effect of Kaempferol on Cultured Neuroglial Cells Damaged by Induction of Ischemia-like Condition

  • Son, Young-Woo;Choi, Yu-Ran;Seo, Young-Mi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39-347
    • /
    • 201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ytotoxicity induced by ischemia-like condition (ILC) in cultured neuroglial cells (C6 glioma cells). The protective effect of kaempferol (KAE), flavonoid against the cytotoxicity induced by ILC induction was assessed. In addition, antioxidative effects of KAE were done by colorimetric assays. Cell viability and the antioxidative effects such as DPPH-radical scavenging activity,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and inhibitory activity of lipid peroxidation (LP) were analyzed. ILC induction decreased cell viabil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the $XTT_{90}$ value (low cytotoxicity value) and $XTT_{50}$ value (high cytotoxicity value) were determined during ILC induction for 15 and 40 minutes, respectively. The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ntioxidant significantly increased cell viability damaged by the ILC-induced cytotoxicity. In the protective effect of KAE on ILC-induced cytotoxicity, KAE protected the ILC-induced cytotoxicity by the significant increase of cell viability, and also it showed DPPH-radical scavenging ability, SOD-like ability and inhibitory ability of LP.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ILC induction showed cytotoxicity in these cultures and the oxidative stress is involved in the ILC-induced cytotoxicity. While, KAE prevented ILC-induced cytotoxicity by antioxidative effects. In conclusion, natural products like KAE may be a putative therapeutic agent for the treatment of disease associated with oxidative stress such as ischemia.

차조기(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잎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 with Water and Ethanol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Leaf)

  • 김미향;강우원;이난희;권대준;최웅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4호
    • /
    • pp.327-33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차조기의 30, 50, 70, 95% 에탄올 및 물추출물과 분획물의 전자 공여능, 지질산화 억제능, SOD 유사활성 및 xanthin oxid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의 전자 공여능은 $18{\sim}30%$ 정도로 낮았으나, 분획물에서는 95%과 70% 에탄올 추출물의 chloroform 분획이 50% 수준의 활성을 보였고, ethyl acetate 분획에서는 모든 추출용매에서 75% 이상의 활성을 보였다. 특히, 70% 에탄올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물이 93.4%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RC_{50}$에 요구되는 농도는 200.5 ppm이었다. 저장 온도 $40^{\circ}C$에서 linoleic acid의 자동산화를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난 추출물은 70% 에탄올 이었다. 분획물의 경우, 95% 에탄추출물은 hexane과 ethyl acetate 가용성분이 그 외 에탄올 추출과 물추출은 chloroform과 ethyl acetate 가용성분이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이 $28{\sim}32%$, 물추출물이 30.3%이었으며, 70% 에탄올 추출물이 32.4%로 가장 높았다. 분획물에서는 70% 에탄올 추출물의 ethyl acetate 가용분이 38.8%로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IC_{50}$에 요구되는 농도는 1549.0ppm이었다.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은 에탄올추출물이 $36{\sim}41.2%$이었으며, 물추출물이 46.9%로 추출물중 가장 높았다. 분획물에서는 물추출의 ethyl acetate 가용분이 1,000 ppm 농도에서 52%의 활성을 보여 가장 높았다.

마카 추출액의 생리활성 효과 (Biological Activities of Maca (Lepidium meyenii) Extracts)

  • 권윤숙;전인숙;황진현;임동민;강용수;정해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817-823
    • /
    • 2009
  • 본 실험에서는 마카를 기능성식품 소재로 사용하기 위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마카분말을 다양한 용매로 추출하고 추출수율, 총 폴리페놀 함량,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등을 측정하여 최적의 추출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회분 및 탄수화물 함량은 각각 6.57%, 12.83%, 1.05%, 4.80 및 74.75%로 나타났다. 추출수율은 물을 사용할 경우 46.2%로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등으로 추출하는 것보다 약 $2{\sim}200$배 높게 나타났다. 추출용매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은 물 추출액에서 328.68 mg/100 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자공여능은 메탄올 추출액이 52.36%로 가장 높았고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의 조건에서 물 추출액이 77.5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최적의 추출용매로 물을 선정하였고 물 추출 온도(30, 70, $100^{\circ}C$)와 시간(1, 3, 5시간)을 달리하여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변화를 측정한 결과 $100^{\circ}C$에서 3시간 또는 5시간 추출할 때 총 폴리페놀함량, 전자공여능 및 SOD 유사활성이 다른 조건에서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간과 에너지의 효율적 측면을 고려하여 마카분말을 $100^{\circ}C$에서 3시간 물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가죽나무(A. altissima) 부위별 에탄을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Ailanthus altissima)

  • 이양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89-394
    • /
    • 2007
  • 한방생약자원으로 사용되는 가죽나무(A. altissima)의 생리학적 활성을 조사하고자 뿌리와 줄기, 잎을 에탄올을 용매로 추출하여 농도에 따라 전자공여능, SOD유사활성,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였으며, xanthine oxidase와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1,000{\mu}g/mL$의 농도에서 뿌리와 줄기 추출물이 64.04%와 63.27%이었으며, 잎 추출물은 17.47%를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능은 $7.66%{\sim}50.00%$로 잎 추출물이 뿌리와 줄기에 비해 약 5배 이상 높았고, 아질산염 소거능에 있어서도 가죽나무 잎 추출물이 $1,000{\mu}g/mL$의 농도에서 pH 1.2와 3.0에서 98%이상의 높은 소거효과를 나타내었으며 $500{\mu}g/mL$의 농도에서도 90% 이상의 소거효과를 나타내었다. Xanthine oxidase저해 활성은 $1,000{\mu}g/mL$ 농도에서 뿌리와 줄기, 잎 추출물 모두에서 90% 이상의 저해율을 보였고, tyrosinase저해는 $2,000{\mu}g/mL$의 농도에서 뿌리 추출물이 62.01%로 가장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100{\mu}g/mL$의 농도에서도 57.70%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가죽나무는 한방생약자원으로 이용되는 뿌리(저근백피) 이외에도 잎은 높은 SOD 유사활성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며 줄기에서도 뿌리보다 높은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 및 유사한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므로 유용한 한방생약자원인 것으로 판단된다.

Profile of phenolic compounds, antioxidant and SOD activity of millet germplasm

  • Lee, Myung-Chul;Choi, Yu-Mi;Yun, Hyemyeong;Hyun, Do-Yoon;Lee, Sukyeung;Oh, Sejong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7-107
    • /
    • 2019
  • Millets are provided considerable amounts of nutrients and gluten-free cereal products and their rich non-nutritional compounds having proven health benefits, especially phenolic compounds. The aim of present investigation was to determine phenolic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nd SOD activity of three different millet of genetic resources namely, foxtail, proso and finger millet. Phenolic compounds were extracted from dehulled grain of genetic resources using methanol and examined for their total phenolic content (TPC), antioxidant activities and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The TPC range of hog millet, finger millet and finger millet range from 3.3 to 25.1, 11.1 to 29.0 and 3.8 to 94.3 gallic acid equivalent (GAE)mg/g, respectively. Most of TCP content in dehulled millet grains was distributed from 10 to 20 gallic acid equivalent (GAE)/g, but two accessions of finger millet (IT235690 and 235689) were showed over than 90.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measured by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inger millet and hog millet showed 26.4% and 26.7% in the mean of DPPH scavenging activity percentage, but foxtail millet was 13%. The finger millet showed the higher value than hog and foxtail millet in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Particularly, two accessions of finger millet (IT235690 and 235689) showed the highest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among the used millet genetic resources and will be primary resources for finger millet breeding to develop the appropriate breeding strategies.

  • PDF

한약재 복합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노화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tion and Anti-aging Effect of Mixed Extract from Korean Medicinal Herbs)

  • 황재규;윤종국;한길환;도은주;이진상;이은주;김종부;김미려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1-117
    • /
    • 2011
  • Objectives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effects of mixed extract from korean medicinal herbs (MIX) on oxidation/reduction reaction-related and aging-related enzyme in vitro. Methods : We performed MTT assay, collagenase inhibition assay, elastase inhibition assay, tyrosinase inhibition assay,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 SOD-like activity and xanthine oxidase inhibition assay. Results : Recently,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at elastin is also involved in inhibiting or repairing wrinkle formation, although collagen is a major factor in the skin wrinkle formation. The MIX showed 97% inhibition of collagenase activity, and 64% inhibition of elastase activity at 1 mg/ml concentration of MIX, next only to positive control, which indicate good efficacy for anti-wrinkle ingredient. Also it's treatment showed 34%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to relate whitening effect, at the same dose of MIX. Antioxidant activities were determined by DPPH radical scavenging, xanthine oxidase (XO) inhibiting activity and SOD-like activity. Also these scavenging, XO-inhibiting and SOD-like activities were measured in 91%, 80%, and 63% inhibition, respectively, at a treated dose of 1 mg/ml, compare to control.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ssibility of mixed korean medicinal herbs as a functional ingredient for anti-wrinkle and whitening, anti-oxidation and anti-aging cosmetic formula.

왕겨초액의 대량생산과 항노화 및 미백 효과 (Mass Production of Chaff-vinegar and Its Effect of Anti-Aging and Whitening)

  • 황재규;윤종국;김숙경;이상한;한길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08-214
    • /
    • 2012
  • 본 연구는 왕겨를 이용한 항산화, 항노화에 효과적인 초액을 대량생산하여 기능성을 검증하고 왕겨초액 내의 기능성물질을 분석하여 사업화의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하였다. 정제된 왕겨초액을 분획하여 기능성이 확인된 부분을 HPLC 기기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caffeic acid 외에 7종의 polyphenol 유래물질에서 기능성을 확인하였다. 기능성 화장품소재 시험으로는 세포 생존율 측정(MTT assay), 주름개선 (collagenase inhibition assay, elastase inhibition assay), 미백(tyrosinase inhibition assay), 항산화 시험(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 SOD-like activity, xanthine oxidase inhibition assay)이 실시하였다. 피부주름형성은 콜라겐의 합성과 분해가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최근 많은 연구에서 엘라스틴의 재형성과 분해 또한 주름형성 기전에서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왕겨초액은 $100{\mu}L/mL$의 농도에서 collagenase 저해효과가 100%, elastase 저해효과가 55% 이상으로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하였다. 왕겨초액은 $100{\mu}L/mL$의 농도에서 tyrosine에 대한 tyrosinase 저해효과가 80% 이상으로 미백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율, xanthine oxidase 저해와 SOD-like 활성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왕겨초액 $100{\mu}L/mL$의 농도에서 DPPH radical 소거율이 80%, xanthine oxidase 저해효과가 80%, 그리고 SOD-like 활성이 100%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정제 왕겨초액을 이용한 산업화를 위한 가능성을 타진하여 효과가 좋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왕겨초액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의 소재로 뿐만 아니라, 식품 및 의약외품의 품목허가를 통하여 고부가가치의 상품화소재로의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됩니다.

Antioxidant Activities of Ginseng Seeds Treated by Autoclaving

  • Bae, Hye-Min;Kim, Sung-Soo;Cho, Chang-Won;Yang, Deok-Chun;Ko, Sung-Kwon;Kim, Kyung-Tack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6권4호
    • /
    • pp.411-417
    • /
    • 2012
  • Ginseng seed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autoclaving temperatures and autoclaving times, and extracted with 80% methanol to measure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inseng seeds treated by autoclaving was measured by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2,2'-aziono-bis(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nd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As autoclaving temperature and time were increased, the L lightness value decreased and the redness value tended to increase.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was about three times higher in ginseng seeds treated with autoclaving at 130°C than in ginseng seeds that were not treat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as autoclaving temperature and time were increased. In particular, when the concentration was 100 ppm,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91.80% in ginseng seeds treated by autoclaving at $130^{\circ}C$, which was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FRAP and SOD-like antioxidant activity tended to increase significantly as autoclaving temperature and time were increased.

국내산 산채류의 물 및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in Water and Methanol Extracts from Korean Edible Wild Plants)

  • 이영민;배지현;정호영;김재현;박동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9-36
    • /
    • 2011
  • 연구에서는 산채류 34종의 물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한 후 항산화 활성을 탐색하여 산채류 유래 항산화물질을 탐색하고 기능성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항산화능 우수 산채류 선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산채류시료 34종을 물과 메탄올 추출하였을 때 추출 수율은 물 추출의 경우 4.6~34.6%이었고, 메탄올 추출의 경우 3.4~45.0%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물 추출물에서 4.6~183.8mg/g이고, 메탄올 추출물에서 8.2~270.4 mg/g이었다. 물과 메탄올 추출물에서 돌단풍(Aceriphyllum rossii )이 각각 183.8, 270.1 mg/g의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고, 공통적으로 광대싸리(Securinega suffruticosa), 기린초(Sedum kamtschaticum), 까치수영(Lysimachia barystachys), 송이풀(Pedicularis resupinata)이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은 까지수영, 돌단풍, 광대싸리, 기린초, 송이풀(Pedicularis resupinata), 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뻐꾹채(Rhapontica uniflora)에서 우수하였다. 변수간의 상관성을 분석했을 때,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SOD 유사활성 사이에는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들 측정치에서 공통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조사된 산채류는 송이풀, 광대싸리, 뻐꾹채, 까치수영, 돌단풍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