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NS 스트레스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6초

SNS 이용자 시민행동, 불량행동, 사회적 유대감,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 및 이용자 만족도간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user citizenship behavior, aberrant user behavior, social connectedness, privacy concern, and user satisfaction)

  • 김유정;김재영;한재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4994-5004
    • /
    • 2012
  • 본 Web2.0의 대표적 서비스인 소셜네트워킹사이트(Social Networking Site, SNS)도 하나의 가상 커뮤니티에 해당된다. 이에 SNS에서 이용자의 역할 외 활동(Extra-role activity)인 이용자 시민행동과 이용자 불량행동은 SNS 이용자의 만족도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고, 사회적 네트워크가 성공적으로 작동하는데 중요한 요인인 사회적 유대감과 사회적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에서 나타나는 이용자 스트레스 중 하나인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에도 영향을 주어 궁극적으로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NS 이용자의 시민행동과 불량행동, 사회적 유대감,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 및 이용자 만족도간의 구조적 관계를 고객행위관점에서 조사하였다. 본 연구모형에서 제시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143개의 유효 설문에 대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용자 시민행동이 이용자 만족도에 유의미한 수준에서 강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용자 불량행동은 이용자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자 시민행동이 사회적 유대감에 매우 강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이용자 불량행동과 사회적 유대감은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유대감과 이용자 만족도간의 관련성도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용자 불량행동은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와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와 사회적 유대감이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도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비붐세대와 노인세대의 행복영향요인의 차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actors Affecting Happiness between the Baby Boom Generation and the Elderly Generation)

  • 김소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591-602
    • /
    • 2021
  • 본 연구는 베이비붐세대와 노인세대의 행복영향요인을 비교분석하여, 노년기 행복감의 영향요인의 차이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2019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자료를 사용하여 베이비붐세대(1955~1963년 출생자) 7,831명과 노인세대(1954년이전 출생자) 7,620명 등 총 15,451명을 표본으로, 주관적 행복감의 정도와 행복감에 영향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회귀분석을 실시였다. 분석결과, 베이비붐세대의 행복감의 정도가 노인세대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행복영향요인으로 연령, 건강, 배우자유무, 종교유무, 경제수준, 직업유무, 여가활동, 문화생활참여, 가족관계, 경제적지지, 심리적지지, SNS참여, SNS이용만족도, 스트레스정도, 근린환경만족도, 녹지환경만족도 등이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두 집단에서 영향요인간에 차이를 보여주었다. 두 집단모두 가족관계가 행복감의 가장 큰 영향요인이었으나 다음으로 베이비붐세대에게는 여가활동참여를 통한 만족도가, 노인세대에게는 경제적지지유무, 즉 필요할 때 경제적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의 유무가 행복감에 큰 영향력을 갖고 있었다. 또한 베이비붐세대에는 영향이 없는 SNS참여정도가 노인세대에게는 유의미한 행복영향요인으로 나타나 디지털환경에의 참여가 노인세대에게 중요한 의미임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베이비붐세대와 노인세대는 집단적 특징면에서 유의미하게 다르며, 따라서 이들의 노년기 행복추구를 위한 사회복지적 대응은 차별적으로 접근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소셜 빅데이터와 Google 검색트렌드를 활용한 한국과 미국의 사이버불링 검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Social Factors Affecting Internet Searches on Cyber Bullying in Korea and America Using Social Big Data and Google Search Trends)

  • 송태민;송주영;천미경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7-7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 빅데이터와 Google 검색 트렌드를 활용하여 한국과 미국의 사이버불링 검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한국의 사이버불링 요인 분석은 2011년 1월 1일부터 2013년 3월 31일까지 총 227개 소셜미디어에서 수집된 검색통계를 활용하였고, 미국은 2004년 1월 1일부터 2013년 12월 22일까지 구글 검색트렌드에서 검색된 검색량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첫째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스트레스가 사이버불링에 미치는 영향은 한국이 미국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중집단 구조모형 분석결과 한국과 미국 모두 스트레스에서 운동, 음주, 사이버불링으로 가는 경로가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과 미국은 모든 경로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스트레스 ${\rightarrow}$ 운동', '스트레스 ${\rightarrow}$ 음주', '음주 ${\rightarrow}$ 사이버불링', '스트레스 ${\rightarrow}$ 사이버불링' 경로가 한국이 미국보다 더 유의하게 강하게 나타났다. 한국의 청소년과 성인은 사이버불링과 관련한 담론을 주고받으며, 이러한 언급이 실제적인 사이버불링과 관련된 심리적 행동적 특성으로 노출이 될 수 있기 때문에 SNS상에 사이버불링 행위에 대한 위험징후가 예측되면 실시간으로 개입할 수 있는 온라인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사이버상의 놀이 공간으로서 청소년의 덕후 문화 (Deokhu's culture in adolescent as a play space on Cyber)

  • 허정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87-94
    • /
    • 2018
  • 본 연구는 사이버상의 놀이 공간으로서 청소년이 경험한 덕후 문화에 대한 본질적 의미를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잠실에 거주하고, 덕후에 해당되는 13~17세 청소년 18명을 대상으로, 반구조적인 질문형식을 사용한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의 덕후 문화는 스트레스나 사회정서적 욕구로 인해 시작되고, 특히, SNS활동을 중심으로 팬덤, 굿즈 상품 구매 행위의 사이버상에서 놀이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이것은, 덕후로서의 자기 인식과 자아정체성 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입시 중암감으로 인한 놀이시간의 부족과 사회적으로 제공되는 놀이공간의 부족은 청소년들에게 사이버 공간을 또 다른 놀이공간으로 만들도록 하고 있다.

코로나 스트레스와 여가제약 그리고 행복감의 구조적관계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Covid-19 Stress, Leisure Constraints, and Happiness)

  • 이윤정;한아름;박세혁;서희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347-356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스트레스에 대한 인지와 여가제약 그리고 행복감의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활용하였고, 연구대상은 국내 성인으로 2021년 4월 6일~25일(20일간)에 SNS를 활용하여 총 314개의 표본을 이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WIN 27.0과 AMOS 27.0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코로나19 스트레스중 사회시스템에 대한 불안은 여가제약 중 내제적제약과 주조적제약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코로나 감염 포비아는 여가제약의 모든 하위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비정상적인 진실은 여가제약의 모든 하위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여가제약의 모든 하위변수는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 결과는 여가제약 협상과 여가제약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하리라 본다.

테크노스트레스가 반생산적 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chnostress 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 이재강;박태경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14
    • /
    • 2015
  • Due to advanc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s) and the advent of the Smartphone, people have access to the internet and can work at any time and any where. These are however likely to cause negative effects such as the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and invasion of privacy. Caused by negative aspects of ICTs, the stress is so-called technostress. Recently, it is reported that managers tend to task order to their subordinates using an SNS or mobile messenger on a real-time basis after office hours or even on holiday, leading to a sharp increase in technostress. While previous studies of stress indicate that it is associated with the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CWB), no empirical evidence has show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stress and CWB.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 of technostress on CWB. In addition, it seeks to cla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leader-member exchange(LMX) in this relationship. Drawing on literature regarding technostress and CWB, hypotheses are developed and tested with the sample of 101 using regression analyses. Results show that technostress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CWB, but LMX has an in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stress and CWB.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ith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presented.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기분화와 SNS 중독경향성과의 관계: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Self-Differentiation and Social Media Addiction Tendencies: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Parenting Stress)

  • 채민경;장경은;김은혜;최유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187-203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parenting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lf-differentiation and the tendency of addiction to social media.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two hundred and eight mothers with children aged 36 months or younger.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frequenc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self-differenti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ir parenting stress and social media addiction tendency. Second, both the total scores of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their distress were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lf-differentiation and social media addiction tendency. However, the mothers' daily stress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Conclusion/Implications: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hav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ways of intervening in mothers' social media addiction tendency by reducing their parenting stress, particularly for mothers with low levels of self-differentiation.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중독경향, 상향비교성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cademic stress, 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tendency, and upward social comparison on depression in nursing students)

  • 박승미;이정림;유수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1-50
    • /
    • 2023
  • Purpose: The aim of this descriptive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risk among South Korean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nursing students attending two universities through web-based questionnaires that surveyed them about depression, academic stress, social network service (SNS) addiction tendency, and upward social comparison from August 22 to September 4, 2021. The collected data from 196 nursing students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The mean score of depression (using CES-D Korean version) among nursing students was 13.91, which denotes probable depression. Concerning the variance with regard to depression among nursing students, 20.2% was explained by clinical practice period, academic stress, and upward social comparison. Conclusion: Programs to relieve academic stress and depression should be developed in a simple way and systematically provided at the organizational level so that nursing students secure sufficient support during the initial and continuing period of clinical practicums. Concomitantly, an attempt to reduce the upward social comparison should be highly considered.

노인의 온라인 사회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nline Social Relationship on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in South Korea)

  • 윤현숙;이은경;범경아;김영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623-637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의 온라인 사회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서울 소재 복지관 2곳의 정보화교육프로그램(컴퓨터 기초반, 스마트폰반, 인터넷반)에 참여한 60세 이상 노인 총 1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결과를 분석하였다. Williams(2006)의 사회자본척도(On and Off the 'Net' Scales for Social Capital in an Online Era)를 사용해 노인의 온라인 사회관계를 측정하였으며, 온라인 사회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 변수, 건강관련 변수, 스트레스 변수를 모두 통제한 상태에서도 온라인 결속형 사회관계는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역 내 온라인 결속형 사회관계 강화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IT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온라인 결속형 사회관계를 강화시키는 것이 노인의 우울감소에 도움이 됨을 시사하고 있다.

화예디자인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 (Preceding Research for Developing Floral Design Education Contents)

  • 홍윤주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2호
    • /
    • pp.97-116
    • /
    • 2020
  • 본 논문에서 현대사회는 인구감소와 평균수명의 증가로 평생교육과 원격교육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질 좋은 교육적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게다가 일상과 학습이 함께 결합되는 교육의 대중화와 일상화가 교육적 특징이다. 개개인은 더욱 쉽게 지식에 다가갈 수 있게 되었으며 이에 동영상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영상 콘텐츠는 교육의 대중화와 일상화를 이끌어내는 가장 기본 매체이며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미디어 콘텐츠 제작, 편집기술의 대중화로 누구나 쉽게 만들고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영상교육콘텐츠 사업은 SNS를 통해 세계적으로 증대할 것으로 보이는데 특히, 화예디자인 관련 영상콘텐츠 교육산업은 환경이 필수인 시대에 적합한 콘텐츠 분야로 여겨진다. '1인가구, 1인 미디어' 시대가 특징인 현시대에 식물로 구성된 환경은 인간의 정서적인 능률과 환경의 쾌적성, 안정감을 회복시켜서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해 준다. 즉 본능적으로 인간은 자연에 대한 선호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식물은 인간성 회복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배경 하에 화예디자인은 고성장, 고부가가치 및 고용 창출 효과가 높은 유망산업분야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인류 4차 혁명시대에 경쟁력 있는 영상콘텐츠는 미래국가의 성장을 좌우 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화예디자인 분야 교육콘텐츠 산업에 수요자 눈높이에 맞는 의견과 감성적인 사고가 반영된다면 더욱 발전된 화예디자인 분야의 발전을 기대해 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