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NP

검색결과 1,352건 처리시간 0.037초

Genome-Wide SNP Calling Using Next Generation Sequencing Data in Tomato

  • Kim, Ji-Eun;Oh, Sang-Keun;Lee, Jeong-Hee;Lee, Bo-Mi;Jo, Sung-Hwan
    • Molecules and Cells
    • /
    • 제37권1호
    • /
    • pp.36-42
    • /
    • 2014
  • The tomato (Solanum lycopersicum L.) is a model plant for genome research in Solanaceae, as well as for studying crop breeding. Genome-wid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are a valuable resource in genetic research and breeding. However, to do discovery of genome-wide SNPs, most methods require expensive high-depth sequencing. Here, we describe a method for SNP calling using a modified version of SAMtools that improved its sensitivity. We analyzed 90 Gb of raw sequence data from next-generation sequencing of two resequencing and seven transcriptome data sets from several tomato accessions. Our study identified 4,812,432 non-redundant SNPs. Moreover, the workflow of SNP calling was improved by aligning the reference genome with its own raw data. Using this approach, 131,785 SNPs were discovered from transcriptome data of seven accessions. In addition, 4,680,647 SNPs were identified from the genome of S. pimpinellifolium, which are 60 times more than 71,637 of the PI212816 transcriptome. SNP distribution was compared between the whole genome and transcriptome of S. pimpinellifolium. Moreover, we surveyed the location of SNPs within genic and intergenic regions.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sufficient genome-wide SNP markers and very sensitive SNP calling method allow for application of marker assisted breeding and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RNA 시퀀싱 데이터를 이용한 병렬 SNP 추출 알고리즘 (A parallel SNP detection algorithm for RNA-Seq data)

  • 김덕근;이덕해;공진화;이은주;윤지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260-1263
    • /
    • 2011
  • 최근 차세대 시퀀싱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기술이 발전하면서 DNA, RNA 등의 시퀀싱 데이터를 이용한 유전체 분석 방식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차세대 시퀀싱 데이터를 이용한 유전체 분석 방식은 마이크로어레이 혹은 EST/cDNA 데이터를 이용한 기존의 분석 방식에 비하여 비용이 적게 들고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들 DNA, RNA 시퀀싱 데이터는 각 시퀀스의 길이가 짧고 전체 용량은 매우 커서 이 들 데이터로부터 정확한 분석 결과를 추출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대용량의 RNA 시퀀싱 데이터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병렬 SNP 추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전체 게놈 데이터 중 유전자 영역만을 high coverage로 시퀀싱하여 얻어지는 RNA 시퀀싱 데이터는 유전자 변이 추출을 목적으로 분석되며,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와 같은 유전자 변이는 질병의 원인 규명 및 치료법 개발에 직접 이용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동시에 실행되는 다수의 Map/Reduce 함수에 의해서 대규모 RNA 시퀀스를 병렬로 처리하며, 레퍼런스 시퀀스에 매핑된 각 염기의 출현 빈도와 품질점수를 이용하여 SNP를 추출한다. 또한 이 들 SNP 추출 결과에 대한 시각적 분석 도구를 제공하여 SNP 추출 과정 및 근거를 시각적으로 확인/검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전장유전체 SNP 기반 decision tree를 이용한 누에 품종 판별 (Identification of Domesticated Silkworm Varieties Using a Whole Genom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based Decision Tree)

  • 박종우;박정선;정찬영;권혁규;강상국;김성완;김남숙;김기영;김익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947-955
    • /
    • 2022
  • 최근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 주목받고 있는 누에가 품종 간 기능성 차이를 나타냄에 따라 품종판별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누에의 유전체 내에 존재하는 단일염기가형성(SNP)를 바이오 마커로 이용해 10개의 누에 품종(백황잠, 백옥잠, 대백잠, 대박잠, 대황잠, 골든실크, 항생잠, 주황잠, 금강잠 및 금옥잠)을 판별하기 위하여 전장유전체를 분석하였다. 또한 각 품종 특이적인 SNP를 선발하여 품종을 판별하고자 9개의 SNP를 선발하고 각 품종을 교차 검증 할 수 있는 결정 트리를 작성하여 순차적인 분석을 통한 품종 구분을 실시하였다. 대황잠과 골든실크 그리고 금강잠과 대박잠을 구분하는 각각의 SNP867 및 SNP9183에 대해서는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을 이용하고, 그 외의 SNP에 대해서는 Tetra-primer Amplification Refractory Mutation Syst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SNP780부터 SNP9183까지 9개의 SNP를 이용하여 동일 집단을 분리하거나 품종을 선발할 수 있었으며, 해당 영역에 대한 염기서열 분석 결과 대립 유전자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볼 때, 누에 전체 게놈의 SNP와 결정 트리를 이용한 방법은 누에 품종 구분을 위한 판별마커로 이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Paraquat 유도 산화스트레스하의 배추 잎에서 Ascorbate-Glutathione 회로 효소의 활성도에 대한 산화질소 (Nitric oxide)의 효과 (Effects of nitric oxide on ascorbate-glutathione cycle enzymes activities in chinese cabbage leaves under paraquat-induced oxidative stress)

  • 나호견;진창덕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1권2호
    • /
    • pp.73-80
    • /
    • 2014
  • 산화질소(nitric oxide: NO) 공여체인 $100{\mu}M$ sodium nitroprusside (SNP)를 배추 잎에 전처리한 후 이어서 $2{\mu}M$ paraquat (PQ)처리 시, PQ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손상에 대한 잎의 내성이 효과적으로 증진되었다. 24 시간 광 배양기간 동안 PQ 단독 처리구 잎에서는 생체량, 엽록소 및 단백질 함량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PQ 노출 전에 3시간 SNP 전처리로 이들 잎 손상이 의미 있게 완화되었다. 게다가 PQ 처리에 기인된 malondialdehyde (MDA)와 $H_2O_2$ 함량 증가도 SNP 전처리에 의해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잎에서 이들 PQ 독성에 대한 SNP의 방어효과와 관련하여 ascorbate-glutathione 회로 구성 효소의 활성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PQ 단독 처리구에서 APX, DHAR 및 GR 효소 활성도는 배양 6시간후에 급격히 감소되어 대조구 잎과 비교 시 각각 대조구의 19%, 50%, 39% 수준의 활성도 값을 보였다. 그러나, 이들 효소 활성도 값 감소는 SNP 전처리에 의해 현저하게 억제되어 6시간 배양 후에 PQ 단독처리구 보다 각각 5배, 2배, 1.5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그 이후 24시간 배양 때까지 PQ 단독 처리구보다 계속 높은 활성도를 보이면서 점차로 감소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PQ에 노출된 배추 잎에서 SNP 전처리에 의한 ascorbate-glutathione 회로의 활성화가 $H_2O_2$의 축적을 억제하며 그로인해 PQ에 의해 유도된 산화스트레스로부터 잎을 방어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동시에 이 들 결과는 산화질소가 배추 잎에서 PQ 스트레스에 대한 항산화 방어자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전자 단위 haplotype을 대변하는 토마토 Tag-SNP 선발 및 웹 데이터베이스 구축 (Tag-SNP selection and online database construction for haplotype-based marker development in tomato)

  • 정혜리;이보미;이봉우;오재은;이정희;김지은;조성환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7권3호
    • /
    • pp.218-226
    • /
    • 2020
  • 유전체 정보가 공공 데이터베이스 내에 빠르게 축적이 되면서 유전체 데이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재가공 기술과 공유 기술이 지속적으로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분자육종을 가속화하기 위해서 다양한 목적에 맞는 분자 마커 개발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요구를 해소하기 위해 유전자 단위에서 haplotype을 기본단위로 구분하고 해당 유전자의 haplotype을 대변하는 tag-SNP를 선발하여 분자 마커 등을 개발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웹 사이트를 통해서 제공하고자 웹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선발된 각 tag-SNP는 하나의 유전자를 대변할 수 있고, 각 유전자의 haplotype을 구분할 수 있으며, 해당 유전자의 염색체 내 위치 정보, non-synonymous SNP의 정보를 담고 있다. 따라서 기존 무작위 방식으로 선발되어 사용되던 SNP에 비하여 정보력이 높은 tag-SNP를 활용해서 haplotype block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Haplotype의 기본 단위를 유전자로 설정함으로써 집단이 바뀜에 따라 발생하는 SNP의 유무, LD block의 크기 등이 변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표준화된 haplotype library 작성이 가능할 것이며 이는 또한 분자육종을 위한 분자 마커를 선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우 14번 염색체 QTL 영역내 Fatty acid binding protein 5 유전자의 다형성과 도체 및 육질 형질과의 관련성 분석 (Association between the Polymorphism of the Fatty acid binding protein 5 (FABP5) Gene within the BTA 14 QTL Region and Carcass/Meat Quality Traits in Hanwoo)

  • 허강녕;김남국;이승환;김남영;전진태;박응우;오성종;김태헌;성환후;윤두학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4호
    • /
    • pp.311-317
    • /
    • 2011
  • 본 연구는 한우에서 소 염색체 14번(BTA14)에서 근내지방도 및 도체중과 관련성이 보고된 QTL영역(48-58cM) 내의 FABP5 유전자를 대상으로 SNP를 발굴하고 도체형질과의 관련성 분석을 위하여 수행하였다. PCR 및 염기서열결정법을 통해 FABP5 유전자내 4개의 SNP (-1141A>G, 949A>G, 969A>G, 1085C>G)를 발굴하였고, 이중 promoter 영역에 위치하는 SNP의 경우 미 보고된 신규 SNP로 확인되었다. 발굴된 4개의 SNP를 대상으로 표현형 기록치를 보유한 후대검정후 583두에 대하여 유전자형 분석 및 관련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4개의 SNP중 SNP1(-1141A>G)은 근내지방도에 있어서 G유전자형이 A유전자형에 비해서 근내지방도가 2.2 정도 높았고, SNP2 (949A>G)는 배최장근 단면적에 있어서 G유전자형이 A유전자형보다 배장근단면적에 있어서 3 $cm^2$ 만큼 높은 효과를 보였다. 본 결과에 대해 추후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되어지며, FABP5의 SNPs은 한우의 도체 및 육질 관련 형질을 위한 유전자 마커로서 활용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단감 품종 판별을 위한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마커 적용 검정 (The Application o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Markers for Discrimination of Sweet Persimmon Cultivars)

  • 박여옥;최성태;손지영;김은경;안광환;박지혜;정완규;장영호;김동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7호
    • /
    • pp.614-624
    • /
    • 2020
  • 최근 next-generation sequencing technology의 발달로 유전체 분석 사례는 증가하고 있으나, 단감에 있어 적용 가능한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마커 및 적용 결과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우리나라 고유 떫은감 5품종으로부터 개발된 SNP primer 들을 단감 품종에 적용하여 사용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수행하였다. Jung 등에 의해 개발된 19개 SNP primer들의 PCR 조건을 확인 한 후 본 실험의 전기영동 방식으로는 분석이 매우 어려웠던 8개의 primer를 제외한 11개의 SNP primer들을 최종 선발하였다. 1, 2차 검증을 통해 최종 선발된 11개의 SNP primer 들을 76품종 및 계통(불완전단감 20, 완전단감 30, 완전떫은감 20, 불완전떫은감 6)에 적용한 결과 38품종 및 계통(불완전단감 8, 완전단감 18, 완전떫은감 9, 불완전떫은감 3품종)은 각 품종 및 계통 간 구분을 할 수가 없었다. 그러나 최종 선발된 11개의 SNP primer 들을 신품종에 적용한 결과만를 보면 '감누리', '단누리', '홍추'와 '자미시', '미감조생'을 동시에 구분할 수 있어 단감 신품종 판별을 위한 특이적 마커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산과 중국산 새꼬막(Scapharca subcrenata)의 원산지 판별을 위한 SNP 마커의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nd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Markers toDetermine Country of Origin of Korean and Chinese Scapharca subcrenata)

  • 최성석;유승현;서용배;김종오;권익정;배소희;김군도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1025-1035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과 중국산 새꼬막(Scapharca subcrenata) 사이의 원산지 판별을 위하여 quantitative real-time PCR (qPCR)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 (SNP) 마커의 primer set를 개발 및 검증하였다. 총 180개의 새꼬막 sample을 genotyping by sequencing으로 분석하여 원산지 판별에 유용할 것이라 판단되는 7개의 후보 MS 마커와 15개의 후보 SNP 마커를 선정하였다. 후보 SNP 마커는 PCR과 sanger sequencing, SYBR green-based qPCR을 통해 원산지별 분리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 중 Insertion 1, SNP 21 마커가 qPCR 증폭 양상에서 집단이 확연히 분리되었으며 예상과 실제 증폭 형태가 일치하였다. 추가적으로 새꼬막을 무작위로 섞어서 진행한 blind test에서 Insertion 1은 새꼬막 100개에 대하여 74%의 정확도, 52%의 민감도, 96%의 특이도를 보였고, SNP 21은 새꼬막 137개에 대하여 86%의 정확도, 79%의 민감도, 93%의 특이도를 보였다. 따라서 개발된 두 개의 SNP 마커는 독립적 또는 복합적으로 사용하면 새꼬막 원산지 판별의 진위 여부를 검증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복합 질환 관련 SNP 상호작용 예측을 위한 국소탐색 알고리즘 (A local search algorithm for predicting epistatic interactions of SNPs)

  • 홍원표;위규범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395-1398
    • /
    • 2010
  • 최근 GWAS(Genome-wide association study)로 인해 수십만 개의 SNP들이 사용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SNP 정보의 양이 방대하여 모든 SNP 조합을 검토하는 방식은 계산 비용이 클 뿐 아니라 오버피팅의 위험이 따른다. 본 논문에서는 필터링 기반 알고리즘인 SNPHarvester의 속도를 개선하고 평가함수를 상호정보량으로 대체하여 실험한다. 기존 SNPHarvester와 비교해 속도면에서 50%가 향상되었고 평가함수 면에서는 기존 SNPHarvester와 동일한 성능을 보였다.

봉양침액(蜂藥鍼液)과 melittin이 RAW 264.7세포(細胞)의 NO, iNOS 및 MAPK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s of Bee Venom and Melittin on NO, iNOS and MAP Kinase Family in RAW 264.7Cellscells)

  • 강준;송호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1권3호
    • /
    • pp.107-119
    • /
    • 2004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ee Venom and melittin on the lipopolysaccharide(LPS) and sodium nitroprusside(SNP)-induced expressions of Cell viability, nitric oxide(NO),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OS), extra-signal response kinase(ERK), jun N-terminal Kinase(JNK) and p38 kinase(p38)-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MAPK) Family- in RAW 264.7 cells, a murine macrophage cell line. Methods : The expressions of cell viability by MTT assay, NO by Nitrite assay and iNOS, ERK, JNK and p38 were determined by Western blotting. Results : 1.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0.5, 1, $5{\mu}g/m{\ell}$ bee venom and 5, $10{\mu}g/m{\ell}$ melittin increased cell viability of RAW 264.7 induced by LPS and SNP significantly respectively. 2.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0.5, 1, $5{\mu}g/m{\ell}$ bee venom and 5, $10{\mu}g/m{\ell}$ melittin inhibited expression of NO induced by LPS and SNP significantly respectively. 3.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1, $5{\mu}g/m{\ell}$ bee venom and 5, $10{\mu}g/m{\ell}$ melittin inhibited expression of iNOS induced by LPS significantly and 0.5, 1, $5{\mu}g/m{\ell}$ bee venom and 5, $10{\mu}g/m{\ell}$ melittin inhibited expression of iNOS induced by SNP significantly. 4.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expression of ERK induced by LPS and SNP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treatment groups of $5{\mu}g/m{\ell}$ bee venom and 5, $10{\mu}g/m{\ell}$ melittin, which of p-ERK by LPS also did in 1, $5{\mu}g/m{\ell}$ bee venom and 5, $10{\mu}g/m{\ell}$ melittin, but which of p-ERK by SNP did not decrease. 5.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expression of JNK induced by LPS and SNP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treatment groups of 5, $10{\mu}g/m{\ell}$ melittin, which of p-JNK by LPS in 5, $10{\mu}g/m{\ell}$ melittin and by SNP in $1{\mu}g/m{\ell}$ bee venom and $10{\mu}g/m{\ell}$ melittin decreased significantly. 6.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expression of p38 induced by LPS did not have significant difference, which induced by SNP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treatment groups of 1, $5{\mu}g/m{\ell}$ bee venom and 5, $10{\mu}g/m{\ell}$ melittin. p-p38 induced by LP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treatment group of $10{\mu}g/m{\ell}$ of melittin, which induced by SNP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in 0.5, 1, $5{\mu}g/m{\ell}$ bee venom and 5, $10{\mu}g/m{\ell}$ melitt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