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iShing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SMiShing 어플리케이션 탐지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MiShing Application Detection Technique)

  • 장현수;손태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16-419
    • /
    • 2014
  • 스미싱(SMiShing) 공격은 문자메시지(SMS)를 이용하여 정보를 유출하거나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를 일컫는다. 본 논문에서는 공격자의 공격유형에 따라 스미싱을 "직접 정보 유출", "파밍/피싱 사이트 유도", "악성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유도"로 분류하였고 스미싱 공격의 시나리오를 통해 스미싱 공격을 표현하였다. 그 후 스미싱 방지 기술 동향을 파악을 위한 기존의 대응 기법들을 조사를 하고 기존의 스미싱 탐지 기법인 URL 검사와 APK 파일 분석 기법을 접목시킨 스미싱 탐지 모델을 제안한다.

Phishing, Vishing, SMiShing 공격에서 공인인증을 통한 정보침해 방지 연구 (A Study of Information Leakage Prevention through Certified Authentication in Phishing, Vishing, SMiShing Attacks)

  • 박대우;서정만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71-180
    • /
    • 2007
  • 최근의 사이버 범죄 중 사기성 피싱, 파밍, 비싱, 스미싱 등을 이용한 금융범죄가 늘어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회공학 기법과 VoIP를 이용하는 피싱, 비싱, 스미싱으로 정보의 유출과 침해가 얼마나 손쉽게 발생할 수 있는지 실험을 통해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해커가 피싱과 비싱 사이트를 제작하고 서버를 구축하여 피싱 메일 및 바이러스, 악성코드, 비싱, 스미싱 문자, 키로거 방지 S/W의 무력화 등을 통한 사용자의 정보침해 과정을 실험한다. 실험 결과에서 피싱과 비싱, 스미싱으로 인한 정보가 유출 및 침해됨을 확인하고, 방지 대책으로 공인인증서와 White List 및 공인인증마크, 플러그 인 프로그램 설치 등을 실험하여 보안이 됨을 증명한다. 본 논문의 피싱과 비싱 공격에 대한 기술적인 실험 및 방지대책은 정보침해의 피해를 줄이고, 유비쿼터스 정보보안을 위한 학문 기술적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 PDF

테인트드로이드를 이용한 스미싱 탐지 기법 연구 (A Study on SMiShing Detection Technique using TaintDroid)

  • 조지호;신지용;이극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3-9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테인트드로이드(TaintDroid)를 이용한 스미싱 탐지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스마트폰 사용자가 스미싱으로 의심되는 URL이 포함된 문자메시지를 수신 하였을 때 테인트드로이드 서버로 URL을 전송하여 테인트드로이드 서버의 가상디바이스에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악성행위를 탐지한다. 실제 스마트폰에서 스미싱으로 의심되어 설치하지 못하였던 애플리케이션은 가상 디바이스를 통하여 테스트하고 악성행위를 하는 애플리케이션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테인트드로이드를 이용한 스미싱 탐지 기법은 새로운 형태의 스미싱 문자메시지의 탐지가 가능하며 사용자가 분석결과를 통해 어떤 애플리케이션인지의 확인이 가능하다.

Windows 시스템 파일에 기생하는 악성코드의 치료 방법 연구 (A Study on Treatment Way of a Malicious Code to injected in Windows System File)

  • 박희환;박대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55-262
    • /
    • 2006
  • 개인 정보의 탈취에 필요한 악성코드는 Phishing, Pharming메일, VoIP 서비스를 이용하는 Vishing, 모바일 금융을 위장한 SMiShing등에 이용되어진다. 악성코드의 삭제나 치료는 앤티바이러스나 스파이웨어 제거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그런데 Windows 시스템 파일에 기생하여 기생 동작하는 악성코드는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반드시 실행되어야 하는 프로세스인 lsass.exe, winlogon.exe, csrss.exe와 연계되어 있어 치료가 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바이러스의 치료를 위하여 임의로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하려 한다면 운영체제 시스템 전체가 리부팅이 발생하거나 블루 스크린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치명적인 결과를 발생하는 Windows 시스템 파일에 기생하는 악성코드를 치료하는 새로운 치료방법을 제안한다. 새로운 치료를 위한 Thread에 종료함수를 임의로 삽입하고 Thread를 제어하여 기생 동작을 종료하고, 종료함수가 가지는 Thread를 다시 Injection 한 후 KILL DLL 클릭하여 삭제한다. 본 논문에서 실험을 한 치료방법과 해결하는 방안은 컴퓨터 바이러스의 대한 획기적인 차원의 연구가 될 것이며 경제와 금융사회의 유비쿼터스보안을 강화하는 초석이 될 것이다.

  • PDF

DLL injection 기법을 이용하는 악성코드의 새로운 치료 방법 연구 (A Study on New Treatment Way of a Malicious Code to Use a DLL Injection Technique)

  • 박희환;박대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251-258
    • /
    • 2006
  • 개인 정보의 탈취에 필요한 악성코드는 Phishing, Pharming메일, VoIP서비스를 이용하는 Vishing, 모바일 금융을 위장한 SMiShing 등에 이용되어진다. 악성코드의 삭제나 치료는 앤티바이러스나 스파이웨어 제거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그런데 DLL Injection 기법을 이용하여 기생 동작하는 악성코드는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반드시 실행되어야 하는 프로세스인 Isass.exe, winlogon.exe, csrss.exe와 연계되어 있어 치료가 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바이러스의 치료를 위하여 임의로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하려 한다면, 운영체제 시스템 전체가 리부팅이 발생하거나 블루 스크린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치명적인 결과를 발생하는 DLL Injection 기법을 이용하는 악성코드를 치료하는 새로운 치료방법을 제안한다. 새로운 치료를 위한 Thread에 종료함수를 임의로 삽입하고 Thread를 제어하여 DLL의 동작을 종료하고, 종료함수가 가지는 Thread를 다시 Injection 한 후 KILL DLL 클릭하여 삭제한다. 본 논문에서 실험을 한 치료방법과 해결하는 방안은 컴퓨터 바이러스의 대한 획기적인 차원의 연구가 될 것이며 경제와 금융사회의 유비쿼터스 보안을 강화하는 초석이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