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S-RMA2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6초

SMS와 WMS를 이용한 하천의 수리학적 분석 연구 -공도.평택 수위관측소 구간을 대상으로- (A Study on Hydraulic Analysis Using SMS and WMS -for Stream Reach between Gongdo and Pyeongtaek Water Level Gauge Stations-)

  • 박민지;박근애;김성준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8-62
    • /
    • 2006
  • 본 연구는 SMS의 RMA-2를 이용한 하천흐름 해석에서 WMS HEC-1으로 모의된 하천 본류 및 지류의 수리량을 동적인 경계 입력자료로 하여 다양한 시나리오별로 하천내의 흐름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안성천 유역의 공도와 평택수위관측소 구간(10.5 km)에 대하여 WMS로 모의한 50, 100, 500, 1000년 빈도별 시단위 유량을 본류 및 3개 지류의 유량 경계조건으로 적용하여 하천의 수리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SMS RMA-2의 동적 조건(dynamic condition)으로 구동한 결과, 하천 본류구간의 시간별 수위 및 유속분포를 모의할 수 있었다. 빈도를 증가시킬수록 측점별 평균 유속과 수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지류가 유입되는 본류지점의 가까운 하류부에서 하천 폭이 좁으면 유속이 크게 증가하였다.

  • PDF

SMS를 이용한 경안천 하류구간의 하천흐름 분석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Using SMS RMA2 and SED2D Model in the Downstream of Gyeongan-Cheon)

  • 홍성민;정인균;이준우;김성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4-104
    • /
    • 2004
  • 본 연구는 경안천 하류구간(13.8km)을 대상으로 SMS의 RMA2모형과 SES2D 모형을 이용하여 2002년 경안관측소의 최대홍수위를 기록한 8월 7일의 수리분석을 실시하였다. RMA2모형을 적용하기 위하여 RIMGIS데이터의 하천측량자료를 이용하여 입력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생성된 지형자료를 2차원 유한요소망으로 변환하여 모형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정류 상태의 모의를 적용하였으며, 모형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인자에 대해서는 선행 연구에서 실시한 민감도 분석결과를 고려하였고, 기타 입력인자는 통계연보 및 하천정비계획서를 참고하였다. 또한 대상하천에 SED2D 모형을 적용하여 홍수사상에 대한 하천의 하상 변동에 대한 모의를 실시하였으며, 대상 하천의 홍수시 유속은 0.05~3.85m/s의 분포로 상류와 하류의 큰 차이를 보였고, 하상변화는 0.0003~0.0135m가 발생하였다.

  • PDF

모의 시험장의 유도틀 설치에 따른 수리 특성 (Hydraulic characteristic by induced cast construction of simulation experiment station)

  • 김현호;맹승진;연규방;이승욱;김형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60-164
    • /
    • 2011
  • 경기도 안산시 시화습지내에 위치한 하안 유도 시험장에 직선수로와 곡선수로를 시공하였다. 각각의 수로에 유도틀을 설치한 후 수리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2차원 모형인 SMS를 이용하여 유량조건에 따른 유속 및 침식, 퇴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예측하였다. SMS 모형 중 2차원 수리분석을 위한 RMA2 모형과 유사이송현황을 모의할 수 있는 SED2D 모형을 이용하여 하안유도 시험장에 적용하였으며 하안 유도 시험장은 크게 직선수로와 곡선수로로 구분하였다. 각각의 수로에 설치되는 유도틀은 ㄷ자형, ㄷㅂ자형, 직사각형, 마름모형이 있고, 총 10가지 경우로 하여 시험장 유도틀 형태별 2차원 수치모의를 분석하였다. 유속을 모의하기 위해 RMA2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침식 및 퇴적을 모의하기 위해 SED2D모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모의결과를 통해 실제 하천에서 유도틀 시공시 유량에 대한 하류 구간 대책을 수립하는 기초자료 활용하고자 한다.

  • PDF

교각 주변의 저수류 (低水流) 흐름 변화에 대한 2차원 분석 (2-D Analysis of the Low Flow Variation Around the Bridge Pier)

  • 연인성;이재경;연규방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91-97
    • /
    • 2009
  • 하천을 횡단하는 구조물들은 흐름을 변화시킬 뿐 아니라, 산지 및 중소하천에서 유송잡물로 인한 수위 상승의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유속 및 경사 등의 하천특성인자와 교각의 영향으로 변화되는 흐름을 2차원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강우로 인해 변화된 유량이 흐름에 미치는 영향도 비교하였다. 하도내의 유속은 SMS (Surface water Modeling System) 및 RMA2 모형을 통해서 분석할 수 있었으며, 경사가 크고, 하도의 폭이 좁은 구간에서 비교적 유속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각 주변에서는 교각과 교각 사이의 중심부에서 유속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강우로 인해 증가된 유량은 유속을 증가시키고 흐름 분포를 현저하게 변화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용담댐 방류에 따른 하상변동 예측 (Prediction of River Bed Change due to Yongdam Dam Discharge)

  • 김영복;정승권;심순보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69-8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댐하류부에서 댐의 방류량에 따른 하상변동을 예측하기 위하여 SMS 모형을 사용하여 2차원 분석을 실시하였다. 용담다목적댐 하류유역인 금강 상류지역에 RMA-2 및 SED-2 모형을 이용하여 수리분석 및 유사이동을 통한 하상변동 모의를 실시한 결과 만곡수로에 대한 횡단면 침식 및 퇴적의 정량적 경향, 교각부근에서 세굴경향의 시각적 분석이 가능하였다. 만곡부인 No.176(1.4 km)지점에서는 $-102.4 mm{\sim}54.2 mm$, No. 146(7.4 km)지점에서는 $-104.1 mm{\sim}28.9 mm$ 정도의 한 횡단면 내에서 침식과 퇴적의 차이가 발생하였고, 직선수로의 감동교(No.164+100)에서는 비교적 균일한 침식이 발생했으나, 만곡수로에 위치한 덤덜교(No.146+50)에서는 만곡의 영향으로 우측의 침식이 활발한 것을 모의 할 수 있었다. 홍수시 댐방류량에 대한 하류부의 대책 수립에 있어서 만곡수로, 교량, 지류합류지점과 같은 1차원 분석으로는 미흡한 취약지구에 대해 2차원적인 분석을 실시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낙동강 주요 합류부에서의 동역학적 수리해석 (Hydrodynamic Analysis at Nakdong River Confluences)

  • 한건연;김지성;양승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908-911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the two dimensional model in natural rivers. In this study, two dimensional unite element model, SMS, is used to simulate a complex flow along with the sediment movements in the natural river. The RMA-2 model embeded in SMS is used to simulate flow phenomena and SED-2D model is employed to simulate sediment transport. The model is applied to the confluence zone of the Gam River and mouth of Nakdong River. For model calibration, the result of the unsteady flow analysis is compared with the Typhoon 'Rusa' data. In addition, the runoff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project flood and the flood forecasting. The simulation results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two dimensional flow with velocity vector and flow depth. The sediment transport characteristics are shown in terms of sediment concentration as well as bed elevation change. Accordingly, the SMS model in this study turned out to be very effective tool for the simulation of the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under the various flow conditions and corresponding sediment transports in natural rivers.

  • PDF

GIS 기반의 하천흐름해석모형 RMA-2와 유역유출모형 HEC-1을 이용한 하천의 수리학적 특성 분석 연구 - 공도·평택 수위관측소 구간을 대상으로 - (A Study on Hydraulic Analysis using GIS-based RMA-2 and HEC-1 - For Stream Reach between Gongdo and Pyeongtaek Water Level Gauge Stations -)

  • 박민지;박근애;김성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24-135
    • /
    • 2007
  • 본 연구는 SMS의 RMA-2를 이용한 하천흐름 해석에서 WMS HEC-1으로 모의된 하천 본류 및 지류의 수리량을 동적인 경계 입력자료로 하여 다양한 시나리오별로 하천내의 흐름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안성천 유역의 공도와 평택수위관측소 구간(10.5km)에 대하여 WMS로 모의한 50, 100, 500, 1,000년 빈도별 시단위 유량을 본류 및 3개 지류의 유량 경계조건으로 적용하여 하천의 수리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SMS RMA-2의 동적 조건(dynamic type)으로 구동한 결과, 하천 본류구간의 시간별 수위 및 유속분포를 모의할 수 있었다. 빈도를 증가시킬수록 측점별 평균유속과 수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지류가 유입되는 본류지점의 가까운 하류부에서 하천 폭이 좁으면 유속이 크게 증가하였다.

  • PDF

오염물 이송 및 확산 거동 해석모형의 특성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for Pollutant Transport and Diffusion Model)

  • 정성태;류시완;김영도;서일원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407-1411
    • /
    • 2007
  •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2차원 흐름 해석모형은 미연방 도로국(U.S.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과 연계하여 Brigham Young University에서 개발된 SMS(Surface-Water Modeling System) 모형이다. SMS모형 중 이송 확산 모형으로는 RMA-4가 포함되나 이 모형은 최신 수치기법을 반영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들로 인해 실제 물리적 현상 모의에 있어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물리적 현상에 대한 적절한 모의를 위한 개선과정을 통하여 RAM4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실측 자료를 바탕으로 RMA-4와의 모의결과 비교를 통하여 오염 확산 해석모형인 RAM4의 적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RAM4와 RMA-4 모의에 있어서 격자구성과 경계조건은 동일하게 설정하였으며, 유량조건은 평수량과 갈수량으로 선정하였다. 각각의 유량시 수위조건이 틀려지므로 각 유량조건에 대한 격자구성을 달리하였다. 모의구간은 낙동강 본류의 수산대교에서 삼랑진 철교까지의 약 13km 구간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의 구간내에는 밀양-하남 하수처리장이 상류 좌안측에 위치하고 있고, 만곡, 단면의 축소 및 확대, 하중도, 합류 등의 지형학적 특징들이 비교적 짧은 구간에 나타나고 있어 모형의 검증에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 PDF

RMA-4를 이용한 흐름특성 및 부유사 비교분석 (River flow characteristic and suspended sediment using RMA-4)

  • 송인렬;이효정;안승섭;정성원;박동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531-1537
    • /
    • 2007
  • 자연하천유역에 있어서 유사량 산정은 용수공급 및 하천계획을 결정하는데 있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정량적 분석인자이다. 자연하천유역에 있어 유사량 산정은 하도상의 수공구조물 존재여부, 유량조건 및 산정공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산정공식에 따라 유사량 및 하상변동에 대한 그 특성은 많은 차이를 나타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본류의 진동 지점 8.44km구간과 낙동강 지류인 감천 유역의 김천 지점 8.66km 구간의 부유사농도 분포를 모의하기 위해 동수역학적 모형인 RMA-4 모형을 적용하였다. 먼저 지점의 흐름특성을 파악하고자 RMA-2모형을 적용한 결과 비교적 계획홍수위와 잘 일치하였으며, RMA-4 모형은 RMA-2 모형의 출력치를 기본자료로 사용하였으며 진동 지점과 김천지점의 부유사농도 분포를 모의해 본 결과 하류로 향할수록 부유사농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하천개수, 저수지설계 등의 하천공사에 유사가 중요한 인자이므로 유사의 정확한 이도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실측자료를 보다 많이 관측하고 우리나라 하천특성에 적합한 유사농도 수치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작업으로 이 분야에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PDF

SMS를 이용한 경안천 하류구간의 하천흐름 분석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using SMS RMA2 and SED2D Model in the Downstream of Gyeongan-Cheon)

  • 홍성민;정인균;김성준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519-522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arious hydraulic characteristics using SMS (Surface Water Modelling System) RMA2 model. It is based on 2-D finite element method. River reaches (13.8km) from Gyeongan gauge station to the inlet of Paldang lake was selected. Finite element was made by RIMGIS Data, and the analysis of river-changes was operated by unsteady flow. The sediment concentration and bed change was simulated using SED2D mod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