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S 게이트 웨이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6초

SMS 부호화 복호화 모듈 검증 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Verification Scheme of SMS Encoding and Decoding Module)

  • 최광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정의한 SMS PDU (Protocol Data Unit) 포맷을 주어진 SMS 부호화 복호화 모듈에서 정확하게 구현했는지 검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 SMS 관련 도구들은 SMS 게이트웨이를 통해 송수신하거나 또는 SMS PDU 해석을 목적으로 개발되어 3GPP에서 정의한 세부 SMS PDU 규격에 따라 정확히 구현했는지 테스트하는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함수형 언어 Haskell로 작성된 QuickCheck 라이브러리를 활용해 3GPP에서 정의한 구조에 맞는 SMS PDU 테스트 데이터를 자동 생성하여 SMS 부호화 복호화 모듈을 테스트한다. C언어로 작성된 리눅스 모바일 플랫폼 SMS 모듈에 적용하여 이 모듈의 부호화 복호화 기능을 테스트한 결과 BCD 포맷 시간 정보를 잘못 해석하는 사례 등 중요한 오류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제안한 방법은 3GPP에서 정의한 규격에 맞추어 SMS PDU를 생성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SMS 모듈들에 모두 적용 가능한 장점을 지닌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방법과 같이 QuickCheck 라이브러리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 프로토콜 데이터 규격에 대한 부호화 복호화 검증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SMS를 이용하는 개선된 이중 인증 기법 (The Improved-Scheme of Two Factor Authentication using SMS)

  • 지선수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25-30
    • /
    • 2012
  • 시스템에 접근하려는 합법적 이용자를 구분하거나 승인하는 수단으로, 아이디(ID)와 패스워드 조합을 통한 인증 기법은 사용자에게 익숙하고, 단순하며, 비교적 수월하게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단일 요소를 이용하는 현재의 패스워드 인증 기법은 강력한 보안을 제공하지 않으며, 관리의 허술함으로 많은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개별 사용자에게 패스워드 관리에 대한 모든 책임을 부과할 수 없기 때문에 보안성이 강화된 개선된 인증 기법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반응시간의 적절한 범위를 확인하고, 수신 장치를 통해 SMS를 이용한 양방향 이중 인증의 새롭고, 개선된 기법을 제안한다.

안드로이드 기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 응용 설계 및 구현 (The Android-based Bluetooth Device Application Design and Implementation)

  • 조효성;이혁준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72-85
    • /
    • 2012
  • 현재, 차량 내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블루투스 핸즈프리 디바이스는 음성 통화, 발신자 식별번호 표시 및 SMS 메시지 표시 등의 전화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만 인터넷 기반의 텍스트 데이터 디스플레이 기능은 지원하지 않고 있다. 최근 들어 차량에서도 SNS와 같은 인터넷 서비스 이용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어, 기존의 핸즈프리 기능 이외에도 인터넷 기반의 텍스트 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의 개발이 필요하다. 제안하는 블루투스 디바이스 응용은 SNS 메시지 및 이메일 도착 알림 표시 등의 향상된 기능을 포함하며, 구현 플랫폼으로는 대부분의 SNS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이 가능하고 소형 임베디드 디바이스에 탑재가 용이한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사용한다. 제안하는 블루투스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역시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단말기이며, 단말 탑재 기능 모듈인 오디오-텍스트 게이트웨이는 안드로이드 앱 형태로 설계된다. 오디오-텍스트 게이트웨이 앱은 SNS 텍스트 데이터 수신시, 메시지 헤더 정보에서 제목, 발신자 정보 등을 추출하여 텍스트 데이터 형태로 ACL(Asynchronous Connection-Oriented) 링크를 통해 블루투스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안드로이드 플랫폼에 탑재된 블루투스 핸즈프리 또는 헤드셋 프로파일은 오디오 게이트웨이의 기능만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안드로이드 기반의 블루투스 디바이스에서는 음성 데이터의 스피커 출력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제안하는 블루투스 디바이스 응용은 블루투스 헤드셋 프로파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SCO(Synchronous Connection-Oriented) 링크를 통한 음성 데이터 전송 방식 대신에 ACL 링크를 통한 스트리밍 방식을 적용한다.

인터넷 정보가전 제어를 위한 무선 통합 서비스 설계 (A Design of Integrated Service for ControllingNetworked Appliances on Wireless Network)

  • 김동균;김기영;김희자;이해각;이상정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114-12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정보가전 제어를 위하여 무선 통합 서비스를 설계 제안한다.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와 CDMA를 사용하고 휴대폰과 PDA와 같은 무선 단말기로 집안의 정보가전을 원격에서 제어한다. 정보가전 제어를 위하여 XML 메시지와 SMS 정보가전 메시지 형식을 설계한다. 흠 게이트웨이에는 모바일 에이전트와 정보가전 메시지 처리기를 설계 구현한다. 휴대폰과 PDA용 정보가전 통합 리모콘을 설계 구현하고 검증을 위해서 웹상에 동작하는 정보가전 시뮬레이터를 구현하여 테스트한다.

  • PDF

지그비 통신망을 이용한 보안등 관제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eet security light management system using Zigbee network)

  • 전중성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8권4호
    • /
    • pp.430-436
    • /
    • 2014
  •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도로 보안등에 대한 상태관리와 원격제어를 통제하는 시스템은 보안등제어기, 중계기, 관제서버 등의 3개의 기능으로 구성되며 보안등간의 통신망은 메쉬 형태를 지원하는 지그비 네트워크를 채택하고 중앙의 관제센타는 CDMA 방식의 무선통신망을 사용하였다. 이를 연동하기 위하여 지그비와 CDMA를 모두 수용하는 게이트웨이인 중계기는 저전력의 32-bit 마이크로콘트롤러인 Cortex M3로 설계 제작하였다. 관제서버와 중계기간의 전송방식을 단문메시지 방식과 소켓 방식을 모두 사용하여 원격제어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공중통신망의 이용료를 최소화하면서 보안등의 상태관리가 실시간으로 관리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에서는 95개의 보안등에 2개월간의 실시간을 통하여 확인하여 일일 9회 데이터를 취득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모바일 유비쿼터스 헬스케어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obile Ubiquitous Healthcare System)

  • 이봉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781-793
    • /
    • 2010
  • 최근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 및 모바일 통신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헬스케어 시스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u-Healthcare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구현한 u-Healthcare 시스템은 댁내의 무선 센서네트워크, 원격지에 위치하는 헬스케어센터 및 센싱한 생체선호를 헬스케어 센터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등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환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하여 3 채널 ECG센서, 맥박산소 농도계, 혈압 센서 등 세 가지의 센서를 이용하였다. 각 센서는 mote에 탑재되어 있으며, mote는 센성된 생체신호를 Zigbee 통신을 이용하여 베이스 노드로 전송한다. 베이스 노드는 수신한 신호를 헬스케어 센터로 보내게 되고 헬스케어센터는 이 선호를 다양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처리한다. 처리된 결과를 표준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식이요법, 운동요법 등 적절한 처방을 환자에게 SMS 또는 웹으로 전송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환자는 주기적으로 자선의 건강을 체크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경증의 건강상의 문제로부터 자신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카오스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웹 보안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 Security System using a Chaos Cipher Algorithm)

  • 이봉환;김철민;윤동원;채용웅;김현곤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8C권5호
    • /
    • pp.585-59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카오스 이론에 기초한 카오스(chaos) 암호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이를 웹 보안 시스템에 적용하여 웹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안전한 통신을 위한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웹 보안 시스템은 인증서버, 웹 클라이언트 및 웹 서버로 구성되며, 웹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에는 각각 웹 페이지의 요청 및 응답 페이지의 암호화 및 복호화를 담당하는 프록시 클라이언트와 서버 게이트웨이를 개발하여 탑재하였다. 인증서 형식은 국제표준을 수용하여 X.509 형식에 따라 구현하였으며, 클라이언트와 서버 인증을 위하여 RSA 공개키 알고리즘을 통하여 키 생성 및 분배가 이루어진다.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에 암호화 채널이 형성되면 카오스, SEED 및 DES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데이터의 암·복호화를 수행한다. 카오스 암호화 알고리즘은 기존의 비밀키 암호화 알고리즘들과 비교하여 속도와 비도 면에서 뛰어나다. 따라서 카오스 암호화 알고리즘을 적용한 웹 보안 시스템은 전자상거래, 인터넷 뱅킹 등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