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MA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4초

Flag를 가지는 SMMA 적응 블라인드 등화 알고리즘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SMMA Adaptive Blind Equalization Algorithm with A Flag)

  • 정영화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71-7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고차 QAM 시스템에서 Flag를 가지는 SMMA 적응 블라인드 등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SMMA는 MMA를 변형하여 다중 contour를 적용함으로써 특성 향상을 얻었으나 여전히 불일치 문제로 인해 정상상태에서의 잔류 오차가 크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정상상태에서의 잔류 오차를 크게 줄이기 위해 우리는 SMMA와 결정지향 알고리즘으로 부터 얻어진 '1' 또는 '0'의 이진 Flag에 의해 제어되는 SMMA를 제안하고, 이 알고리즘에 대한 성능을 분석하였다.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이 MMA나 SMMA에 비해 정상상태에서의 잔류 심볼간 간섭과 잔류 오차등에서 크게 향상된 성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적응 모듈러스와 적응 스텝 크기를 적용한 Hybrid-SMMA 등화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Hybrid-SMMA Equalization Algorithm based on Adaptive Modulus and Adaptive Stepsize)

  • 임승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23-128
    • /
    • 2017
  • 본 논문은 SMMA (Sliced Multi Modulus Algorithm) 등화 알고리즘에서 등화기의 출력 전력에 비례하는 adaptive modulus와 adaptive stepsize를 적용하므로서 등화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Hybrid-SMMA 알고리즘에 관한 것이다. 기존 SMMA 알고리즘에서는 등화기의 탭 계수 갱신을 위한 오차 신호를 발생할 때 송신측 신호의 통계 특성치인 modulus를 고정적으로 사용하지만, 제안 Hybrid-SMMA에서는 등화기 출력 신호의 전력에 비례토록 modulus와 오차 신호의 비선형성을 이용하여 stepsize를 적응적으로 변화시킨다. 제안 알고리즘의 개선된 등화 성능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 방식이 기존 SMMA보다 모든 성능에서 우월함을 확인하였다.

QAM 신호에서 Adaptive Modulus를 이용한 SMMA 적응 등화 알고리즘의 성능 개선 (Performance Improvement of SMMA Adaptive Equalization Algorithm using Adaptive Modulus in QAM Signal)

  • 임승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15-120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SMMA (Sliced Multi Modulus Algorithm) 등화 알고리즘에서 등화기의 출력 전력에 비례하는 adaptive modulus를 이용하므로서 등화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AM-SMMA 알고리즘에 대하여 다룬다. 기존 SMMA 알고리즘에서는 등화기의 탭 계수 갱신을 위한 오차 신호를 발생할 때 송신측 QAM 신호의 통계 특성치인 modulus를 고정적으로 사용하지만, 제안 AM-SMMA에서는 등화기 출력 신호의 전력에 비례토록 modulus를 적응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제안 알고리즘의 개선된 등화 성능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하며, 성능 지수로는 등화기 출력 신호 성상도, 수렴 특성을 나타내는 잔류 isi, 최대 찌그러짐과 채널의 신호대 잡음비에 따른 SER을 사용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slice 가중치가 적으면 잔류isi, 최대 찌그러짐 성능이 우월하며, 가중치가 큰 경우 SER 성능이 우월함을 확인하였다.

고차 QAM 신호에 대한 결정 지향 오차 신호의 크기 값을 이용한 이중 모드 블라인드 등화 알고리즘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Evaluation of a Dual-Mode Blind Equalization Algorithm Using the Size of Decision-Directed Error Signal for High-Order QAM Signals)

  • 정영화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89-9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결정 지향 오차 신호의 크기 값을 이용하여 두개의 블라인드 등화 알고리즘이 자동으로 전환되는 이중 모드 블라인드 등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등화초기에는 주로 큰 고정 스텝 크기를 가지는 MSAGF-SMMA를 통하여 보다 빠른 수렴 속도를 얻도록 하고, 어느 정도 등화가 이루어진 시점부터는 주로 가변 스텝 크기를 가지는 MSAGF-SMMA가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정상상태에서 보다 작은 잔류 오차를 얻도록 하였다. 가변 스텝 크기는 고정 스텝 크기에 결정 지향 오차 신호의 크기 값을 곱하여 구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에 대한 성능을 분석하였다.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이 MMA, SMMA, 그리고 MSAGF-SMMA에 비해 정상상태에서의 잔류 심볼간 간섭과 잔류 오차 등에서 크게 향상된 성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Morpholog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PS/PMMA/SMMA Blends Filled with Carbon Black

  • Lee, Moo-Sung;Ha, Min-Gyu;Ko, Hyun-Jin;Yang, Kap-Seung;Lee, Wan-Jin;Park, Min
    • Fibers and Polymers
    • /
    • 제1권1호
    • /
    • pp.32-36
    • /
    • 2000
  • An alternative strategy to .educe the percolation threshold of carbon black (CB) in polymer blends was investigated using random copolymer ternary blends of polystyrene (PS), poly(methyl methacrylate)(PMMA), and a styrene-methyl methacrylate random copolymer (SMMA). The target morphology was to selectively locate CB particles in the encapsulating layer of SMMA during melt mixing. The CB used in this study is BP-2000 from Cabot and has a strong selective affinity to PS. Even when the CB was premixed with SMMA, it moves to the PS phase during the melt mixing. However, we also observed the CB particles located at the interface between SMMA and PS phases. Through this study it is foun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polymers and CB particles is critical for selectively localizing CB particles in multi-component polymer blends. Although appropriate processing condition may retard the movement of CB particles to the polymer phase with affinity, it cannot prevent it completely and locate them to the SMMA phase, which is not thermodynamically favored. To locate CB particles in an encapsulating layer of ternary polymer blends, first of all, polymers forming it should have selective affinity to CB.

  • PDF

소셜 미디어 마케팅 활동이 브랜드 자산과 소셜 브랜드 개입을 통해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 화장품 회사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ocial Media Marketing Activities on Purchase Intention with Brand Equity and Social Brand Engagement: Empirical Evidence from Korean Cosmetic Firms)

  • 뗀진최된;이영찬
    • 지식경영연구
    • /
    • 제21권3호
    • /
    • pp.141-16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한국 화장품의 구매의도에 대한 소셜미디어 마케팅 활동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소셜미디어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기업이 소비자와 브랜드를 연결하는 마케팅 방식이 변하고 있다. 따라서 소셜미디어 마케팅 활동이 소비자의 소셜브랜드 참여, 브랜드 자산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화장품 회사들의 소셜미디어 마케팅 활동이 브랜드 자산과 소셜브랜드 참여를 통해 소비자의 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선행 연구를 통해 소셜미디어 마케팅 활동을 포함한 구성개념들을 정의하고 설문문항을 개발하였다. 총 332개의 설문지를 수집하여 이중 불성실하게 작성된 설문지를 제외한 219개의 설문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5개의 소셜미디어 마케팅 활동은 브랜드자산, 소셜브랜드 참여 그리고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화장품 회사들은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마케팅 활동을 강화하고 이를 통한 브랜드자산의 축적과 사용자의 소셜브랜드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중 Modulus 블라인드 등화 알고리즘 (Multi-Modulus Blind Equalization Algorithm)

  • 최익현;김철민;오길남;최수철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465-468
    • /
    • 2005
  • 기존의 MMA(Multi-Modulus Algorithm)는 심벌간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 ISI)이 심한 등화 초기에는 부정확한 판단을 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눈모형을 열리게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 최근에 MCMA(Modified Constant Modulus Algorithm)를 기반으로 한 SMMA(Sliced MMA)가 제안되었다. SMMA는 높은 SNR 조건에서는 MMA보다 개선된 성능을 보이나, 낮은 SNR 조건에서는 비용함수에 사용되는 판정 값이 부정확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등화 초기에 블라인드 수렴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정상상태 성능을 개선하는 다중 modulus 블라인드 등화 알고리즘 기법을 제시한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단일 modulus와 다중 modulus의 선택적 적용을 위해 등화기 출력의 잔류심벌간 간섭 양을 이용한 초기수렴검출 기법을 고안${\cdot}$적용하여 최적의 전환 시점을 자동으로 겨??ㅇ하였다. 제안 알고리즘의 성능을 모의실험을 통하여 수렴 속도와 잔류 ISI 성능에서 기존방식에 비해 제안한 방식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 PDF

상용화제를 포함한 PMMA/PVME 블렌드의 열역학적 특성과 기체 투과 특성 (Thermodynamic Characteristics of PMMA/PVME Blends Containing Compatibilizer and Their Gas Transport Properties)

  • 최해욱;문유진;정병조;김창근
    • 폴리머
    • /
    • 제26권2호
    • /
    • pp.245-252
    • /
    • 2002
  • 상용화제로 poly(styrene-b-methylmethacrylate) [U(S-b-MMA)]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 polymethylmethacrylate (PMMA)와 polyvinylmethylether (PVME) 블렌드의 열역학적 특성과 이들의 기체 투과특성을 조사하였다. 블렌드에 포함된 여러 고분자들 간의 상호작용 에너지를 상분리 온도와 상태방정식 이론으로부터 구하기 위해 다양한 조성의 poly(styrene-co-methylmetha-crylate) (SMMA)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하고 이를 PVME와 블렌드하여 단상의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공중합체 내의 스티렌 함량이 70 wt% 이상에서는 SMMA/PVME 블렌드는 단상을 형성할 뿐아니라 LCST 거동을 나타내었다. 여기서 구한 상호작용 에너지를 기초로 PMMA/PVME 블렌드의 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P(S-b-MMA) 블록 공중합체를 상용화제로 첨가하였다. 분산상으로 존재하는 PVME 고무 입자들의 평균 크기는 상용화제 첨가량이 5 phr 이하에서는 점차 감소하지만 더 이상의 상용화제를 첨가해도 분산상의 크기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일정 블렌드 조성에서 기체 투과도도 상용화제의 양이 5 phr 일때까지는 증가하지만 그 이상의 상용화제 함량에서는 기체 투과도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