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MPER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3초

Wadeable stream에서 하천차수에 따라 보(weir)가 어류군집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Weirs on Fish Assemblage according to Stream Order in Wadeable Stream)

  • 김정희;윤주덕;박상현;백승호;이혜진;김규진;장민호
    • 생태와환경
    • /
    • 제53권2호
    • /
    • pp.148-155
    • /
    • 2020
  • 본 연구는 wadeable stream (1차~4차 하천)을 대상으로 보의 유·무에 따른 어류군집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하천의 규모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하천차수로 구분하여 보의 유·무가 어류군집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였으며, 3차와 4차 하천에서 어류군집의 차이가 확인되었다(P<0.005, PERMANOVA). 보의 유·무에 따라 총 출현 종수, 총 출현 개체수, 종 풍부도와 같은 요인들이 차이를 나타냈으며, 외래종, 고유종, 보호종 개체수의 경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SIMPER 분석을 통해서 어류군집 차이에 주로 기여하는 종을 분석한 결과 해당 차수의 하천에 우점적으로 나타나는 피라미(Zacco platypus), 참갈겨니(Zacco koreanus), 돌고기(Pungtungia herzi)와 같은 보편종으로 확인되었다(contribution>5%). 이들 종은 모두 보가 있는 지점에서 평균 상대풍부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보로 인해 변화된 환경이 이들 종에 대해서 주요 서식처를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전국 범위에서 보가 어류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경향성을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향후 보의 관리를 위한 연구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산강 하구역에 위치한 세 호수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분포 특성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ree Estuarial Lakes of the Yeongsan River)

  • 조현진;나정은;이건주;이학영
    • 생태와환경
    • /
    • 제54권4호
    • /
    • pp.291-302
    • /
    • 2021
  • 본 연구는 영산강 하구에 위치한 세 호수들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분포 양상 및 호소 간 군집 유사성을 확인하고 군집 구조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자 2014년 3월부터 2017년 11월까지 분기별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 결과, 식물플랑크톤의 종 다양성은 영산호에서 가장 높았고, 평균 개체수는 금호호에서 가장 높았으며, 영암호는 다른 호수들에 비해 식물플랑크톤의 종수와 개체수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NMDS 분석 결과, 영산호와 금호호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분포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고, 세 호수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온, DO, T-N, NO3-N, 전기전도도 등으로 확인되었다. Random Forest 분석을 통해 각 호수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결과, 세 호수 모두 공통적으로 NO3-N의 영향력이 높았다. Indicator species analysis를 통해 확인된 각 호소별 지표종은 총 24종으로, 영산호에서 13종으로 가장 많았고, 영암호에서 2종으로 가장 적었으며, 호소별 지표종의 분류군이 구별되었다. SIMPER 분석 및 ANOSIM 결과, 영산호와 영암호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유사성을 나타내었고, 금호호의 경우 다른 호수와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이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각 호수의 지점별 식물플랑크톤 군집 유사성은 지점에 따라 차이가 있어 식물플랑크톤 군집 형성에 대해 연락수로의 영향력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고속용 영구자석형 동기 모터의 설계와 특성 해석 (Design and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PM-SM for the high-speed drives)

  • 장석명;정상섭;양현섭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학회본부A
    • /
    • pp.49-51
    • /
    • 1998
  • This paper presents 2-pole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PM-SM) designed for the high-speed drives. Therefore. this motor has the NdFeB Permanent magnet as rotor. which is designed simper than the commercial PM-SM. We treated the developments - design. analysis - of PM-SM

  • PDF

독도.울릉도 및 동해안 암반조간대 무척추동물상의 분포 연구를 위한 예비연구 (A Preliminary Study for the Distribution of Rocky Intertidal Fauna in the Korean Coastal Areas of the East Sea including Dokdo and Ulleungdo)

  • 차재훈;김미경
    • 환경생물
    • /
    • 제31권3호
    • /
    • pp.225-231
    • /
    • 2013
  • 동해안의 암반조간대 무척추동물상의 분포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독도를 비롯한 울릉도, 경상북도의 경주, 포항, 영덕, 울진 그리고 강원도 등 총 19개 정점의 암반 조간대무척추동물상을 조사하여 출현종의 유사도를 공통종의 출현비율 (%)과 Bray-Curtis similarity matrix를 이용한 집괴분석과 MD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SIMPER를 이용하여 독도와 그 외의 동해안 암반저서 무척추동물의 특징종을 선출하였다. 공통종의 출현비와 집괴분석결과, 가장 가까이 위치한 울릉도를 제외하면, 경상북도의 영덕이 가장 높은 유사도를 보였으나, 전체적으로 독도 암반저서생태계는 다른 동해안 연안과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반도 하구의 어류군집 구조 및 다양성 (Fish Community Structure and Biodiversity of the Korean Peninsula Estuaries)

  • 박상현;백승호;김정희;김동환;장민호;원두희;박배경;문정숙
    • 생태와환경
    • /
    • 제55권1호
    • /
    • pp.35-48
    • /
    • 2022
  • 한반도 하구의 어류군집 구조 및 다양성을 확인하고 해역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년간 총 325개 하구에 대해 어류군집을 조사하였다. 전체 하구의 규모(하폭)는 하구별 편차가 크게 나타났으며(14~3,356 m), 염도 2 psu 이하의 저염도 하구가 68.9%로 다수 분포하였다. 한반도 하구의 전체 출현종은 52과 149종이며, 우점종은 황어(relative abundance, RA, 12.5%), 아우점종은 숭어(RA, 9.5)로 나타났다. 한반도 하구는 해역에 따른 물리적, 화학적 서식 환경이 다르게 구성되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어류군집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ERMANOVA, Pseudo-F=26.69, P=0.001). 또한, 해역별 낮은 어류군집 유사도(SIMPER, 21.79~26.39%)에서도, NMDS 분석 결과 해역별로 유사한 어류군집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동해 하구의 어류군집은 타 해역과 비교하여 회유성 어종과 보호종의 중요성이 높게 나타나며, 남해 하구는 기수성 어종의 중요성이 높게 나타난다. 서해 하구의 어류군집은 담수와 관련 있는 요인(1차 담수어, 외래종)의 중요성이 크게 나타나는데, 이는 서해 하구의 많은 수가 닫힌하구 (78.2%)로 구성되어 염도가 낮게 나타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해역별 어류군집 특성은 SIMPER 분석의 군집 유사도 기여종 분석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국내에서 하구의 어류군집 관련 연구는 대부분 단일하구 단위로 이루어져서 국가 단위의 하구 특성을 이해하고, 정책을 마련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는 국가 단위의 하구 어류군집 구조의 현황 및 특성에 대한 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군집지수의 분포, 주요 출현종의 서식처 염도 범위, 회유성 어종의 주요 소상 지점 등의 추가 자료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정보는 향후 한반도 하구의 관리를 위한 자료 및 연구에서의 참조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해역별 하구에 서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현황과 하구 서식지 주요 변화 동인과의 관계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habiting Estuaries in Sea Area and Relationship with Major Drivers of Change in Estuaries)

  • 임성호;정현철;이민혁;이상욱;문정숙;권순현;원두희
    • 생태와환경
    • /
    • 제55권1호
    • /
    • pp.10-18
    • /
    • 2022
  • 본 연구는 전국 하구 중 열린 하구를 대상으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현황 및 서식지 주요 변화 동인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사하구는 "생물측정망 조사 및 평가 지침"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해역별로 구분하여 동해하구 80곳, 남해하구 102곳, 서해하구 19곳에서 수행하였다. 총 201개 열린 하구에서 출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4문 9강 41목 139과 269종으로 동해하구 196종, 남해하구 182종 서해하구 90종이었다. 동해해역에서는 곤충강이 높은 개체밀도를 보였으며, 남해는 연갑강, 서해는 환형동물문이 가장 높은 개체밀도를 보였다. SIMPER 분석을 통해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에 기여하는 종을 분석한 결과, 해역별로 주요 기여종의 차이가 구분됨을 확인하였으며, 이 상위 종들의 전체 기여도가 군집의 50% 이상을 차지하였다. 동해의 군집은 하구말단 염도의 영향을 받아 담수종의 기여율이 높았으며, 남해, 서해의 경우 하상 기질 비율에 따른 종 조성을 보였다. 각 해역의 군집은 낮은 유사도를 보였는데, 해역별 종 조성의 유사성은 지역의 차이보다 각 하구의 하상 기질 비율에 따른 군집 조성차이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은 지리적 거리보다는 염도와 하상 기질 같은 서식환경의 특성에 따라 종 조성이 구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내용은 국내 하구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다양성과 분포의 변화를 파악하고 예측해 미래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완도 연안 낭장망에 채집된 어류 군집구조의 12년 전후 변화 (Change of Structure Community of Fish Collected by a Gape Net with Wings after 12 Years in the Coast of Wando Island, Korea)

  • 유준택;김진구;최문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659-666
    • /
    • 2014
  • Our aim was to compare the community structure of fish in the coast of Wando Island between 2001 and 2013. Using a gape net with wings, we collected 61 taxa, wherein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Engraulis japonicus. The sea temperature in the middle layer of the survey station in 2001 (after June) was obviously higher than that in 2013, which was < $20^{\circ}C$. Except for Thryssa kammalensis in 2013, the log transformed individuals of seven dominant species, selected using a SIMPER (similarity-percentages procedure) analysis, decreased. Decreases in the individuals of Gobiidae spp., the warm-water species Trichiurus japonicus and Conger myriaster, and the migratory species Syngnathus schlegeli, Setipinna taty and Sardinella zunasi, which arrive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during summer-autumn, could be due to decreasing sea temperature in 2013. Thus, fish species diversity, estimated from rarefaction and k-dominance curves, declined in the coastal waters of Wando Island from 2001 to 2013, resulting i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ish community structure.

시화호 중형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변동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f Mesozooplankton Community in Lake Sihwa, Korea)

  • 유정규;명철수;최중기;홍현표;김은수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2권3호
    • /
    • pp.187-201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taxonomic groups and major species of the mesozooplankton community in Lake Shihwa, Korea. Monthly collections were carried out at five stations in Lake Shihwa for a period of one year. The mesozooplankton community showed distinct seasonal variability with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Major mesozooplankton species in each seasonal community were derived from non-metric MDS and SIMPER as follows: winter community (Acartia hongi and Eurytemora pacifica), spring community (Acartia hudsonica and Polychaeta larvae), summer community (Acartia sinjiensis, Pavocalanus crassirostris, Evadne tergestina and Cirripedia nauplii) and fall community (Paracalanus indicus and Podon leuckarti). The succession of the seasonal species, A. hudsonica and A. sinjiensis, was the most remarkable event during the seasonal changes of the mesozooplankton community. The species response curve of these species fitted with the logistic regression in relation to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The curve also correctly re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ccurrence of A. hudsonica and A. sinjiensis in Lake Shihwa.

낙동강 하구역 부유성 자치어 종조성의 시·공간 변동 (Spatio-tempor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Larval Fish Assemblage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 최희찬;박주면;허성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4-115
    • /
    • 2015
  • 2010년 9월부터 2011년 8월까지 매월 소조기에 낙동강 하구역의 안쪽과 바깥쪽 두 개 정점에서 자치어를 채집하여 종조성의 시공간 분포를 밝혔다. 연구기간 동안 출현한 자치어는 총 7목 26과에 속하는 43개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망둑어과 자치어가 전체 개체수의 63.1%를 차지하여 가장 우점하였다. 그중 하계 출현 망둑어과 자치어가 개체수비 55.5%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그 다음으로 청어 (13.2%), 멸치 (13.0%), 그리고 춘계 출현 망둑어과 자치어 (4.6%), 전어 (3.8%), 동계 출현 망둑어과 자치어 (3.1%), 정어리 (1.2%), 웅어 (0.7%) 순으로 채집되었고, 이들 8개 분류군이 전체 자치어 출현량의 95.0%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에서 출현한 자치어 군집은 총 5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시기적으로 봄, 여름 및 가을, 그리고 겨울 그룹으로 분리되었다. 특히 여름 및 가을에 자치어 군집의 공간적 분리가 나타났다. 하구역의 안쪽 정점에서는 하계 출현 망둑어과 자치어가 우점하였으며, 바깥 정점에서는 망둑어류 외에 멸치가 우점하였고, 기타 다양한 해수어종의 자치어가 출현하였다.

진해만의 장목항에서 단주기 샘플링에 의한 중형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연변동 (Annual Variations in Community Structure of Mesozooplankton by Short-term Sampling in Jangmok Harbor of Jinhae Bay)

  • 황옥명;신경순;백승호;이우진;김수암;장민철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3권3호
    • /
    • pp.235-253
    • /
    • 2011
  • The annual variation of mesozooplankton community in the Jangmok harbor of Jinhae Bay was studied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variables. Sampling was carried out weekly from January to December 2009. During the study periods, mesozooplankton community consisted of 44 taxa and the annual mean abundance was 8308 inds. $m^{-3}$. The maximum abundance was observed to be 50043 inds. $m^{-3}$ in August and the minimum in April with 1013 inds. $m^{-3}$. Of these, Penilia avirostris, cirripedia larvae, Evadne tergestina, Acartia omorii, Oikopleura s, Paracalanus parvus s. l., Eurytemora pacifica, Podon s, Oithona s, and Acartia steueri were observed as dominant species in Jangmok bay and they also contributed to 79% of total mesozooplankton. According to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DS) and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mesozooplankton community data from each season, the community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first group included appearence species in winter and spring season, which is mainly dominated the copepod such as A. omorii and E. pacifica. The second and third group was composed with observed species in summer and autumn, respectively. Based on the SIMPER (similarity percentages), P. avirostris in summer and cirripedia larvae in autumn were significantly dominated. Our results indicate that although the mesozooplankton abundances in Jangmok harbor fluctuated abruptly, its annual variation was strongly influenced by water temp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