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MP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33초

Sodium Hexametaphosphate처리가 참깨박 단백질의 추출성과 농축단백질의 색도 및 아미노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dium Hexametaphosphate on the Extractability of Sesame Meal Protein and Amino Acid Composition and Color of Its Protein Concentrate)

  • 이정수;박정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58-762
    • /
    • 1993
  • Sodium hexametaphosphate(SHMP)가 탈지대두박 단백질의 추출과 농축단백질의 색도 및 아미노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SHMP에 의한 단백질의 추출은 1.5% SHMP에서 가장 높았으며 이 이상의 농도에서는 오히려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참깨박 단백질의 추출은 pH 5.0에서 17.0%, pH 2.0에서는 22.7%로 아주 낮았으나 pH 12.0에서 60.7%의 단백질이 추출되었다. 시료와 용매와의 비율에 있어서는 1 : 40에서 약 60%의 단백질이 추출되었으며 비율이 증가할수록 추출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SHMP처리로 인해 농축단백질의 색도가 개선되었다. 참깨빡 농축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을 비교한 결과 SHMP의 처리에 의해 lysine과 hethionine의 함량이 현저히 감소된 반면 valine과 leucine함량은 증가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산, 염 및 당의 첨가가 미역 추출액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Cl, Sugar, Salt, and Sequestrants on Some Quality Properties of Aqueous extracts of Sea Mustard)

  • 최희숙;김종군;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87-392
    • /
    • 1992
  • 미역 추출액의 고형분과 단백질의 수율 및 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HCl, 설탕, 소금, EDTA, SHMP를 첨가하여 추출액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추출액은 분말 미역을 첨가하여 2시간 끓인 후 원심 분리하였다. $0.1{\sim}0.5N$ HCl를 첨가하였을 때 고형분과 단백질 수율 및 상징액율은 현저히 증가하였다. 산처리를 하지 않는 대조구의 고형분과 단백질 수율 23.20%와 4.87%에서 각각 52.48%와 36.73%로 증가하였으며 점도는 450 cps에서 20 cps 이하로 감소하였다. 설탕, 소금, SHMP, $Na_2EDTA$$0.5{\sim}3.0%$ 첨가하였을 때 고형분 농도와 수율은 $Na_2EDTA-SHMP-sucrose-NaCl$ 순으로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Na_2EDTA$ 3% 첨가하였을 때 고형분 수율은 55%로 가장 높았고 점도와 탁도는 SHMP와 $Na_2EDTA$ 첨가시 감소하였다.

  • PDF

유채박 단백질의 추출 및 정제에 관한 연구 (Extraction and Purification of Rapeseed Protein)

  • 이장순;강동섭;강영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780-785
    • /
    • 1990
  • 유채박 단백질의 효과적인 추출 및 정제공정을 확립하기 위하여 추출용매를 비교했으며, 1% SHMP 용매로 추출한 후 등전침전, 산세척, UF농축 처리에 의하여 정제한 단백질의 수율 및 glucosinolate와 phytate 잔존량을 조사하였다. 추출조건은 1% SHMP(pH 8.0) 용매가 가장 적당하였으며, glucosinolate 및 phytate 제거를 위한 정제효과 면에서는 2회 산세척시와 1회 산세척 및 UF(100K) 농축 처리한 공정이 가장 효과적 이었다. 수율과 단백질 함량은 2회 산세척의 경우는 37.1% 및 75.3%이었으며, 1회 산세척과 UF(100K) 농축의 경우는 42.1% 및 72.4%였다. 따라서 glucosinolate와 phytate 제거효과와 단백질의 수율면을 고려한 결과 가장 효과적인 정제공정은 등전침전${\rightarrow}$1회 산세척(pH 3.5)${\rightarrow}$중화(pH 7.5)${\rightarrow}$ UF(100K) 농축 처리하는 방법이다.

  • PDF

재구성 돈육의 물리화학적 성질에 대한 중합인산염과 염통의 첨가효과 (Effects of Polyphosphates and Heart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 Restructured Pork Product)

  • 이무하;정명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9-152
    • /
    • 1986
  • 중합인산염 종류(STP, TSPP, SAPP 및 SHMP)와 염통의 첨가가 재구성돈육 제품의 물리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인산염 종류간에 TBA가나 보수력에 대한 효과는 차이가 없었으나, 조리손실을 줄여주는 효과는 STP와 TSPP가 다른 인산염에 비해 높았다. 소염통을 수준별( 5%, 10% 및 15%)로 첨가한 제품과 쇠고기를 비교하여 관능검사를 한 결과, 염통첨가 수준에 관계없이 재구성돈육의 조직과 색깔이 쇠고기와유사하게 나타났고, 다즙성이나 조리감량에서는 쇠고기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염통을 돼지 염통으로 대체하였을 때의 효과는, 염통수준별 5%. 7.5% 및 10%)조리 감량 및 지방산화도에서는 크게 차이가 없었고 육색과 다즙성은 7.5% 및 10%첨가구가 5% 첨가구보다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육색 개선도를 기계적으로 측정한 결과, 염통첨가수준에 의한 영향은 redness의 증가에 의한 효과가 주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발아(發芽)가 유채의 질소화합물 분획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ermination on the Fractions of Nitrogeneous Component of Rapeseed)

  • 윤석권;조병미;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377-388
    • /
    • 1985
  • 내한유채를 $25^{\circ}C$에서 발아시키는동안 질소화합물, 전기영동pattern 및 색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1, 유채의 단백질은 수용성비단백해 질소가 9.3%, albumin 25.1%, globulin이 24.7%, Prolamine of 2.2%, glutelin이 1.7%였는데 발아에 의하여 수용성비단 백태 질소는 증가하였으나 albumin과 globulin은 감소하였고 prolamine과 glutelin은 발아초기에는 감소하다가 그 이후는 증가하였다. 2. 2%SHMP에 의해 추출되는 유채단백질은 발아시간에 관계없이 53.5$\sim$54.5의 추출율을 나타냈다. 3. 유채단백질을 7.5%polyacrylamide gel로써 전기영동한 결과는 2개의 큰peak와 2개의 작은peak를 보이던 것이 발아30시간에는 각peak의 모양이 둥그스럼해지고, 발아45시간 이후에는 큰Peak 1개만이 둥근 모양으로 나타났다. 4. 유채발아중 단백질추출액의 색도는 400$\sim$700mm의 전파장에서 흡광도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500mm에서 현저하였다.

  • PDF

3.5 중량% NaCl 용액에서 쌍선 아크 용사 공정으로 증착된 Al-Zn 코팅의 부식 성능에 대한 기공 밀봉제로서의 헥사메타인산나트륨의 영향 (Effect of sodium hexa-meta phosphate as pore-sealing agent on the corrosion performance of Al-Zn coating deposited by twin-wire arc thermal spray process in 3.5 wt.% NaCl solution)

  • 지텐드라 쿠마 싱;잔낫;이한승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2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81-82
    • /
    • 2022
  • Al and Zn are used to protect the steel structures from corrosion. In the present studies, 15Al-85Zn alloy wires has been used for the deposition of coating by arc thermal spray process. Moreover, this process of coating exhibited severe defects formation, therefore, this coating was post-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i.e. 0.05, 0.1 and 0.5M sodium hexa meta phosphate (Na6[(PO3)6]: SHMP) to fill to defects of deposited coatings and assessed their corrosion resistance in 3.5 wt.% NaCl solution with exposure periods. After the treatment, the porosity of the coating reduced significantly by formation of composite oxide films onto the coating surface. Initially, 0.5 M SHMP treated coating exhibited highest in total impedance due to significant reduction of porosity but once the exposure periods are extended, the composite oxides are dissolved, thus, total impedance is decreased.

  • PDF

해수담수화 역삼투막 공정의 무기질오염에 대한 스케일 억제제 효과 연구 (Effects of Antiscalant on Inorganic Fouling in Seawater Reverse Osmosis Membrane Processes)

  • 강남욱;이석헌;권지향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677-685
    • /
    • 2011
  • 역삼투막 공정의 무기질 스케일은 주로 산을 주입하거나 혹은 스케일억제제를 사용하여 제어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여러 가지 고분자 형태의 스케일 억제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른 성상의 스케일 억제제 세 개를 선택하여 $CaCO_3$ 무기질 오염에 대한 제어효과를 분석하였다. 농축계수가 1.43, 2.5 및 5일 때 Spectra Guard를 사용하여 회수율, 즉 농축계수에 따른 제어능을 비교하였고 농축계수가 2.5일 때 SHMP, Spectra Guard, Flocon 150 N을 사용하여 억제제별 제어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농축계수별 제어능 실험은 농축계수가 증가할수록 더 많은 양의 스케일 억제제를 필요로 하였으며, 필요량은 농축계수 5의 범위까지 거의 선형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임계값보다 적은 양의 스케일 억제제를 주입했을 경우 일정한 시간 경과 후에 스케일이 형성 되는 경향을 보였다. 실험한 세 종류의 스케일 억제제는 모두 스케일 억제 효과를 보였으나, 억제제별로 스케일 제어에 필요한 시간과 적정 주입량 등에 차이를 보였다. Spectra Guard는 주입농도가 0.6 mg/L 이상이면 바로 스케일 제어효과를 나타내었다. SHMP은 적정 농도는 0.4 mg/L로 작았으나 스케일 제어효과가 나타내는 데까지 약 30시간 이상이 걸렸다. Flocon 150 N은 3 mg/L 이상의 주입농도와 30시간 이상의 운전시간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적정 농도 및 제어 반응시간의 차이는 억제제 성분에 따른 억제 기작의 차이로 보이며, $CaCO_3$ 스케일 억제제로 polyacrylate 계의 Spectra Guard가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다시마의 효과적 추출을 위한 종합적인 추출방법의 개발 (Development of Combined Method for Extraction of Sea Tangle)

  • 김우정;이정근;장영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1-56
    • /
    • 1994
  • 다시마를 다당류 분해효소인 Viscozyme, Celluclast, Ultrazyme을 사용하여 분해할 경우 Viscozyme과 Celluclast를 1 : 1로 혼합한 후 분해하는 것이 고형분 및 단백질 수율 그리고 상징액율면에서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고형분 수율은 34.5%였다. 염 또는 당의 농도를 $0.5{\sim}3.0%$범위로 하고 $100^{\circ}C$에서 2시간 가열하였을 때 고형분 농도 및 수율, 상징액율은 SHMP, sucrose, NaCl 및 EDTA-2Na순으로 높았으며 특히 EDTA-2Na를 2.5% 첨가시 고형분 수율이 63.1%까지 도달하여 NaCl과 sucrose를 첨가하였을 때보다 $30{\sim}80%$의 수율향상이 있었다. 관능적 성질은 열수추출한 것보다 효소처리 한 후 NaCl 또는 sucrose를 첨가하여 추출한 것이 전체적인 맛과 해조류 맛의 강도가 뚜렷하게 높았다.

  • PDF

한국산 사과의 품종별 펙틴물질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ctic Substances of Korean Apple Varieties)

  • 임화재;이혜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5-70
    • /
    • 1986
  • 수확적기의 한국산 사과품종별 총펙틴함량과 각 펙틴 fraction 함량을 알아보고 2% Sodium hexa metaphosphate (SHMP)로 추출한 펙틴의 품종간 그리고 시판 펙틴과의 성분을 비교하였다. Nitta 방법에 의해 정량한 사과의 품종별 펙틴함량은 건조중량으로 1.76∼4.0%로 품종간에 차이를 보여 국광이 4.0%로 가장 높았으며 스퍼 얼리 브래이스 골덴 딜리셔스, 후지, 홍옥의 순이었다. 각 펙틴 fraction을 보면 용해성 펙틴함량은 국광이 가장 낮았고 스퍼 얼리 브레이스와 골덴 딜리셔스가 가장 높았다. 한편 스퍼 얼리 브레이스와 골덴 딜리셔스의 불용성 펙틴함량이 낮은 것으로 보아 이 두 사과는 숙성초기에 펙틴물질이 많이 변하는 것 같다. 2% SHMP로 추출한 총펙틴질의 성분 분석에서 회분함량은 사과품종간에 차이를 보이며 시판 펙틴보다 높았다. Anhydrogalacturonic acid (AUA) 함량은 시판 펙틴보다 낮으며 품종간에 범위가 다양했다. 메톡실함량은 시판펙틴보다 높으며 모든 사과품종이 70% 이상의 에스터화정도를 가졌다.

  • PDF

유채박 단백질의 정제조건에 따른 이화학적 성질과 기능성에 관한 연구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Rapeseed Protein upon Purification Conditions)

  • 강영주;이장순;김효선;김충희;정용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51-558
    • /
    • 1991
  • 국내산 Brassica napus, var. Youngsan종 유채단백질의 추출용매 및 공정차이에 따른 이화학적 성질 및 기능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각 공정별로 얻어진 유채단백질은 정제가 잘 될수록 황색도와 표면소수성이 개선되었다. SDS-PAGE 분석결과 9개의 band가 나타났으며 상당부분이 $1.96~1.59{\times}10^4$ dalton 분자량으로 구성되었고, EDTA 혼합용매로 추출한 경우 저분자량 band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아미노산 함량은 정제에 따라 약간씩 높았으나 EDTA 혼합용매로 추출한 단백질에서는 전체적으로 상당히 낮았다. EDTA 혼합용매로 추출한 단백질에서의 용해도가 1% SHMP로 추출한 단백질과 매우 다르게 나타났으며, 동점도는 정제가 잘 될수록 낮은 값이었다. 수분 흡수력과 거품성은 큰 차이가 없었으며, 유흡수력과 에멀젼 활성도는 대조구 보다 약간씩 증가하였으며 대조구에 비하여 다른 모든 처리구의 칼슘에 대한 반응성이 민감하였다. 열응고성은 EDTA 처리구만 높았고 나머지 모든 처리구에서는 상당히 낮은 값으로서 열안정성이 높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