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G Tube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19초

T/R코일프로브를 이용한 원전 SG세관 검사의 와전류탐상 신호해석 (Signal Analysis of Eddy Current Test Using T/R Coil Probe for Inspection of Steam Generator Tube in NPP)

  • 임건규;이향범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59-165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전자기 유한요소 해석을 통하여 배열와전류프로브의 T/R 코일의 와전류탐상 특성을 해석하였다. 신호해석을 위해 사용된 결함은 Notch 결함이며, 결함의 깊이는 관두께를 기준으로 40[%]로 하였으며, 결함의 위치는 관의 내부 및 외부에 있는 것으로 하였다. Transmit 코일을 중심으로 Receive 코일의 위치를 원주방향으로 $0[^{\circ}]$, $30[^{\circ}]$, $60[^{\circ}]$, $90[^{\circ}]$에 위치시키면서 신호해석을 수행하였다. 프로브의 전자기적 특성을 해석하기 위하여 맥스웰 방정식을 이용하여 지배방정식을 유도하였고, 이를 3차원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수치 해석을 수행하였다. 두 종류 결함의 수치해석 비교 결과 내부결함의 신호가 외부결함보다 크게 발생하였고, Transmit 코일에 대한 Receive 코일의 각도 및 위치 변화시 결함신호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ASME 표준 시험편을 이용한 배열와전류 프로브의 와전류탐상 실험신호와 비교결과 유사한 신호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의 결과는 배열와전류 프로브의 와전류 탐상 신호 평가시 도움이 될 것이다.

Development of an Entrainment Model for the Steam Line Break Mass and Energy Release Analysis

  • Park, Young-Chan;Kim, Yoo
    • 에너지공학
    • /
    • 제12권2호
    • /
    • pp.101-10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ntrainment model of the Pressurized Water Reactor (PWR) U-tube Steam Generator (SG) for Main Steam Line Break (MSLB) analyses. Generally, the temperature of the inside containment vessel at MSLB is decreased by introducing the liquid entrainment effect. This effect makes a profit on the aspect of integrity evaluation for Equipment Environmental Qualification (EEQ) in the containment. However, the target plant, Kori unit 1 does not have the entrainment data. Therefore,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RETRAN-3D and LOFTRAN computer programs are used for the model development. There are several parameters that are used for the initial benchmark, such as Combustion Engineerings (CE) experimental data and the RETRAN-3D model which describes the test leg. A sensitivity study is then performed with this model in which the model parameters are varied until the calculated results provide reasonable agreement with the measured results for the entire test set. Finally, a multiplication factor has been obtained from the 95/95 values of the calculated (best-estimate) quality data relative to the measured quality data. With this new methodology, an additional temperature margin of about 40$^{\circ}C$ can be obtained. So, the new methodology is found to have an explicit advantage to EQ analyses.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impact-sliding interaction and fretting wear between tubes and anti-vibration bars in steam generators

  • Guo, Kai;Jiang, Naibin;Qi, Huanhuan;Feng, Zhipeng;Wang, Yang;Tan, Wei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2권6호
    • /
    • pp.1304-1317
    • /
    • 2020
  • The tubes in a heat exchanger, such as a steam generator (SG), are subjected to crossflow, and interaction between tubes and supports can happen, which can cause fretting wear of tubes. Although many experiments and models have been established, some detailed mechanisms are still not sufficiently clear. In this work, more attention is paid to obtain the regulation of impact and sliding in the complex process and many factors, such as excitation forces and clearances. The responses and contact forces were analyzed to obtain clear understanding of the influences of these factors. Room temperature tests in the air were established. The results show that the effect of clearance on the normal work rate is not monotonous and instead has two peaks. The force ratio can influence the normal work rate by changing the distribution of contact angles, which can result in higher sliding in the contact process. Fretting wear tests are conducted, and the wear surfaces are analyzed b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er (EDX). The results of this work can serve as a reference for impactsliding contact analysis between AVBs and tubes in steam generators.

고온, 고압 알칼리 수용액에서의 Alloy 600 산화막 특성에 미치는 납 농도 영향 (Effect of Lead Concentration on Surface Oxide Formed on Alloy 600 in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Alkaline Solutions)

  • 김동진;김현욱;문병학;김홍표;황성식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1권3호
    • /
    • pp.96-102
    • /
    • 2012
  • 0.1 M NaOH 용액에 PbO첨가양이 증가함에 따라 Alloy 600에 형성되는 산화막의 부동태 피막 특성이 열화되었다. 또한 뚜렷한 2중층 구조의 산화막이 점차 사라지고, 산화막내 존재하는 납의 양이 증가하였다. 산화막 내부 납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산화막 내부 니켈의 결핍이 점차 커졌다. 납에 의해 산화막의 부동태 특성이 약화됨에 따라, 응력부식균열 저항성 또한 급감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돼지인공수정용 정액액상보존제 Kp 의 개발에 관한 연구 I. Kp 의 pH 조절과 냉동정자에 의한 보존성 검정 (A Study on Development of Boar Semen Extender Kp for Swine AI I. Stabilization of pH Change and In Vitro Survival of Frozen-Thawed Boar Sperm in Kp Extender)

  • 김선의;정구민;서동삼;김득중;김인철;김현종;신영수;임경순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05-410
    • /
    • 1998
  • 본 연구는 독자 개발한 돼지액상정액희석제 Kp(한국생명과학연구소)에 pH를 안정화하여 보존 중 정자의 운동성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EDTA, Tris, Citrate buffer의 적정 첨가농도를 결정하고자 실시하였다. Basic Kp와 BTS (Mini-tube, Germany; BT-Sg), BTS (Tri-bio, USA; BTSa), Modena (SGI, USA)를 17$^{\circ}C$ 에서 각각 보관한 경우 모든 희석액에서 시간 경과에 따라 pH가 증가하였고, Basic Kp 는 희석 당일의 pH가 다른 희석액에 비해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돼지액상정액의 생리적인 pH인 6.8~7.5에 비해서도 높은 수준이었다. 정액내의 pH 저하를 방지해 주고 정액의 생리적인 pH를 유지하기 위하여 Basic Kp에 EDTA, Tris, Citrate buffer를 단계적으로 첨가하면서 시간 경과에 따른 pH 변화를 살펴 본 결과 1.25g /L EDTA, 1.42g /L Tris, 1.00g /L Citrate를 첨가한 경우 (Modified Kp) pH는 l일째 6.88에서 6일째 7.33으로 유지되었다. 특히, Modified Kp에 첨가된 buffer 의 농도는 Modena와 다른 희석제에 첨가된 농도에 비해 1/2 에서 1/4 정도로 낮은 수준이었다. Modified Kp 와 Basic Kp, BTSg, BTSa 및 Modena로 냉동-융해된 돼지 정자를 희석하여 보존한 경우 정자의 운동성은 Modified Kp가 다른 희석액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87.0% vs. 71.0~48.0% in day 1; 13.3% vs. 6.3~0% of day 6),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Modified Kp는 낮은 농도의 EDTA, Tris, Citrate buffer 첨가에도 불구하고 돼지정자의 생리적인 pH 수준을 잘 유지할 수 있었으며, 수입되어 냉동-융해된 돼지 정자에 사용하는 희석제 BTSg, BTSa, Modena 보다도 정자의 운동성에 효과적이었다.

  • PDF

자연적 지하수 비소오염의 국내외 산출특성 (Characteristics of Natural Arsenic Contamination in Groundwater and Its Occurrences)

  • 안주성;고경석;이진수;김주용
    • 자원환경지질
    • /
    • 제38권5호
    • /
    • pp.547-561
    • /
    • 2005
  • 이 논문에서는 지하수 비소오염의 일반적 지구화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기존 연구사례와 논산/금산지역의 지하수 관정 수질분석 자료 등을 바탕으로 국내 지하수의 비소 산출양상을 평가하고자 한다. 가장 심각한 비소오염이 발생한 방글라데시에서는 약 $28\%$의 관정에서 $50{\mu}g/L$ 이상의 비소함량이 확인되며 2천8백만의 인구가 이에 노출된 것으로 추정한다. 주요한 오염지하수의 특성으로 중성 pH와 중간 또는 강한 환원환경, 낮은 $SO_4^{2-}$, 및$\;NO_3^-$함량, 높은 용존 유기탄소, $NH_4^+$ 함량 등을 들 수 있으며 비소는 주로 3가 형태로 존재하고 홀로세 천부 대수층에서 함량이 높게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대수층내 철수산화물의 환원성 용해 현상으로 비소가 유출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며 유기물질의 존재, 미생물의 활동 등이 주요한 요소로 평가된다. 플라이스토세 빙하활동에 의해 원거리 비소기원물질의 풍화 및 이동, 화학적 집적, 미생물 활동 등의 요인으로 광역적인 세계 주요 오염발생지역의 특성을 해석하기도 한다. 국내에서는 심각한 비소오염 발생사례는 보고되지 않고 있으며 지하수 수질측정망 운영결과 $10{\mu}sg/L$ 이상의 비소함량은 전체 $1\%$ 내외에서 나타나지만, 먹는샘물 수질평가에서 이를 초과하는 업체수가 $19.3\%$에 달하고 논산 및 금산 지역의 간이급수용 관정 수질조사에서 약 $7\%$가 초과하는 결과를 보였다. 전남 일부와 울산 지역의 지하수 수질조사 결과에서도 $10{\mu}g/:L.$ 이상의 함량이 각각 $36\%,\;22\%$에 달하여 변성퇴적암 등의 지질영향과 광화작용에 따른 비소오염이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향후 국내 지하수 비소오염 평가연구를 위하여 비소거동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지구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반응과 지하수 유동특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광화대 지역, 옥천대 변성퇴적암 지역, 부산 경남 일대의 미고결 퇴적층 및 산성황산염 토양 분포지역 등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조사와 연구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