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FE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9초

Block Filtering과 QFT를 이용한 실시간 음장 효과구현 (Real-Tim Sound Field Effect Implementation Using Block Filtering and QFT)

  • 손성용;서정일;한민수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51호
    • /
    • pp.85-98
    • /
    • 2004
  • It is almost impossible to generate the sound field effect in real time with the time-domain linear convolution because of its large multiplication operation requirement. To solve this, three methods are introduced to reduce the number of multiplication operations in this paper. Firstly, the time-domain linear convolution is replaced with the frequency-domain circular convolution. In other words, the linear convolution result can be derived from that of the circular convolution. This technique reduces the number of multiplication operations remarkably, Secondly, a subframe concept is introduced, i.e., one original frame is divided into several subframes. Then the FFT is executed for each subframe and, as a result, the number of multiplication operations can be reduced. Finally, the QFT is used in stead of the FFT. By combining all the above three methods into our final the SFE generation algorithm, the number of computations are reduced sufficiently and the real-time SFE generation becomes possible with a general PC.

  • PDF

Optimization of the extraction of phytochemicals from black mulberry (Morus nigra L.) leaves

  • Nastic, Natasa;Borras-Linares, Isabel;Lozano-Sanchez, Jesus;Svarc-Gajic, Jaroslava;Segura-Carretero, Antonio
    •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 /
    • 제68권
    • /
    • pp.282-292
    • /
    • 2018
  •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chemical composition of Morus nigra leaves extracts, obtained by maceration, accelerated solvent (ASE) and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SFE) under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With regards to chemical composition, mainly phenolic acids and flavonoids were identified. HPLC-ESI-QTOF-MS allowed the identification of 13 new compounds reported in M. nigra leaves for the first time. ASE as a fast, green and innovative approach, seems to be the best choice for extracting compounds of different polarities within the shortest extraction time. The present study also highlights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M. nigra extracts as constituents of new added-value formulations.

생지황(生地黃) 증류 추출 약침액과 초임계 유체 추출물의 성분 연구(硏究) (The Study on the Composition of Rehmanniae Radix Extracts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and by Hydrodistillation Extraction)

  • 허종원;육태한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8권2호
    • /
    • pp.89-95
    • /
    • 2011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 of Rehmannia glutinosa's essential oils with Rehmanniae Radix herbal acupuncture Methods : I obtained the essential oils of Rehmannia Radix by hydrodistillation extraction method and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SFE) method, and then I analyzed those by GC/M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um). Results : 1. With GC(gas chromatography) and GC/M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um) analysis. I identified 9 compounds in the Rehmanniae Radix's essential oil obtained through the SFE method. The main compounds were as follows : Hexachloroethane(2.24%), N-Butyl-benzenesulfonamide(2.05%), hexadecanoic acid(1.93%), hexadecanoic acid, ethyl ester(3.49%), 9,12-Octadecadienoic acid(z,z)(2.70%), (9E)-9-Octadecenoic acid(6.14%), ethyl linoleate(4.43%), ethyl oleate(5.80%). 2. I failed to get Rehmanniae Radix's essential oil obtained through the hydrodistillation method. 3. With GC(gas chromatography) and GC/M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um) analysis. I identified 4 compounds in the Rehmanniae Radix's essential oil obtained through the hydrodistillation method. The main compounds were as follows : Ethylbis(trimethylsilyl)amine(1.04%), 2-(Trimethylsiloxy)benzoic methyl ester(2.65%), Hexadecanoic acid trimethylsilyl ester(12.61%), octadecanoic acid, trimethylsilyl ester(6.28%). Conclusions : The substances by hydrodistillation method may not perfectly match with the substances by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SFE) method in essential oils extracted form Rehmanniae Radix. But, the main substances was assumed Hexadecanoic acid and octadecanoic acid.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처리된 목초액 첨가 장류의 품질향상효과 및 보존성 (Effect of Quality Improvement and the Preservation on Soybean Sauce and Paste by Adding Pyroligneous Liquor Treated with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윤선경;이승진;윤성옥;박선영;김학경;전병수
    • KSBB Journal
    • /
    • 제18권2호
    • /
    • pp.117-121
    • /
    • 2003
  • 4$0^{\circ}C$, 110 bar 조건에서 초임계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추출한 목초액을 GC/MS로 분석한 결과 타르, 탄화취 등의 유해 성분이 제거되었다. 이 정제 목초액을 천연보존제로써 간장 및 된장에 첨가하여 보존성을 관찰한 결과, 간장의 경우 정제 목초액의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해 총균수가 적었으며, 간장 내에 있는 미생물이 어느 진도 성장에 저해를 받은 것으로 나타나 보존성 및 품질향상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된장의 경우 정제 목초액을 첨가한 것이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해 대체로 총균수가 적어 보존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된장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정제 목초액을 첨가한 것은 첨가하지 않은 것과 비교하여 명도(L$^{*}$ )와 황색도(b$^{*}$ )는 증가하였고, 적색도(a$^{*}$ )는 낮아 된장의 갈변이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해 느리게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초임계 기술로 추출한 목초액은 간장 및 된장의 저장성 향상을 위한 첨가물로써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Comparison of Foot Muscle Activity During Short Foot and Toe Spread-out Exercises in Different Weight Bearing Conditions in Individuals With Pes Planus

  • Hyun-ji Lee;Sae-hwa Kim;Seung-min Baik;Heon-seock Cynn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3-71
    • /
    • 2024
  • Background: Individuals with pes planus tend to overuse the extrinsic foot muscles, such as the tibialis anterior (TA) and peroneus longus (PL), to compensate for the weakened intrinsic foot muscles, such as the abductor hallucis (AbdH). Furthermore, differences in weight-bearing can affect the activity of muscles in both the intrinsic and extrinsic foot muscles. To date, no study has compared the effects of the short foot exercise (SFE) and toe spread-out exercise (TSO) on intrinsic and extrinsic foot muscle activity and the corresponding ratios in different weight-bearing positions. Objects: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SFE and TSO on AbdH, TA, and PL activity and the AbdH/TA and AbdH/PL activity ratios in the sitting and standing positions in individuals with pes planus. Methods: Twenty participants with pes planus were recruited. Surface electromyography was used to assess the amplitudes of AbdH, TA, and PL activity. Participants performed both exercises while adopting both the sitting and standing positions. Results: No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exercise and position was found regarding the activity of any muscle or ratio of the activity, except for PL activity. We observ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bdH activity during the TSO compared to the SFE,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A and PL activity between the two exercises. AbdH, TA, and PL activ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tanding position than in the sitting position. Furthermore, the AbdH/PL activity ratio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itting position, although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AbdH activity in the standing position. Conclusion: In individuals with pes planus, we recommend performing the TSO in the sitting position, which may increase the activity of the AbdH while concurrently decreasing the activity of the TA and PL, thus strengthening the AbdH.

칫솔질에 의한 레진 표면 강화재의 마모 (THE ABRASION OF SURFACE PENETRATING SEALANT BY TOOTH-BRUSHING)

  • 송주현;한세현;장기택;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33-642
    • /
    • 2006
  • 본 연구는 레진 표면을 연마한 후 레진 표면 강화재를 도포한 것이 표면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칫솔질 마모시 표면 특성 즉, 표면 조도, 표면 자유 에너지, 마모율 등의 변화가 있는지 알아 보기 위해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p=0.05). 1. 평균 조도는 Biscover < Forify < Polishing군 순이었다. 마모 전과 6개월에서는 모든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1개월, 2개월, 3개월에서는 Polishing군과 Fortify군, Polishing군과 Biscover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표면 자유 에너지는 마모 전은 Polishing군과 Biscover군, Fortify군과 Biscover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Biscover < Fortify < Polishing), 1개월에서는 Polishing군과 Fortify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2개월에서는 각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개월에서는 Fortify군과 Biscover군에서 유의차를 보였고, 6개월에서는 Polishing군과 Fortify군, Fortify군과 Biscover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Fortify < Polishing < Biscover). 3. 마모율은 1개월에서 모든 군에서 유의차를 보였으며, 2개월에서는 군 간 유의차가 없었고, 3개월과 $4{\sim}6$개월 평균 마모율은 Polishing군과 Biscover군, Fortify군과 Biscover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Fortify와 Biscover의 두께를 고려했을 때, Fortify는 2개월 내에, Biscover는 6개월 정도에 거의 소실되었다.

  • PDF

추출방법에 따른 솔잎의 휘발성 성분 조성 비교 (Determination of Aroma Components in Pinus densiflora (Pine Needles) Studied by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이재곤;이창국;백신;권영주;장희진;곽재진;이문수;이계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1-168
    • /
    • 2006
  • 식물체의 향기성분을 분리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headspace(DHS, RPHS)법, SPME법, SDE법, SFE법과 최근에 개발된 PDE법으로 솔잎의 휘발성 성분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성분을 Ge/MS를 이용하여 총 65종의 휘발성 성분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성분은 terpene류 25종, alcoholfb류 16종, carbonyls류 9종, esters류 6종, acids류 7종, esters 화합물이 2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Headspace(DHS, RPHS)법과 SPME 법에서는 휘발성이 강한 ethyl acetate, 2-ethyl furan, $\beta$-myrcene 등과 같은 저비점 휘발성 성분들이 많이 추출되었다. 반면에, 고비점 휘발성 성분들인 nerolidol, spathulenol, benzoic acid 등은 휘발 성분 추출시 열이 가해지는 SDE법, SFE법, PDE법 등에서는 확인되었으나 headspace법과 SPME법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들 6가지 추출방법에서 저비점 휘발성 성분 분석에는 headspace(DHS)법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비점 휘발성 성분 분석에는 SDE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에 개발된 PDE법은 SDE법에 비해 추출효율 변에서 약간 떨어지나 전처리 방법이 간단하므로 짧은 시간에 많은 시료를 분석할 때 가장 적합한 방법인 것으로 판단된다.

생강 분획의 gingerols 분석 및 초임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Comparison of Gingerols in Various Fractions and the Antioxidant Effects of Supercritical Fluid Extracts from Ginger)

  • 이은주;양선아;최희돈;임효권;황기;이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69-474
    • /
    • 2011
  • 본 실험에서는 생강 에탄올 추출물의 극성에 따른 용매 분획을 실시하여 생강의 유용성분을 분석하였으며, 초임계 추출 장치를 이용하여 oil을 추출한 후 남은 박을 다시 에탄올로 추출하여 각각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과 DPPH, ABTS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을 비교 검색하였다. 알려진 생강의 유용성분 중 6-gingerol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n-hexane층에 약 25% 존재하여 6-shogaol 보다 7배 이상 높은 것을 확인했다. 항산화 성분 측정 결과, 생강 박 에탄올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생강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어 생강의 오일 추출 후에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용출이 용이해 졌음을 알 수 있었다. DPPH와 ABTS 라디컬 소거능은 초임계 오일에서 높았으며 특히, 45$^{\circ}C$ 이상의 온도 및 200 bar 이상의 조건에서 추출한 오일에서 우수한 소거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오일뿐 아니라 박 에탄올 추출물은 온도와 관계없이 압력 100 bar에서 항산화능이 우수하였으며 특히, 55$^{\circ}C$, 100 bar에서 20.17${\pm}$0.83 ${\mu}g/mL$로 강한 소거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초임계 오일은 고온, 고압에서 추출 시 많은 양의 항산화 성분이 용출되며, 박 추출물의 경우에는 낮은 압력에서 얻은 박에 많은 양의 항산화 성분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초임계 추출법이 항산화 성분 추출에 보다 효율적인 방법이며, 생강 특유의 향과 고농도의 6-gingerol을 함유하는 초임계 오일뿐만 아니라 향 성분이 제거된 박 추출물도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천연 소재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다양한 산업적 활용이 기대된다.

황칠나무의 휘발성 화합물 분석 및 HepG2 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 (Volatile Compounds and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Dendropanax morbifera on HepG2 Cells)

  • 양선아;코랄리아 가르시아;이지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61-566
    • /
    • 2017
  •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Lev.)는 황금빛의 수액과 약리효과로 한국에서 알려져 있으며, 잎 및 줄기 추출물의 다양한 효능은 피부질환, 편두통, 월경통, 근육통 및 전염성 질환 등의 질병을 개선하는 약리 성분을 공급하는 우수한 공급원이 될 수 있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황칠나무 추출물의 효능에 관해서는 다양한 연구가 보고되어 있으나, 부위별 휘발성 성분의 조성에 대한 보고는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황칠나무의 잎, 줄기 및 수액의 주요 휘발성 성분을 규명하기 위하여, 유기용매 및 초임계유체추출법을 이용한 추출물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잎 추출물에서는 15가지 화합물이 검출되었으며, 줄기 및 수액에는 각각 29가지 및 3가지 성분이 확인되었다. 또한 용매와 초임계유체추출법을 사용하여 얻은 휘발성 성분의 프로파일은 다르게 나타났다. 잎의 용매 추출물과 줄기의 초임계유체 추출물에서는 에스테르와 방향족 탄화수소가, 잎의 초임계유체 추출물 및 줄기의 초임계유체 추출물에는 테르페노이드가 주요 성분으로 나타났다. 한편, limonene (96.3%), ${\alpha}$-pinene, 그리고 ${\beta}$-myrcene은 수액 용매 추출물의 휘발성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잎 및 줄기의 용매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평가한 결과, 잎의 용매 추출물이 HepG2 세포의 증식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