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T 모델

검색결과 2,713건 처리시간 0.034초

신뢰도를 가진 SNP 단편들과 유전자형으로부터 일배체형 조합 (Haplotype Assembly from Weighted SNP Fragments and Related Genotype Information)

  • 강승호;정인선;최문호;임형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5권11호
    • /
    • pp.509-516
    • /
    • 2008
  • Minimum Letter Flips(MLF) 모델과 Weighted Minimum Letter Flips(WMLF) 모델은 일배체형 조합문제(haplotype assembly problem)를 해결하기 위한 모델들이다. 그러나 MLF 모델이나 WMLF 모델은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단편들에 손실과 오류가 적은 경우에만 효과적이다. 본 논문은 WMLF 모델의 개선을 목적으로 유전자형 정보를 추가한 WMLF/GI 모델과 문제를 제시한다. 새로 제시한 문제가 NP-hard임을 증명하고, 정확성이 높고 효율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유전자 알고리즘을 설계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새로운 모델이 기존의 모델들에 비해 SNP 단편들에 손실과 오류가 많은 경우에도 높은 정확성을 가짐과 유전자형 정보가 유전자 알고리즘의 수렴속도를 크게 개선함을 보인다.

이미지 생성 모델을 이용한 패턴 결함 데이터 증강에 대한 연구 (A Study of Pattern Defect Data Augmentation with Image Generation Model)

  • 김병준;서용덕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9권3호
    • /
    • pp.79-84
    • /
    • 2023
  • 이미지 생성 모델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데이터 부족 문제와 시간 및 비용 문제를 극복하고 있다. 그러나 규칙적 패턴 이미지에서의 이미지 생성과 해당 데이터의 결함 검출에는 한계를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 생성 모델의 패턴 이미지 생성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OLED 패널의 결함 검출을 위한 데이터 증강에 적용하였다. OLED 결함 검출 모델을 학습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는 OLED 패널의 높은 비용 문제로 실제 데이터 세트를 확보하기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 데이터 세트를 확보한다 하더라도 여러가지 결함 유형을 정의하고 분류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가상의 기반 데이터 세트를 획득할 OLED 패널 결함 데이터 획득 시스템을 소개하고, 이미지 생성 모델로 해당 데이터를 증강한다. 또, 확산모델에서의 패턴 이미지 생성의 어려움을 확인하여 가능성을 제안하고, 이미지 생성 모델 이용한 데이터 증강 및 결함 검출 데이터 증강의 제한 사항을 개선하였다.

기어가공 FMC 개발

  • 김선호;김선호;박화영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2-267
    • /
    • 1992
  • 본 논문에서는 국내 중소기업을 위한 기술지원의 일환으로 시범적으로 개발한 자동화 모델을 소개한다. 개발된 모델은 자동차에 사용되는 오일 펌프 드리이브용 기어를 대상부품으로한 FMC(Flexible Manufacturing Cell)로서 선삭과 치절( Hobbing)공정을 자동화 하는 2 Set의 FMC로 구성되어있다. FMC 개발을 위하여 대상부품 특성과 공정을 분석하였으며 개발된 시스템의 구성 및 개별장비에 대한 기능에 대해 기술하였다.

Inception V3를 이용한 뇌 실질 MRI 영상 분류의 정확도 평가 (Accuracy Evaluation of Brain Parenchymal MRI Image Classification Using Inception V3)

  • 김지율;예수영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32-137
    • /
    • 2019
  • 의료영상으로 생성된 데이터의 양은 전문적인 시각적 분석 한계를 점점 초과하여, 자동화된 의료영상 분석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인하여 본 논문에서는 정상소견과 종양소견을 보이는 각각의 뇌 실질 MRI 의료영상을 이용하여 Inception V3 딥러닝 모델을 이용한 종양 유무에 따른 분류 및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딥러닝 모델의 정확도 평가는 학습 데이터 세트의 경우 90%, 검증 데이터 세트의 경우 86%의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손실률 평가에서는 학습 데이터 세트의 경우 0.56, 검증 데이터 세트의 경우 1.28의 손실률을 나타내었다. 향 후 연구에서는 딥러닝 모델의 성능 향상 및 평가의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공개된 의료영상의 데이터를 충분히 확보하고, 라벨링 분류 작업을 통한 라벨링의 정확도를 개선하여 모델링을 구현해 볼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기계학습모델을 통한 응급실 폐렴환자의 사망예측 모델과 기존 예측 모델의 비교 (Predicting the mortality of pneumonia patients visiting the emergency department through machine learning)

  • 배열;문형기;김수현
    • 대한응급의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55-464
    • /
    • 2018
  • Objective: Machine learning is not yet widely used in the medical field.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preexisting severity prediction models and machine learning based models (random forest [RF], gradient boosting [GB]) for mortality prediction in pneumonia patients. Methods: We retrospectively collected data from patients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of a tertiary training hospital in Seoul, Korea from January to March of 2015. The Pneumonia Severity Index (PSI) and Sequential Organ Failure Assessment (SOFA) scores were calculated for both groups and the area under the curve (AUC) for mortality prediction was computed. For the RF and GB models, data were divided into a test set and a validation set by the random split method. The training set was learned in RF and GB models and the AUC was obtained from the validation set. The mean AUC was compared with the other two AUCs. Results: Of the 536 investigated patients, 395 were enrolled and 41 of them died. The AUC values of PSI and SOFA scores were 0.799 (0.737-0.862) and 0.865 (0.811-0.918), respectively. The mean AUC values obtained by the RF and GB models were 0.928 (0.899-0.957) and 0.919 (0.886-0.952),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existing severity prediction models and machine learning based models (P<0.001). Conclusion: Classification through machine learning may help predict the mortality of pneumonia patients visiting the emergency department.

진화론적으로 최적화된 Context-based RBF 뉴럴 네트워크 설계 (Design of Genetically Optimized Context-based RBFNN)

  • 박호성;오성권;김현기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9년도 정보 및 제어 심포지움 논문집
    • /
    • pp.258-260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최적화 알고리즘인 유전자 알고리즘과 context-based FCM 클러스터링 방법을 이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RBF 뉴럴 네트워크의 포괄적인 설계 방법론을 소개한다. 제안된 구조는 클러스터링 기법을 기반하여 사용된 데이터의 특성에 효과적인 모델을 구축하고자 한다. 또한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모델의 최적화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파리미터들(-은닉층에서의 contex의 수, contex에 포괄되는 노드의 수, 그리고 contex에 입력되는 입력변수)을 동조한다. 제안된 모델의 설계 공정은 1) K-means 클러스터링을 통한 context fuzzy set에 대한 정의와 설계, 2) context-based fuzzy clustering에 대한 모델의 적용과 이에 따른 모델 구축의 효율성, 3) 유전자 알고리즘을 통한 모델 최적화를 위한 파라미터들의 최적화와 같은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구축된 RBF 뉴럴 네트워크의 후반부 다항식에 대한 parameter들은 성능지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Least Square Method에 의해서 보정된다. 본 논문에서는 모델을 설계함에 있어서 체계적인 설계 알고리즘을 포괄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제안된 모델의 성능을 다른 표준적인 모델들과 대조함으로써 제안된 모델의 우수성을 나타내고자 한다.

  • PDF

도화원도와 수치지도 기반의 도시공간모델 생성 (Generation of a City Spatial Model using a Digital Map and Draft Maps)

  • 오소정;김성준;최경아;이임평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6-89
    • /
    • 2008
  • 도시공간모델은 공간의 문제 또는 현상들을 보다 종합적, 합리적으로 파악하는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지도와 도화원도로부터 저렴하고 수치지도 기반의 공간분석에 유용한 지형과 건물을 포함하는 도시공간모델을 생성하고자 한다. 도시공간모델은 지면모델과 건물모델로 나누어 생성한 후 통합한다. 지면모델은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DEM을 생성한다. 건물모델은 수치지도와 도화원도를 융합하여 생성한다. 제안된 방법은 영등포구 전체를 포함하는 수치지도와 서로 다른 시기에 생성된 3 set의 도화원도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생성된 도시공간모델은 수치지도를 기반으로 공간분석을 하는 응용분야에서 요구하는 입력 형태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유용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도시공간모델의 생성 방법론은 더 많은 분야의 공간분석을 위해 활용될 것이다.

  • PDF

SKP기반 SET프로토콜의 Petri Nets를 이용한 분석 (Analysis Using Petri Nets for SKP-based SET Protocol)

  • 송유진;서미경;이종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8C권5호
    • /
    • pp.621-628
    • /
    • 2001
  • SET은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결재 시스템 규약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전자상거래에서 실질적인 배달이나 배달 확인과정에 대해서는 SET은 고려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배달이나 배달 확인에 의한 지불에 대한 보안성을 좀 더 높여주는 SKP(Secure Key Protocol)를 제안한다. 그리고 Petri Nets 모델링 방법을 이용하여, SKP를 적용한 SET 모델의 적합성 여부를 증명한다.

  • PDF

효율적인 태양광 발전량 예측을 위한 Dynamic Piecewise 일사량 예측 모델 (A Dynamic Piecewise Prediction Model of Solar Insolation for Efficient Photovoltaic Systems)

  • 양동헌;여나영;마평수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3권11호
    • /
    • pp.632-640
    • /
    • 2017
  • 일사량은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전력 생산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기상요소이며, 다른 기상요소들과 달리 기상청의 일기예보를 통해 제공받을 수 없다. 따라서 효율적인 태양광 발전시스템 운용을 위해 일사량 예측에 관한 연구는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기상정보 데이터 기반의 Dynamic Piecewise 일사량 예측 모델을 제안한다. Dynamic Piecewise 일사량 예측 모델은 유사한 태양고도와 유사한 날씨의 데이터 조각들로 나누어 학습하기 위해, 예측하는 시점의 태양고도와 운량을 기준으로 전체 데이터를 동적으로 나눈 후 기계학습 알고리즘인 다중 선형회귀 알고리즘으로 학습하여 일사량을 예측하는데 사용된다. 본 연구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제안 모델인 Dynamic Piecewise 일사량 예측 모델과 이전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 기존의 상관관계식 기반 일사량 예측 모델에 동일한 기상정보 데이터 셋을 적용하여 비교하였으며, 비교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이 가장 정확한 일사량 예측 성능을 보였다.

Temporal 데이터의 최적의 클러스터 수 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Determining the Best Number of Clusters on Temporal Data)

  • 조영희;이계성;전진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23-30
    • /
    • 2006
  • Temporal 데이터의 클러스터링 방법론 중의 하나로 모델기반 방법론이 있다. 이는 각 클러스터에 대하여 오토마타기반의 모델을 가정하는 것이다. 개별 모델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체 데이터에 대한 적합한 모델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전체에 대한 모델은 데이터집합에 대한 최적의 클러스터의 수를 결정함으로 개별 모델 구축의 준비를 완료한다. 본 연구에서는 클러스터 수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인 베이지안 정보기준(BIC : Bayesian Information Criterion) 근사법의 활용도를 검증하고 데이터 크기와 BIC 값의 상관관계를 파악함으로 탐색 효율을 높이는 방안을 제안한다. 실험에서는 인위적 모델을 통하여 생성된 인공적인 여러 형태의 데이터집합을 활용하여 BIC근사 측도의 활용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실험결과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BIC 근사 측도는 데이터의 크기가 비교적 클 경우에 올바른 파티션의 사이즈를 추정함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