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U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7초

Joint Compensation of Transmitter and Receiver IQ Imbalance in OFDM Systems Based on Selective Coefficient Updating

  • Rasi, Jafar;Tazehkand, Behzad Mozaffari;Niya, Javad Musevi
    • ETRI Journal
    • /
    • 제37권1호
    • /
    • pp.43-53
    • /
    • 2015
  • In this paper, a selective coefficient updating (SCU) approach at each branch of the per-tone equalization (PTEQ) structure has been applied for insufficient cyclic prefix (CP) length. Because of the high number of adaptive filters and their complex adaption process in the PTEQ structure, SCU has been proposed. Using this method leads to a reduction in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while the performance remains almost unchanged. Moreover, the use of set-membership filtering with variable step size is proposed for a sufficient CP case to increase convergence speed and decrease the average number of calculation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despite the aforementioned algorithms having similar performance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algorithms, they are able to reduce the number of calculations necessary. In addition, compensation of both the channel effect and the transmitter/receiver in-phase/quadrature-phase imbalances are achievable by these algorithms.

DEVS 형식론을 이용한 실시간 고속 대규모 데이터 저장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a Real Time, High Speed, Large Scale Data Storage System using the DEVS formalism)

  • 이찬수;성영락;오하령
    • 한국시뮬레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1997년도 춘계 학술대회 발표집
    • /
    • pp.75-80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입출력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 시스템 이 가져야할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그것을 만족하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고속 대용량, 랜덤 억세스의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여러 대의 하드 디스크를 병렬로 연결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나누어 저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하드 디스크의 성능은 디 스크 아암의 탐색동작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실시간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선 단순히 디스크의 수를 늘이는 것 외에 디스크 아암의 탐색 동작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 는 방법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 설계된 시스템에서는 시스템을 MCU(Master Control Unit), DDU(Data Distribution Unit), SCU(Slave Control Unit), DSU(Data Storage Unit)의 4부분으로 나누고, 각 디스크의 디스크 아암 탐색 동작을 독립된 SCU에서 제어하 도록 하였다. 설계된 내용이 주어진 요구사항들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본 논문에 서는 이산사건 시스템을 기술하는 수학적인 언어인 DEVS 형식론을 이용하여 제안된 시스 템을 기술하고 시뮬레이션하였다. 그리고 시뮬레이션되는 과정에서 생산되는 사건들의 궤적 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제안된 시스템은 앞에서 제시한 여러 요구사항들을 잘 수용함을 보았다.

  • PDF

다중 제어 장치 연결을 위한 Modbus 응용 Protocol 설계 (A Design of A Modbus Application Protocol for Multiple SCU Connections)

  • 송정호;김보헌;김황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642-649
    • /
    • 2018
  • Modbus 프로토콜은 하나의 마스터 제어 유닛에 여러 대의 슬레이브 제어 유닛을 연결할 경우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그러나 Modbus 프로토콜에서는 SCU의 상태 값을 읽는 서로 다른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해 결과 값만을 응답하기 때문에 어떤 전송 메시지에 대한 응답인지 식별할 수 없었다. 따라서 MCU 프로그램 작성 시 하나의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를 처리한 후에 다음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프로그램을 작성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메시지의 전송 순서를 확인할 수 있는 Index 코드 및 응답한 메시지의 서비스 유형을 판단하기 위한 Service 코드를 추가한 Modbus 응용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이를 제안하였다. 실험 결과, MCU에서 전송한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음 서비스 요청 메시지의 전송이 가능하였으며, 통신 에러 발생 시 에러 검색 알고리즘을 이용해 어떤 종류의 에러가 발생했는지 식별할 수 있었다. 또한, 다중의 동시적인 서비스 요청의 경우에 전송 메시지들의 처리시간이 기존의 Modbus 프로토콜보다 약 66.2% 향상되었다.

서해안 저소성 점토질 실트 지반의 비배수 전단강도 평가 (Evaluation of Undrained Shear Strength for Clayey Silt with Low Plasticity from the West Coast)

  • 김석조;이상덕;김주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8호
    • /
    • pp.15-25
    • /
    • 2016
  • 화성 지역의 저소성 실트 지반에 대한 비배수 전단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일련의 실내 및 현장 원위치 시험을 수행하였다. 저소성 지반에 대한 비배수 전단강도 산정을 위한 시험의 적용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일축압축시험 및 간이 CU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저소성 실트 지반의 경우, 원지반에서 불교란 시료 채취가 적절하게 이루어진다 할지라고 시료 내부의 잔류유효응력이 매우 감소하게 되어, 일축압축강도가 현저하게 과소평가되는 결과가 얻어졌다. 따라서, 해성 점토 지반과 동일한 조건이 갖추어지도록 원위치 유효상재압으로 재압밀시킨 후, 전단시험에서 얻어진 간이 CU 강도, $s_{u(scu)}$의 75%를 설계 비배수 전단강도로 적용한다면, 원위치 전단강도를 적절하게 평가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질소(重窒素)를 이용한 수도품종(水稻品種) 및 시용시기(施用時期)에 따른 토양 및 시비질소(施肥窒素)의 효율 -제1보(第一報). 농가포장(農家圃場)에서의 NPK 단순시험(單純試驗)- (Efficiency of Soil and Fertilizer Nitrogen in relation to Rice Variety and Application Time, Using $^{15}N$ Labelled Fertilizer -I. N.P.K. simple trials in farmers fields-)

  • 박훈;박영선;이춘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4호
    • /
    • pp.230-237
    • /
    • 1981
  • 시비질소(施肥窒素)의 효율(效率)을 조사(調査)하기 위(爲)하여 삼요소(三要素) 및 황피요소(養被尿素)(SCU), 농가포장(豊家圃場)에서 2년간(年間) 통일계(統-系)(일본형(日本型), 인도형(印度型), 교잡선발(交雜選拔))와 일반장려계(一般奬勵系)를 사용(使用) 시험(試驗)하였다. 통일계(統一系)의 수량(收量)은 일반장려계일(一般奬勵系)에 비(比)하여 32개지역(個地域) 130개포장(個圃場)에서 2회분시(回分施)와 SCU를 포함한 삼요소(三要素)시험에서 저온다조(低溫多照)해에는 16%, 고온다조(高溫多照)해에는 23%의 증수(增收)를 보였다. 적정질소수준(適定室素水準)은 통일계(統一系)가 장려계(奬勵系)보다 저온(低溫)해에는 3.8kg, 고온(高溫)해에는 5.5kg이 높았으며 동일계(同一系)에서의 년차변이(年次變累)는 동년도(同年度)의 계통간(系統間)변이(變異)보다 컸다. 2회분시(回分施)는 l-2%의 일정(一定)치 않은 수량변이(收量變異)를 보였다. SCU는 20%의 시비량(施肥量) 절감(節減)에도 평균(平均) $2{\sim}4%$의 증수(增收)를 보였으며 염류답(鹽類畓)($27{\sim}39%$), 신개답(新開畓)(20%)과 미숙답(未熟畓)(10%)에서 현저한 증수효과(增收效果)를 보였다.

  • PDF

간이 큐어링 설비를 이용한 큐어링 처리가 장기간 저장 중 고구마의 품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 (Application of Simplified Curing Unit for the Extension of Storage Life and Improvement of Physicochemical Quality of Sweet Potatoes during Long-term Storage)

  • 송정화;김성겸;전창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04-310
    • /
    • 2011
  • 본 연구는 기존의 농가 보급형 고구마 저장고에 가열기(본체), 환기팬, 배풍구 팬, 습도 조절을 위한 관으로 구성된 간이 큐어링 설비를 부가시킨 후,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6일간의 큐어링 처리 기간 동안 저장고 내 기온 및 상대습도는 $32^{\circ}C$, 90%로 설정되었다. 고구마의 저장 기간(6 개월) 동안 1개월에 1회씩 표본을 수집하여 물리화학적 품질을 측정한 결과, 부패율과 부패 정도를 함께 보여주는 McKinney Index는 큐어링 처리구의 경우 0.83%였으며, 큐어링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구의 경우 5.08%였다. 큐어링 처리구의 경도 및 당도, 건물율은 모두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대조구의 표피색이 큐어링 처리구보다 빠르게 변하여 큐어링 처리가 저장기간 동안 고구마의 변색을 지연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간이 큐어링 설비를 이용한 큐어링 처리는 초기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일반 큐어링 설비를 대체하여 고구마의 물리화학적 품질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저장 기간을 늘릴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자율 주행 트랙터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한 CAN 기반의 조향제어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Steering Control System based on CAN for Autonomous Tractor System)

  • 서동현;서일환;정선옥;김기대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1호
    • /
    • pp.123-130
    • /
    • 2010
  • A steering control system based on CAN(Controller Area Network) for autonomous tractor was developed to reduce duty of a central processing computer and to improve performance of steering control in terms of reduced control interval and error. The steering control system consisted of a SCU (Steering Control Unit), an EHPS system, and a potentiometer. The SCU consisted of an MCU (Micro Controller unit), an A/D converter, and a DC-DC converter, and a PID controller was used to control steering angle. The steering control system was communicated with the computer by CAN-bus. Each actuator and implement was connected to a multi-function board interfacing with the computer through a USB cable. Without CAN, control interval of the autonomous tractor was 1.5 seconds. When the CAN-based steering control system was combined with the autonomous tractor, however, control interval of the integrated system was reduced to those less than 0.05 seconds. When the autonomous tractor was operated with 1.5-s and 0.05-s control cycles at a 0.63-m/s travelling speed, the trajectories were close to straight lines for both of the control cycles. For a 1.34-m/s traveling speed, tractor trajectory was close to sine wave with a 1.5-s control cycle, but was straight line with a 0.05-s control cycle.

Polymethoxylated Flavone Extracts from Citrus Peels for Use in the Functional Food and Nutraceutical Industry

  • Yao, Xiaolin;Pan, Siyi;Duan, Chunhong;Yang, Fang;Fan, Gang;Zhu, Xinrong;Yang, Shuzhen;Xu, Xiaoyu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5호
    • /
    • pp.1237-1242
    • /
    • 2009
  • Polymethoxylated flavones (PMFs) extracted from Citrus sinensis 'Jincheng' peel were characterized by chromatographic and spectroscopic techniques. Seven individual PMF were identified. 3, 3', 4', 5, 6, 7-hexamethoxyflavone (HEX), nobiletin (NOB), heptamethoxyflavone (HEP), 5-demethylnobiletin (DN), and tangeretin (TAN) were characterized through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ESI-MS) in positive mode of protonated molecular ions $[M+H]^+$, the diagnostic fragment ions, together with the UV-Vis spectra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elution order from literature data. Sinensetin (SIN) and tetramethyl-O-scutellarein (SCU)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through their MS, $^1H$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and UV-Vis spectral studies. The levels of PMFs in peels from different cultivars of citrus fruits grown in China were determined for the first time. The results showed that C. aurantium 'Bitter orange' peel was the most promising variety for HEP. C. sinensis peel was a good source for SIN and SC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