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CS CN

Search Result 9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pplication of GIS Engine for Runoff Parameter Analysis (유출 매개변수 분석을 위한 GIS 엔진의 적용)

  • Kim, Sang-Ho;Choi, Keun-Ho;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101-108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분포형 추문모형에 있어 공간변수의 디테일함을 고려하기 위해 GIS와 결합된 SCS-CN 값 산정 모형을 개하는데 있다. 모형은 (주)한국공간정보통신의 GIS 소프트웨어 개발도구인 IntraMap/Objects를 사용하였고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닷넷 플랫폼 개발 언어인 C#으로 개발하였다. 모형의 입력자료인 토지이용도와 토양도의 지형학적 가공을 위해 클립(Clip), 디졸브(Dissolve), 인터섹션(Intersection)과 같은 지형전처리 모듈(GeoPreprocessing Module)을 개발하였다. 또한 전처리된 토지이용도(토지이용항목필드)와 토양도(추문학적 토양그룹필드)를 CN 값 기준도표에 매치시킴으로서 유역의 선행토양함수조건에 따른 분포형 CN 값 및 개략적인 유출량을 산정하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모형은 지형, 토양도 토지이용도, 토지피복도 변화에 따른 미래 유출량을 예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number of days without precipitation in the rainfall simulation test for estimating the CN of the permeable pavement (투수포장체 CN 산정을 위한 강우모사 시험의 선행 무강우일수 방안 연구)

  • Park Byeong-Woo;Kang Du-Kee;Park Jae-Roc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53-353
    • /
    • 2023
  •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도시유출 저감과 열섬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투수블럭 시공이 증가 추세 있으나, 투수블럭과 하부 도로포장체에 대한 강우모사 시험시 토양함수율 설정기준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유역 혹은 시험체의 유출량 예측에는 토지 이용에 따라 미국자연자원보호청(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NRCS)의 SCS 유효우량 산정 방법을 통해 CN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이때 유역 혹은 시험체의 선행강우일수에 따라 유출량 결과가 큰 차이가 발생한다. 연구를 위해 시험실이 위치하고 있는 부산시와 양산시 무강우 일수(10년, 2012~2021)를 홍수기, 비홍수기 각각 분석한 결과에 따라, 투수블록 포장체의 CN 산정을 위해 자연강우 이후 시험시 AMC조건을 따르며, 무강우일수 5일 이내에는 비성수기 12.7~27.94mm, 성수기 35.56~53.34mm의 평균강우 20.32mm, 44.45mm에 해당하는 체적의 실험수를 사전에 살수한 후 강우모의시험을 진행한다. 사전살수를 통해 하부기층 토양을 AMC-II 기준에 맞추고, 강우모의 시험을 통해 CN(II) 산정한다. 동일기준에서 진행된 시험 결과, 일정한 유출을 확인하였으며, 적용에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따라서 토양종류와 토양함수조건에 의거 투수블록 포장 시험체의 CN을 산정을 통해, 도시홍수 유출모형에 적용할 수 있다. 53.34mm 이상의 자연강우시 모니터링을 통한 CN(III)을 산정하여CN(II)로 환산하여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유출량을 산정한다.

  • PDF

지하수위 변동곡선 및 물수지분석 기법을 적용한 소유역 지하수 함양량 산정에 관한 연구

  • Kim Man-Il;Kim Jin-Hun;Jang Gwang-Su;Seok Hui-Jun;Kim Hye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6.04a
    • /
    • pp.350-35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의 강우자료, 지하수위 변동자료 및 토지이용 상태 등을 이용하여 소유역내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였다. 적용된 기법은 지하수위 변동곡선법, SCS-CN법, 통계자료 분석기법 및 손실량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소유역내에서 일평균 지하수 함양량을 각기 산정하였다. 지하수위 자료를 적용해 산정된 지하수 함양율은 SCS-CN법의 평균 지하수 함양율 14.24%보다 높은 18.9%로 나타났으며, 이는 우리나라 지하수 함량율인 18% 내외임을 감안할 때 소유역에서의 지하수 함양량은 일평균 약 $800m^3$ 이상 지하수로 환원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 PDF

Applications of Landsat Imagery and Digital Terrain Model Data to River Basin Analyses (Landsat 영상과 DTM 자료의 하천유역 해석에의 응용기법 개발)

  • 조성익;박경윤;최규홍;최원식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 no.2
    • /
    • pp.117-131
    • /
    • 198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echniques acquiring hydrologic parameters that affect runoff conditions from Landsat imagery. Runoff conditions in a study area were analyzed by employing the U.S. Soil Conservation Service(SCS) Method. SCS runoff curve numbers(CN) were estimated by the computer analysis of Landsat imagery and digiral terrain model(DTM) data. The SCS Method requires land use/cover and soil conditions of the area as input parameters. A land use/cover map of 5 hydrological classes was produced from the Landsat multi-spectral scannerr imagery. Slope-gradient and contour and contour maps were also made using the DTM topographic data. Inundation areas depending on reservoir levels were able to be mapped on the Landsat scene by combining the contour data.

Flood Runoff Computation for Mountainous Small Basins using HEC-HMS Model (HEC-HMS 모델을 이용한 산지 소하천유역의 홍수유출량 산정)

  • Chang, In-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y Convergence
    • /
    • v.7 no.3
    • /
    • pp.281-288
    • /
    • 200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ology of the flood runoff analysis in steep mountainous basins and the analysis basin is the Jasa valley basin in Chungju city Analyzing the spatial pattern of the rainfall in 1994. 6 30~7.1, the seasonal rainy front was tied up in the whole central district, and the rainfall center was moving from the northern Chungbuk province to the northern Kyongbuk province and caused heavy storm. Analyzing the temporal pattern with the Huff method, the 52.5% of the rainfall was concentrated on the 3rd quartile. Rainfall frequency analysis is accomplished by five distribution types; 2-parameter Lognomal, 3-parameter Lognomal, Pearson Type III, Log-Pearson Type III and Extremal Type I distribution Rainfall-runoff analysis in Jasa valley basin was made using HEC-HMS model. Jasa valley basin was divided into 3 sub-basins and the analysis point was 3 points{A, B and C point) With the rainfall data measured by the 10 minutes, the flood runoff also was calculated by as many minutes. SCS CN model, Clark UH model and Muskingum routing model in HEC-HMS model were used to simulate the runoff volume using selected rainfall event.

  • PDF

Optimal Location of Best Management Practices for Storm Water Runoff Reduction (우수유출저감 시설의 최적위치 결정)

  • Jang, Su Hyung;Lee, Jiho;Yoo, Chulsang;Han, Suhee;Kim, Sangd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 /
    • v.24 no.2
    • /
    • pp.180-184
    • /
    • 2008
  • A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of an urban drainage area on Bugok drainage area in Oncheon stream was developed and combined with a optimization method to determine the optimal location and number of best management practices (BMPs) for storm water runoff reduction. This model is based on the SCS-CN method and integrated with a distributed hydrologic network model of the drainage area using system of 4,211 hydrologic response units (HRUs). Optimal location is found by locating HRU combination that leads to a maximum reduction in peak flow at the drainage outlet in this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optimal locations and numbers of BMPs, however, for more exact application of this model, project cost and SCS-CN reduction rate of structural facilities such infiltration trench and pervious pavement will have to be considered.

Estimation of Movement Amount of River Floating Debris Based on Effective Rainfall and Flow Rate (유효강우량과 유량에 따른 하천 부유쓰레기 이동량 산출)

  • Jang, Seon-Woong;Yoon, Hong-J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2 no.1
    • /
    • pp.237-242
    • /
    • 2017
  • Along with effluence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continuous precipitation due to rainy season or localized heavy rain can also be a good reason for increase of flow rate. And if the water level is going up due to the increase, floating debris around rivers and streams will move because of increased flow velocity. However, currently, there are no studies which perform quantitative calculation on movement of floating debris by analyzing amount of rainfall and flow rate in both domestic and abroad. Thus, the present study calculated amount of movement of floating debris based on moving route monitoring results according to changes of effective rainfall and flow rate that are obtained by using SCS-CN method.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Regional Groundwater Recharge Ratio (지역단위 지하수 자연함양율 산정방법 연구)

  • 최병수;안중기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
    • v.5 no.2
    • /
    • pp.57-65
    • /
    • 1998
  • Recently, many researchers have studied on the estimation of groundwater storage and its usable amount in Korea. Those studies were, however, mostly on the groundwater recharge amount over the nation or for the large extent of areas. 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also needed to study on the regional recharge rate for the planning of groundwater management or for the assessment of groundwater development impacts. In this paper, two practical methods for the estimation of regional groundwater recharge have been studied and proposed, which are $\circled1$ the estimation of the groundwater recharge due to the SCS-CN infiltration method, and $\circled2$ the estim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ratio by analyzing groundwater level hydrographs.

  • PDF

Analysis of Runoff using WMS in Hoe Stream Basin (WMS 모형을 이용한 회천유역의 유출해석)

  • Jung, Chan-Yong;Kwon, Kyu-Sang;Kim, Sam-Eun;Lim, Hyuk-Jin;Kim, Hyoung-Seop;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608-1613
    • /
    • 2007
  • 최근들어 수자원 분야에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의 활용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수자원 관련 분야에 있어서 GIS는 수문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학적인 요인, 토양, 토지이용도, 배수 유역의 형태 등 수문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역에서의 지형학적, 기후학적 특성을 시간과 인력을 절약하여 정량화할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고 있다. 하천에서의 유출량 추정은 강우, 수위와 같은 수문데이터의 신뢰도에서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따라서 모의 입력매개변수의 중요요소인 지형정보의 경우 GIS 기법을 이용할 경우 기존 방법과는 달리 신뢰성 있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모형의 결과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Environmental Modeling Research Laboratory(EMRL)에서 개발한 지리정보시스템과 수문유출모형이 접목된 WMS(Watershed Modelling System) 모형을 HEC-1 모형과 연계하여 낙동강수계 제1지류인 회천유역 개진1, 개진2 지점의 유출 해석을 실시하였다. GIS와 결합된 홍수유출모형인 WMS를 이용하여 유역 내의 지형특성인자 및 하천망을 추출하였으며, 유출해석은 WMS에 내재된 HEC-1을 이용하였다. 유효강우량의 산정을 위해 SCS CN 값을 사용하였으며, CN 계산을 위해서는 토지이용도 토양도를 이용하였다. 합성단위도법은 SCS 무차원 단위도법을 사용하여 유출을 모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