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B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36초

개량 SCB 저농도액비가 크리핑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Developed SCB Liquid Fertilizer on the Growth of Creeping Bentgrass)

  • 함선규;김영선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00-105
    • /
    • 2011
  • 본 연구는 SCB 저농도액비애 질소, 인산, 칼리 성분을 첨가한 개량SCB액비(DSCB)의 시비에 따른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처리구를 비료의 종류와 시비량에 따라 무처리구(NF), 대조구(CF), 100DSCB(250 $ml{\cdot}m^{-2}$ DSCB), 80DSCB (200 $ml{\cdot}m^{-2}$ DSCB) 및 화학비료+SCB(CF+SCB)로 설정하여 처리한 후 엽색지수, 엽록소지수, 건물중, 잔디밀도 및 잔디의 양분함유량을 조사하여 생육을 평가하였다. 시험 전후 토양 분석결과, 처리구에 따른 토양화학성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아 DSCB와 SCB의 시비가 골프코스의 토양화학성의 변화에 영향을 마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엽색지수와 엽록소 지수를 조사한 결과, DSCB와 CF+SCB처리구는 NF보다 각각 2~3%와 14~19% 증가하였고, CF와는 비슷하였다. 잔디밀도 조사결과 DSCB처리구는 CF와 비슷하였고, CF+SCB는 CF보다 약 19% 증가하였다. CF와 비교할 때, 잔디생육량은 DSCB와 SCB처리구에서 증가하였고, 잔디에 함유된 양분은 CF+SCB에서는 질소가, 80DSCB에서는 인이 높게 조사되었다. 이들 결과를 볼때 DSCB와 SCB의 처리는 크리핑벤트그래스에서 양분흡수와 잔디밀도가 증가하여 잔디 품질을 향상시키는 가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소나무와 다릅나무의 종자 발아와 유묘의 생리적 활성에 대한 SCB 액비 효과 (Side-Effects of SCB Liquid Fertilizer on Seed Germination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Pinus densiflora and Maackia amurensis Seedling)

  • 한심희;김두현;김현숙;유세걸;김판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3호
    • /
    • pp.255-262
    • /
    • 2009
  • 모래와 폐석토양에 SCB 액비를 처리한 후, 소나무와 다릅나무 종자의 발아특성 및 유묘의 생리적 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모래와 폐석토양에 파종된 두 수종의 종자는 SCB액비 처리구에서 낮은 발아율과 발아속도를 나타냈으며, 평균발아일수도 증가하였다. 특히 SCB 원액이 처리된 소나무 종자들은 전혀 발아하지 않았다. 또한 소나무와 다릅나무의 유묘 생장은 SCB 처리구에서 뚜렷하게 감소하였으며, 두 수종의 엽내 엽록소 함량은 SCB 처리구에서 감소하였다. 소나무의 MDA 함량은 SCB 액비 처리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다릅나무의 MDA 함량은 SCB 액비 처리로 증가하였다. 소나무 잎의 항산화효소 활성은 SCB 처리구에서 일부 증가한 반면, 다릅나무 잎의 효소 활성은 SCB 원액과 3배 희석액 처리구서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SCB 액비는 소나무와 다릅나무 종자의 발아를 지연시키고, 심지어 유묘의 발생 및 생장을 저해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SCB 액비 처리로 토양의 물리적 특성이 변하여 염류가 토양에 축적되면서 나타난 부작용으로 판단된다.

SCB 퇴비단 여과액비의 시용 수준이 벼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owth and Yield with SCB Leachate Application Rates in Rice)

  • 류종원;박치호;윤태한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31-642
    • /
    • 2012
  • 본 연구는 SCB 공정 여과액비 시용이 벼 생육, 수량구성요소, 수량, 쌀의 미질과 토양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SCB 여과액비 시용구는 농가관행 질소시용량인 13kg N/10a를 기준으로 하여 80%, 100%, 130%에 해당되는 여과액비 화학비료 시용구를 대조구로 두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분얼수에서 생육초기 SCB 여과액비 80, 100% 시용구는 화학비료와 대등하였다. 여과액비 130% 시용구는 화학비료 시용구 보다 분얼수가 많고 초장이 큰 과번무 상태를 나타내었다. SCB 여과액비 130% 시용구는 등숙률과 천립중이 화학비료 시용구 대비 각각 8%, 11% 낮아졌다. 벼의 정조수량은 SCB 여과액비 80%, 100% 시용구는 대조구인 화학비료 시용구 대비 12~13% 증수되었다. SCB 여과액비 130% 시용구의 정조수량은 과다시용에 의한 등숙률과 천립중이 저하되어 화학비료시용구 대비 7% 감수되었다. 현미의 품질지수는 SCB 여과액비 80%, 100% 시용구에서 화학비료 시용구 보다 높았다. 그러나 SCB 여과액비 130% 시용구의 쌀 품질지수는 낮았다. SCB 여과액비 80~100% 범위의 적량시용은 벼 수량증수와 쌀 품질 향상이 가능하나 130%의 과다시용은 과번무로 등숙률과 천립중이 낮아져 수량감수를 초래하여 미질저하의 원인이 되므로 SCB 여과액비 시용시 질소시용량의 11~13kg N/10a에 해당하는 여과액비의 시용량이 적정할 것으로 판단된다.

SCB-M의 돈분 처리 성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Treatment Performance of SCB-M with Swine Manure)

  • 박종태;김상헌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7권6호
    • /
    • pp.365-372
    • /
    • 2012
  • Purpose: Performance of slurry composting and biofiltration with methane production (SCB-M) using swine manure and sawdust was evaluated. The suitable specific liquid input (SLI) was determined at lab-scale SCB. Method: In lab-scale SCB, the SLI test was performed at liquid input rate of 0.04, 0.09, $0.17cc/cm^3$ with constant sawdust volume. In pilot-scale SCB-M, the swine manure was fed to methane digester at organic loading rate (OLR) of 0.25-0.5 g VS/L/d. The effluent from methane digester was filtered using SCB. Results: The SLI at $0.04cc/cm^3$ showed good performance in terms of retention time. In pilot-scale SCB, the removal of $NH_3$-N and total nitrogen (T-N) was found to be around 59% and 28%, respectively. Similarly, volatile fatty acid (VFA) and total chemical oxygen demand (TCOD) removal was found be 56% and 43%, respectively. Conclusions: For SCB-M process, the SLI of $0.04cc/cm^3$ is recommended. The performance of swine manure treatment was improved more by using SCB-M system than using methane digester only.

돈분 액비 시용이 배나무 잎의 무기성분 함량, 과실특성과 토양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ig Slurry Application on the Mineral Content of Leaf, Fruit Quality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in Pear Orchard)

  • 박진면;임태준;이성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09-214
    • /
    • 2012
  • 과수원에서 화학비료 대체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5년 동안 SCB 액비 사용했을 때 배나무 잎의 무기성분 함량, 과실 특성 및 수량, 토양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SCB 액비와 화학비료 시용에 따른 배나무 잎의 무기 성분함량은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다. 과실 특성 중 과중, 산도와 수량은 처리 간에 유의성이 없으나 질소 기준으로 SCB 액비를 처리했을 때 과중이 큰 경향을 보였고 당도는 액비 처리구가 화학비료 처리구보다 높았다. SCB 액비 시용에 따른 토양 화학성 변화는 화학비료 처리에 비하여 pH가 높았으나 유기물, 유효인산, 치환성 양이온은 화학비료 처리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 결과를 종합하면 SCB 액비는 토양 분석에 의한 질소 기준량을 시용하여도 배나무 및 토양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이 화학비료와 대등하여 화학비료 대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방울 토마토 재배 시 퇴비단 여과 액비의 이용가능성 (Availability of Slurry Composting and Biofiltration for Cultivation of Cherry Tomato)

  • 김은영;박봉주;오명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85-391
    • /
    • 2013
  • 본 실험은 SCB(slurry composting and biofiltration) 액비의 방울 토마토(Solanum lycopersicum L. 'Unicon') 수경재배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 되었다. 배양액처리 대조구로는 방울 토마토 전용 배양액(Control 1N)을 사용하였고, 이 배양액의 질소량($218.32mg{\cdot}L^{-1}$)을 기준으로 시판양액 1N(CNS 1N), SCB 1/2N, SCB 1N, SCB 2N을 타이머 제어에 의해 하루에 440~520mL을 공급하였다. 31일 동안 재배한 후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 엽면적, 초장, 줄기직경, SPAD값, 마디수를 조사하였으며, 그 후 주 1회 총 7번의 과실을 수확하여 총 생산량과 상품성 과실 비율, 과실중, 당도와 산도, 과실의 총 페놀 농도 및 항산화도, 배꼽썩음병 발생률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SCB처리 중에는 SCB 1/2N은 지상부 생체중 건물중, 엽면적, 줄기직경, 마디수 및 SPAD값에서 Control 1N 및 CNS 1N과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으면서 우수한 생육을 유도하였다. SCB는 질소 농도가 증가하면서 점차로 생육의 저해현상을 보였다. 과실의 총 생산량은 Control 1N에서 가장 높았으며, SCB 처리중 생장이 가장 좋았던 SCB 1/2N 처리구는 Control 1N 총 생산량의 47%를 기록하였다. 상품성 과실 비율도 SCB 1N과 SCB 1/2N 처리구는 약 57~58%로 낮게 나타났다. 당도와 산도, 총 페놀 농도와 항산화도에서는 SCB 2N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나머지 처리구와 대조구에서는 유의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배꼽썩음병은 Control 1N, CNS 1N에서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SCB 2N, 1N, 1/2N 처리구는 각각 약 7, 13, 19%의 발생률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SCB 1/2N 처리는 Control 1N와 CNS 1N과 비교해서 방울 토마토의 영양생장에는 양호한 결과를 보였지만, 과실의 수량과 품질을 유지하지는 못했다. 따라서 SCB 액비는 방울토마토 시설 수경 재배에서 배양액으로의 가능성은 확인하였지만, 과실의 생산량과 상품성을 고려한다면 개화기 및 과실 비대기에 추가적인 무기 양분의 공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성분이 추가된 SCB저농도액비가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Developed SCB Liquid Fertilizer on the Growth of Kentucky Bluegrass)

  • 함선규;김영선;임혜정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3-78
    • /
    • 2011
  • 본 연구는 SCB 저농도액비에 질소, 인산, 칼륨 성분을 첨가한 개량SCB액비(DSCB)의 시비에 따른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처리구는 비료의 종류와 시비량에 따라 무처리구(NF), 화학비료를 시비한 대조구(CF), 유안으로 질소성분을 보정한 DSCB를 80% 시비한 처리구 1(DSCB-A1), 유안으로 질소성분을 보정한 DSCB를 100% 시비한 처리구 2(DSCB-A2), 요소로 질소성분을 보정한 DSCB처리구(DSCB-U) 그리고 대조구에 SCB를 시비한 처리구(CF+SCB)로 설정하였고, 각 처리구는 난괴법,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엽색지수, 엽록소지수, 건물중 및 잔디의 양분함유량을 조사하였다. 시험 전후 토양분석결과, 처리구에 따른 토양화학성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아 DSCB와 SCB의 시비가 골프코스의 토양화학성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엽색지수와 엽록소지수를 조사한 결과, NF보다 각각 1~2%와 19~24% 증가하였고, CF와는 비슷하였다. CF와 비교할 때, 잔디생육량은 CF와 비교할 때, DSCB-A1와 DSCB-A2는 CF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DSCB-U와 CF+SCB는 각각 36%와 10% 증가하여 DSCB-U와 SCB처리에 의해 잔디생육량이 증가하였다. 잔디품질과 잔디생육이 가장 우수한 처리구는 DSCB-U였고, 시비효율이 가장 우수한 처리구는 DSCB-A1이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켄터키블루그래스에서 DSCB의 시비는 화학비료와 비슷하거나 양질의 잔디품질을 보여 골프코스관리에서 DSCB가 화학비료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SCB액비처리에 따른 밤나무 생장 및 결실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Fruiting in Chestnut Trees by SCB (Slurry Composting and Biofiltration) Liquid Fertilizer)

  • 권용희;이욱;황석인;백을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6호
    • /
    • pp.676-680
    • /
    • 2009
  • 저농도 SCB(Slurry Composting Biofiltration)액비 시비가 생장 및 결실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접목 7년생 '축파(Tsukuba)' 품종을 대상으로 SCB액비, 화학비료, 유기질비료, 무처리구 등 4처리를 관행 시비량에 준한 시비 처리로 2008년부터 2009년까지 2년간 생장 및 결실특성을 각각 조사하였다. 수고 및 근부직경의 생장은 전년도에 비해 화학비료와 SCB액비 처리구에서 각각 8.18%와 26.93%, 8.04%와 25.90%의 증가량을 보였으며, 착구부 직경에 대한 기부직경의 비는 화학비료 처리구를 제외하고 전년도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되었다. SCB액비 처리구에서 착과율이 86.25%로 높게 나타남에 따라 SCB액비가 생장과 수세에 기여하는 양료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새로운 비종으로서 대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액과 SCB액비 처리에 미량요소 첨가가 방울토마토의 미네랄 함량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Mixed Treatment of Electrolyzed Micronutrients with Nutrient Solution and SCB Slurry on Mineral Content and Growth of Cherry Tomatoes (Lycopersicon esculentum))

  • 류종원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85-397
    • /
    • 2012
  • 식물미네랄(phyto-minerals) 함량을 높인 미네랄강화 농작물(biofortification foods)을 개발하기 위하여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10종(Co, Fe, Mg, Mn, Sr, Zn, Li, Sn, V, Ti, Se, S)의 미량요소를 함유하는 복합미네랄액을 조제하였다. 양액과 SCB 액비에 복합미량요소액을 방울토마토 처리한 결과 양액+복합미량요소액 처리구는 Li, Zn, Sr, Se, Ti이 증가되었고, SCB+복합미량요소액 처리구는 Li, Zn, Se, Co, Sr, Ti 함량이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 양액+SCB+복합미량요소액 처리구는 SCB액비, NS액비 처리구보다 Li, Zn, Se, Co, Ti 함량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토마토의 생육과 수량은 양액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복합 미량요소액 처리로 감소하였다. 토마토의 수량은 표준양액처리구와 비교할때 NS+복합미량요소액 처리구와 SCB+양액+복합 미량요소액 혼합시용구는 각각 97%와 94%의 토마토 과실 수량를 나타내었으나 미량요소 강화효과가 있었으므로 혼합용액을 조제하면 토마토 재배용 양액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골프코스에서 SCB저농도액비 살포에 따른 토양화학성과 연못수질의 모니터링 (Monitoring of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Pond Water Quality in Golf Courses after Application of SCB Liquid Fertilizer)

  • 김영선;함선규;임혜정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4-53
    • /
    • 2012
  • 친환경적인 코스관리를 위해 가축분뇨액비를 활용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시비 후 토양 및 주변수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는 미흡하다. 가축분뇨액비(SCB)와 화학비료(CF)를 살포한 후 토양과 수질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골프코스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SCB 액비의 시비는 화학비료 시비 때보다 골프코스의 토양오염은 나타나지 않았고, 유기물함량, 양이온치환용량 및 치환성 칼슘이 감소하였다(P<0.01). 주변 연못물의 모니터링에서 수질의 오염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SCB가 시비된 주변연못의 pH와 질소함량이 감소하였다(P<0.01). 토양과 수질의 특성 조사에서 SCB의 시비는 토양 중 유기물과 양이온치환용량을 감소시키고, 수질의 SAR를 증가시킨다(P<0.01). SCB와 CF의 질소시비는 토양의 질소함량 변화와 상관성이 높으나(P<0.01), 수질에 미치는 영향은 적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할 때, 골프코스에서 SCB의 시비는 토양과 수질의 오염은 나타나지 않으며, 토양의 유기물과 연못물의 pH가 감소되어 토양의 대취량과 연못물의 조류의 감소효과가 기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