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R (Specific Absorption Rate)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32초

Characteristics of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in Electromagnetic (EM) Dosimetry

  • Hwang, Sun-Tae;Choi, Kil-Oung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109-114
    • /
    • 2000
  • The SI unit of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in W/kg in the electromagnetic (EM) field as non-ionizing radiation is exactly same as the SI unit of absorbed dose rate in Gy/s in the ionizing radiation field. The SI unit of both physical quantities can be expressed in $[m^{\cdot}s^{-3}]$. Where, the unit of absorbed dose, Gy stands for Gray. In EM biological interactions, the SAR equations are deriv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EM field energy absorption in terms of the SAR are discussed and described on the mathematical basis.

  • PDF

휴대폰의 폴딩 각도와 휴대폰 케이스의 EMI 방지 도료 분포패턴에 따른 SAR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R Variation by Folding Angle and EMI Paint Distribution of Case for Mobile Handsets)

  • 이규호;김창일;양운근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21-430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휴대폰 개발 초기단계에서부터 SAR(Specific Absorption Rate)를 고려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휴대폰의 폴딩 각도를 150$^{\circ}$에서 142$^{\circ}$까지 변화시키면서 SAR값을 계산하였다. 계산결과 폴더 각도가 작아질수록 SAR값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고, 142$^{\circ}$일 때 측정결과와 약 3.95 %의 오차가 있었다.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방지 도료의 분포패턴을 변화시켜가면서 SAR값을 측정한 결과, 분포패턴이 다를 경우 SAR값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안테나 급전점 근처의 EMI 방지 도료를 제거할 경우 SAR 감소효율이 15.46 % 이었으며, 도료를 지그재그 패턴으로 분포시킬 경우 SAR 감소효율이 가장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전자파 비흡수율(SAR) 측정용 전기장 프로브의 검파 전압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Detection Voltages of an E-field Sensing Probe in SAR Measurement System)

  • 김윤명;이승배;김기회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17-221
    • /
    • 2005
  • 이동통신 기기로부터 복사되는 전자파가 인체에 흡수되는 에너지의 양은 모의 인체 내에서 전자파 비흡수율 [SAR(Specific Absorption Rate)]로 평가된다. RF 센싱 프로브의 Schottky 다이오드에 검출된 DC 전압은 높은 레벨에서 자승법칙(Square Law) 영역을 벗어나 선형성을 나타낸다. Square Law Region을 벗어난 직선 영역의 검파는 적절한 DCP(Diode Compression Point) 값으로 검 파된 전압을 보상하여야 한다. 적절한 보상에 의한 한 점에서의 SAR 값은 200 W/kg까지 측정할 수 있다.

자기공명영상장치에서 전자파흡수율 분석 (Analysis of Specific Absorption Rate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 한재복;홍성훈;최남길;성호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308-313
    • /
    • 2013
  • 본 연구는 자기공명영상장치의 특성변수인 숙임각(flip angle), 반복시간(repetition time, TR), 에코시간(echo time, TE)을 사용하여 전자파흡수율(specific absorption rate, SAR)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체중 10 kg부터 90 kg까지를 대상으로 하여 동일한 검사기법을 적용하였고, 매개변수의 변화에 따른 평균 SAR 및 peak SAR 값을 측정하였다. 체중에 따른 SAR는 TE에서 변화는 없지만 숙임각이 커지고 TR이 짧을수록 증가하였다. SAR 값은 두부 허용 기준치 범위에 포함이 되었고 분절별 체중에 따른 영상의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는 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SNR은 증가하지는 않았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적절한 특성변수를 사용하여 다양한 대조도와 SNR을 얻어 진단의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전자파 흡수율(SAR) 시뮬레이션 기법과 5G 주파수 대역에서의 인공 치아가 삽입된 인체 머리 모델의 전자파 흡수율 시뮬레이션 결과 (Simulation Methods of Electromagnetic Wave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and the Simulation Results of Human Head Model with Dental Implants in 5G Frequency Band)

  • 김창균;이성수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854-857
    • /
    • 2018
  • 다양한 무선기기가 일상화됨에 따라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전자파 흡수율(SAR: specific absorption rate)인데, 이는 단순히 인체 조직만 대상으로 하고 있어 인공 치아 등의 금속 인공물이 삽입된 경우에는 전자파가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가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SAR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방법을 소개하고 실제로 SAR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30 GHz 5세대 이동통신(5G) 주파수 대역에서 인공 치아가 삽입된 인체 머리 모델의 SAR은 최고치 $2.50{\times}10^{-3}W/kg$, 평균치 $8.58{\times}10^{-7}W/kg$으로 국내 허용 기준치 1.6 W/kg에 절대적으로 못 미침을 알 수 있다.

Specific Absorption Rate Values of Handsets in Cheek Position at 835 MHz as a Function of Scaled Specific Anthropomorphic Mannequin Models

  • Lee, Ae-Kyoung;Choi, Hyung-Do;Choi, Jae-Ick;Pack, Jeong-Ki
    • ETRI Journal
    • /
    • 제27권2호
    • /
    • pp.227-230
    • /
    • 2005
  • A specific anthropomorphic mannequin (SAM) model was u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local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and head size. The model was scaled to 80 to 100% sized models at intervals of 5%. We assumed that the shell of the SAM model has the same properties as the head-equivalent tissue. Five handsets with a monopole antenna operating at 835 MHz were placed in the approximate cheek position against the scaled SAM models. The handsets had different antenna lengths, antenna positions, body sizes, and external materials. SAR distributions in the scaled SAM models were computed using the finite-difference time-domain method. We found that a larger head causes a distinct increase in the spatial peak 1-voxel SAR, while head size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the peak 1-g averaged-SAR and 10-g averaged-SAR values for the same power level delivered to the antenna.

  • PDF

휴대 단말기의 SAR 저감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R Reduction Method for Mobile Handsets)

  • 황재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833-838
    • /
    • 2005
  • 본 논문은 무선통신용 휴대 단말기를 설계하는데 있어 인체 전자파 흡수율(SAR)을 저감시키는-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로부터 방사되는 전자파에너지는 안테나 뿐 아니라 휴대 단말기 기구의 특정부분에 밀집되는데 이와 같은 표면 전계강도는 인체 두부에 영향을 미쳐 SAR값의 증가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이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는 표면전계가 밀집되지 않도록 기구를 설계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대한 설계 방안을 제시한다. 인체를 포함한 단말기의 해석은 유한요소법(FEM)을 사용하였으며, 본 저감법를 적용한 경우 SAR첨두치의 약 $50\;\%$를 저감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RF 전자기장 생체 영향 실험에서 통계적 방법을 통한 전자기장 노출 불확실성 분석 (The analysis of RF dosimetric uncertainties by using statistical method at in-vivo and in-vitro experiments)

  • 최성호;김남
    • 한국전자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파학회 2003년도 종합학술발표회 논문집 Vol.13 No.1
    • /
    • pp.74-78
    • /
    • 2003
  • This paper shows the dosimetric uncertainties of electromagnetic field at in-vivo and in-vitro experiments. For more accurate consequences of these researches, we have tried to find out any correlations among output power, power density and specific absorption rate(SAR) with the results of in-vivo, in-vitro tests and SAR reports of cellular phone and PDA. In the case of in-vivo tests, the power density has close statistical correlations with SAR value and in the event of in-vitro tests, the output power has considerable statistical correlations with SAR containing duty factor. On the other hand, we found that both power density and output power don't have any close correlations with SAR. And, we obtained fitted regression form among frequency, power density and SAR containing duty factor through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 PDF

루프 형태의 접지판을 이용한 휴대폰의 SAR 감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R Attenuation by Using Loop-type Ground for Mobile Handsets)

  • 이원규;손지명;한준희;양운근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821-828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시험용 휴대폰의 내부에 위치한 루프 형태 접지판의 위치와 크기 변화에 따른 SAR(Specific Absorption Rate) 값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휴대폰의 rear case 안에 있는 루프 형태 접지판에 따른 SAR 값에 대한 전산 모의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루프 형태 접지판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SAR 값이 달라짐을 보였다. 검토된 루프 형태 접지판의 위치와 크기들 중 small size case-C의 경우가 8.70 %의 감소 효율을 보여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다. 그리고 이 경우에 루프 형태 접지판에 가장 높은 유도 전계 분포를 보였다. 전산 모의 실험시 폴딩 각도는 $160^{\circ}$로 하였다.

EBG 구조를 사용한 전자파 인체 흡수 차단 휴대폰 케이스 (Phone Case using the EBG Structure for Reducing SAR)

  • 오도영;유형석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4권1호
    • /
    • pp.78-81
    • /
    • 2015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erformance of phone case with different permittivities like plastic, urethane and silicone. Then, we put an electromagnetic band gap (EBG) structure in phone case to reduce the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In order to design the phone case, a loop antenna for PCS 1900 band was used. The phone case consists of a hairpin-like EBG structure that is more compact than other EBG structures. The SEMCAD X fdtd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is proposed phone case can reduce SAR by 13 - 30% at similar power that is radiated by the antenna. This phone case can be used in future to reduce the SAR from mobile pho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