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R(Synthetic Aperture Radar)

검색결과 504건 처리시간 0.031초

SAR(Synthetic Aperture Radar) 위성 개발현황 및 향후 HRWS(High Resolution Wide Swath) SAR 위성 개발전략 (Current Trends of the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Satellite Development and Future Strategy for the High Resolution Wide Swath (HRWS) SAR Satellite Development)

  • 고웅대;서인호;이주영;정현재
    • 우주기술과 응용
    • /
    • 제1권3호
    • /
    • pp.337-355
    • /
    • 2021
  • 본 논문은 SAR 위성 기술의 현황을 조사하여 향후 우리나라 HRWS SAR (High Resolution Wide Swath Synthetic Aperture Radar) 위성을 개발하기 위한 전략을 제안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현황조사를 통해, 최신 SAR 기술 동향은 SAR 위성 영상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DBF(Digital Beam-Forming), SCORE(SCan-On-REceive), DPCA(Displaced Phase Center Antenna), 간섭계, 그리고 편파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최신 SAR 기술 동향 및 해외 HRWS SAR 개발 사례를 기반으로, 수년 내로 발사가 예정된 KOMPSAT-6(KOrea Multi-Purpose SATellite-6)를 사용하여 DPCA 및 SCORE 기술을 개발하고, 결국에는 전지구를 일주일 간격으로 관측할 수 있는 HRWS SAR 위성을 개발하는 것을 향후 우리나라 HRWS SAR 위성 개발을 위한 전략으로 제안하였다.

SAR(Synthetic Aperture Radar) 영상 분석도구 개발기술 동향 (Technology Trend in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Imagery Analysis Tools)

  • 이강진;전성경;성석용;강기묵
    • 우주기술과 응용
    • /
    • 제1권2호
    • /
    • pp.268-281
    • /
    • 2021
  • 합성 개구 레이다(SAR, synthetic aperture radar)는 주야간 및 기상 조건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지점을 관측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최근 그 수요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SAR 위성으로 관측한 원시 데이터는 위성궤도보정, 방사보정, multi-looking, geocoding과 같은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며,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물체 탐지, 변화탐지, DEM(Digital Elevation Model) 등 영상 활용을 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처리 과정이 요구된다. 이러한 전처리와 연산과정은 매우 복잡하며 많은 시간과 컴퓨팅 자원을 필요로 한다. 주로 SAR 영상을 활용하는 기관에서는 영상을 편리하고 쉽게 처리하기 위해 각 기관의 활용 목적에 맞는 분석도구를 개발하여 사용 및 외부 수요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에서 이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SAR 분석도구들의 기능 및 특성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GB-SAR의 개발 (I) : 시스템 구성과 간섭기법 (Development a GB-SAR (I) : System Configuration and Interferometry)

  • 이훈열;성낙훈;김정호;조성준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37-245
    • /
    • 2007
  • GB-SAR (Ground-Based Synthetic Aperture Radar) 시스템은 지상에서 안테나의 정밀한 일축 제어를 통해 합성 구경(synthetic aperture) 효과를 얻어 높은 해상도의 2차원적 영상을 얻는 영상레이더(imaging radar)이다. GB-SAR 시스템의 높은 유연성과 안정된 반복 측정으로 SAR 간섭기법을 통하여 산란체의 시간에 따른 변위를 mm 정밀도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GB-SAR 시스템의 개발을 소개하고 여러 가지 영상 획득 모드를 통하여 얻어진 다편파 SAR 영상을 비롯하여 DInSAR, Cross-Track InSAR, Delta-f InSAR, PSInSAR 등 GB-SAR 시스템을 이용한 다양한 간섭기법의 응용 가능성을 보였다.

외국 SAR 위성의 기술개발 동향 (Technical Development Trend of International Synthetic Aperture Radar Satellite)

  • 정호령;임효숙
    •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 /
    • 제7권2호
    • /
    • pp.25-3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외국의 유명 논문 및 학회에서 발표된 최신 합성개구레이더(SAR) 기술개발 동향을 조사 및 정리하였다. SAR의 목적은 Real Aperture Antenna(RAR)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이며, 1950년대 처음으로 소개되었다. 이로부터 많은 연구자들 및 기술자들로부터 다양한 신 SAR 운용개념 및 기법들이 제안되었고 실제 구현화 하는데 성공하였다. 최근의 학회에서 소개된 미래지향 SAR 시스템 관련 개념들이 소개 및 정리되어 있다.

  • PDF

Web-based synthetic-aperture radar data management system and land cover classification

  • Dalwon Jang;Jaewon Lee;Jong-Seol Lee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7권7호
    • /
    • pp.1858-1872
    • /
    • 2023
  • With the advance of radar technologies, the availability of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images increases. To improve application of SAR images, a management system for SAR images is proposed in this paper. The system provides trainable land cover classification module and display of SAR images on the map. Users of the system can create their own classifier with their data, and obtain the classified results of newly captured SAR images by applying the classifier to the images. The classifier is based 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structure. Since there are differences among SAR images depending on capturing method and devices, a fixed classifier cannot cover all types of SAR land cover classification problems. Thus, it is adopted to create each user's classifier. In our experiments, it is shown that the module works well with two different SAR datasets. With this system, SAR data and land cover classification results are managed and easily displayed.

SAR를 이용한 다층 유전체의 비파괴 검사 (Nondestructive Inspecting for Multilayer Dielectric Material using Synthetic Aperture Radar)

  • 김성덕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424-427
    • /
    • 2016
  • 이 논문에서는 FRP(Fiber Reinforced Polymer)의 내부 결함이나 물리적 손상을 검출하기 위하여 SAR(Synthetic Aperture Radar)를 이용한 마이크로파 비파괴 검사법(Microwave Nondestructive Inspecting)을 제안한다. 전파가 다층 유전체인 FRP에 수직으로 입사되면 계면이나 횡축 균열과 같은 결함에 좋은 반응을 나타낸다. 이때 반사파로부터 계면 깊이나 결함 위치를 SAR 이미지 기법으로 결함을 형상화할 수 있다. 그 결과, SAR 시스템으로 FRP 복합 소재 내부 결함들의 종류, 크기나 위치를 효율적으로 진단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모노스태틱 등가 모델을 활용한 바이스태틱 SAR 영상 형성에 관한 연구 (Bistatic Synthetic Aperture Radar Imaging Using a Monostatic Equivalent Model)

  • 유보현;강병수;이명준;김경태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9권9호
    • /
    • pp.693-700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송신 레이다와 수신 레이다가 분리된 바이스태틱(bistatic) 환경에서 합성 개구면 레이다(synthetic aperture radar: SAR) 영상을 형성하는 기법에 관하여 서술한다. 바이스태틱 SAR는 모노스태틱(monostatic) SAR에 비해 다양한 SAR 영상 획득 시나리오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모노스태틱 SAR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국내에서 바이스태틱 SAR 영상 형성과 관련된 연구가 매우 미진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바이스태틱 기하구조에서의 레이다 수신 신호를 모델링하고, 이를 모노스태틱 등가 모델(equivalent model)을 활용하여 바이스태틱 SAR 영상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하여 서술한다. 본 논문에서는 바이스태틱 기하구조에서의 모의시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서술된 바이스태틱 SAR 영상 형성 기법의 효용성을 검증한다.

Spotlight-mode SAR(Synthetic Aperture Radar)에서의 Inversion 기법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the Inversion Schemes in the Spotlight-mode SAR(Synthetic Aperture Radar))

  • 최정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0권1호
    • /
    • pp.130-138
    • /
    • 2003
  • Stripmap-mode 합성개구레이더의 고전적인 영상 복원기술은 Range-Doppler 알고리즘이다. 하지만 고해상도 Spotlight-mode 합성개구레이더 시스템에서는 Range-Doppler 알고리즘을 적용했을 때 성능이 상당히 나빠지므로 Spotlight-mode에 맞는 별도의 Inversion 알고리즘이 연구되어왔다. 본 논문에서는 Spotlight-mode 합성개구레이더에서 Raw-data를 처리하기 위한 알고리즘 연구를 통해 기존의 평면파 근사 방법을 이용하고 있는 Polar format 알고리즘과 근사 방법을 사용하지 않는 Wavefront Reconstruction 기법에 대한 성능분석을 시도하였다. 이 때 Source 신호의 Carrier 주파수, 합성 개구면 Size, 그리고 표적물의 위치에 따라 두 Inversion기법의 결과 영상을 비교함으로써 Wavefront Reconstruction 기법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Spotlight-mode 합성 개구 레이더 시스템을 시뮬레이션하여 Raw-data를 생성시키고 각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역변환을 통해 영상화된 표적물의 형태로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Spotlight-mode SAR(Synthetic Aperture Radar)에서의 Raw-data Processing 기법 분석 (Raw-data Processing Schemes in the Spotlight-mode SAR(Synthetic Aperture Radar))

  • 박현복;최정희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1)
    • /
    • pp.501-504
    • /
    • 2000
  • The classical image reconstruction for stripmap SAR is the range-Doppler imaging. However, when the spotlight SAR system was envisioned, range-Bowler imaging fumed out to fail rapidly in this SAR imaging modality. What is referred to as polar format processing, which is based on the plane wave approximation, was introduced for imaging from spotlight SAR data. This paper has been studied for the raw data processing schemes in the spotlight-mode synthetic aperture radar. we apply the wavefront reconstruction scheme that does not utilize the approximation in spotlight-mode SAR imaging modelity, and compare the performance of target imaging with the polar format inversion scheme.

  • PDF

InSAR Studies of Alaska Volcanoes

  • Lu Zhong;Wicks Chuck;Dzurisin Dan;Power Joh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9-72
    • /
    • 2005
  • Interferometric synthetic aperture radar (InSAR) is a remote sensing technique capable of measuring ground surface deformation with sub-centimeter precision and spatial resolution in tens-of­meters over a large region. This paper describes basics of InSAR and highlights our studies of Alaskan volcanoes with InSAR images acquired from European ERS-l and ERS-2, Canadian Radarsat-l, and Japanese JERS-l satell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