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varum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17초

Lactobacillus acidophilus와 Saccharomyces uvarum의 혼합배양에 의한 두유의 발효 중 당이용에 미치는 작용 (Interaction between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Saccharomyces uvarum on Utilization of Galacto-oligosaccharides in Soymilk)

  • 유주현;진효상;류인덕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33-538
    • /
    • 1989
  • S. uvarum KFCC 32021의 발효여액은 10% 농도에서 L. acidophilus KFCC 12731의 산생성 및 생육을 촉진하였으나 촉진작용은 10$0^{\circ}C$에서 10분간의 열처리에 의해 실활되었다. 또한 이 여액은 두유의 sucrose, raffinose 및 stachyose 등의 과당류를 분해하여 단당류의 함량을 증가시켰다. L. acidophilus KFCC 12731의 24시간 단독배양에서 두유의 단당류는 전량 소비되었으나 과당류는 거의 선량 잔존하였다. S. uvarum KFCC 32021의 단독배양에서는 단당류, sucrose 및 vaffinose는 완전 소비되었고, stachyose는 일부 잔존되고 manninotriose가 축적되었다. 혼합발효에서의 당소비유형은 S. uvarum의 단독배양에서와 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혼합배양에서 S. uvarum KFCC 32021은 두유의 과당류를 L. acidophilus KFCC 12731이 이용할 수 있는 단당류로 분해시켜 줌으로써 발효액의 산생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 PDF

Saccharomyces uvarum과 Zymomonas mobilis간의 경쟁적 상호작용 (Possible Competition between S. uvarum and Z. mobilis)

  • 이재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94-396
    • /
    • 1982
  • 발효로부터 생성되는 에타놀에 의해서 균체성장속도가 제한되는 연속식 배양 시스템에서, 에타놀 생성균주인 Saccharomyces uvarum과 Zymomonas mobilisrks의 경쟁적 상호 작용을 연구한 결과 Zymomonas mobilis가 Saccharomyces uvarum에 비하여 에타놀에 대한 내성(耐性)이 크기 때문에 Zymomonas mobilis 만이 생존할 수 있다.

  • PDF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bulgaricus와 Saccharomyces uvarum의 혼합배양에 의한 두유의 젖산발효 (Lactic Fermentation of Soymilk by Mixed Culture of Lactobacillus bulgaricus and Saccharomyces uvarum)

  • 유주현;진효상;백영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13-418
    • /
    • 1991
  • L.bulgaricus KFCC 35462와 S.uvarum KFCC 32021을 두유에 혼합하였을 때 L.bulgaricus의 생육은 크게 촉진되었으나 젖산발효는 거의 촉진되지 않았고, S.uvarum의 생육과 알코올 발효는 억제되지 않았다. 젖산균과 효모의 혼합배양에 의한 두유음료의 산도증가 등의 발효적성의 향상에는 젖산균에 의한 효모의 억제작용 등의 배합균주 상호간의 특이적 작용이 중요하였다.

  • PDF

Lactobacillus acidophilus와 Saccharomyces uvarum의 혼합배양에 의한 대두유의 당 변화 (Changes of Oligosaccharide in Soymilk with Mixed Cultures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Saccharomyces uvarum)

  • 공인수;공재열;유주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586-591
    • /
    • 1992
  • 대두유의 oligosaccharide를 분해할 수 있는 S. uvarum을 이용하여 L. acidophilus와 혼합배양을 행하여 당대사의 상호작용을 검토한 결과 대두유에 glucose, fructose, galactose 등의 단당류를 첨가하여 L. acidophilus 단독배양만으로도 높은 산생성을 보여주었으며 혼합배양의 경우도 단당류를 잘 이용하였다. Sucrose가 첨가된 배지에서의 L. acidophilus의 단독배양에서는 산생성이 낮았으나 혼합배양을 했을 때는 다른 단당류만큼 증가되었다. 배양시간에 다른 soywhey의 당변화를 검토한 결과 L. acidophilus 배양에서는 당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S. uvarum은 sucrose, stachyose, raffinose와 같은 oligosaccharide를 분해하고 있어 혼합배양중 oligosaccharide로부터 분해된 단당류를 L. acidophilus가 젖산 발효에 이용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논문철회] Saccharomyces cerevisiae 와 Hanseniaspora uvarum 효모 혼합발효를 이용한 증류식 소주의 휘발성 향기성분 및 아미노산 함량 변화 ([RETRACTED] Changes in the volatile aromatic compounds and amino acid contents of distilled soju using co-fermentation by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Hanseniaspora uvarum yeasts)

  • 최규택;박춘우;이수현;이예나;오지윤;최준수;최덕영;이새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29-1042
    • /
    • 2023
  • 본 연구는 기존에 과실주 발효 시, non-Saccharomyces 효모를 혼합 발효하여 향기성분을 증가시키는 기술을 확대하여 단독 및 혼합 발효로 제조한 탁주 술덧의 향기성분을 증가시킨 후 증류 과정을 통해 주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론을 검증하고자 한 연구이다. 연구를 진행하기 전, 예상한 것처럼, 혼합 발효 증류식 소주에서 과실향을 나타내는 저분자 ester 계열의 휘발성 향기성분들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이 입증되었으며, H. uvarum 계열의 효모를 사용한 경우, HU SJ69 혼합 발효구는 S. cerevisiae 단독 발효구와 비슷한 아미노산 함량을 나타냈으나, HU S6 혼합 발효구의 경우, 아미노산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휘발성 향기성분이 증가한 HU S6 혼합 발효구에서 SC NY21을 사용한 다른 증류식 소주들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조금 더 높은 향미 점수를 얻은 것을 통해, 향후 non-Saccharomyces 효모의 혼합 발효를 통한 증류식 소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연구로써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판단된다. 또한, H. uvarum 계열 효모의 경우에는 국내에서는 식품 원료로 등재되지 않았기 때문에, 향후 산업적 이용을 위한 안전성 검증 등의 연구가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두유에서 Sacchasomyces uvarum 과 Lactobacillus acidophilus의 혼합배양 (Lactic Acid Fermentation of Soymilk by Mixed Cultures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Saccharomyces uvarum)

  • 공인수;이정수;정용준;류인덕;오두환;유주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55-360
    • /
    • 1987
  • Sacchasomyces uvarum과 Lactobacillus acidophilus를 두유에서 단독 및 혼합배양하였을때 산생성에 미치는 조건은 검토하였다. 접종비율에 의한 산생성은 L. acidophilus와 S. uvarum의 접종비가 2 : 1일때 가장 높은 산도를 보였으며 배양시간은 16시간부터 높은 산도를 유지하였다. 배양온도는 $37^{\circ}C$가 가장 좋았으며 두유에 sucrose를 첨가하여 단독배양하면 산생성의 증가는 없었으나 혼합배양한 결과 산도가 증가하였다. Sucrose 2%와 skim milk 3%를 첨가하여 혼합배양하면 두유만을 사용하여 혼합배양한 것에 비하여 약4배의 산생성 증가를 보였다. S. uvarum의 두유 배양여액을 열처리하지 않고 두유에 첨가하여 L. acidophilus를 단독배양하면 단독배양만으로도 높은 산생성을 보여주었으나 열처리한 배양여액이 첨가된 두유에 L. acidophilus를 단독배양하면 산생성의 증가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혼합균주를 이용한 대두유의 발효에 따른 당 및 유리아미노산의 변화 (Changes of Oligosaccharide and Free Amino Acid in Soy Yogurt Fermented with Different Mixed Culture)

  • 김철현;신용국;백승천;김수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739-745
    • /
    • 1999
  • 대두는 여러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가격이 저렴한 양질의 식물성 단백질 공급원이다. 그러나 특유의 대두취와 난소화성으로 인해 소비가 제한되고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혼합유산 균주 및 효모첨가에 따른 배양시간대별 당이용성 및 아미노산 변화를 측정하여 대두유내 당류와 아미노산들이 혼합균주에 의해 이용되는 경향과 이에 따른 산생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S. thermophilus와 Sac. uvarum로 발효된 처리구가 pH 4.45, 산도 0.86으로 산생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대두내 당 이용성을 측정한 결과 L. acidophilus와 S. thermophilus로 발효된 처리구는 대두올리고당의 이용성이 다른 처리구에 비해 낮았고, Sac. uvarum과 혼합발효된 처리구들의 당이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Sac. uvarum과 혼합배양하였을 경우 Sac. uvarum이 생산하는 효소에 의해 대두내 과당류로부터 분해된 단당류를 유산균들이 이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며, 각 혼합균주의 아미노산 이용성에 있어서도 Sac. uvarum으로 혼합발효된 처리구가 유산균만을 혼합한 처리구에 비해 지속적인 아미노산 이용효율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유산균과 효모의 서로 다른 단백질가수분해능에 의한 상호 보완작용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Dynamics of Mixed-Cultures of Gluconobacter suboxydans and Saccharomyces uvarum

  • Paik, Hyun-Dong;Oh, Doo-Wha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권1호
    • /
    • pp.66-70
    • /
    • 1997
  • A mixed-culture of Gluconobacter suboxydans IFO 3172 and Saccharomyces uvarum IFO 0751 was per-formed in a synthetic medium. the optimal inculum ratio of G. suboydans and S. uvarum for mixed-culture fermentation was 150:1. The optimum pH, incubation temperature and aeration rate for mixed-culture fer- mentation were 5.0, 3$0^{\circ}C$ and 2.25vvm, reapectively. As a result of batch pure-and mixed-culture fer-mentation, specific growth rate in pure-culture of both strain was lower than that in mixed-culture. The yield of cell mass from S. uvarum exclusively decreased. The growth rate of the mixed-culture was very similar to the pure-culture in the begining of culture, but it has been decreased after 16hrs. In the mean time, S. uvarum in mixed-culture fermentation could grow due to fructose converted, but it could not row in pure-culture fermentation. Thus, the relationship was a sort of commensalism. The kinetic parameters cal-culated through steady-state results during continuous fermentations are as follows :{TEX}$$\mu$_{max1}${/TEX}=0.118({TEX}$h^{-1}${/TEX}), {TEX}$Ks_{1}${/TEX}=0.330(g/L),:{TEX}$$\mu$_{max2}${/TEX}=0.162({TEX}$h^{-1}${/TEX}), {TEX}$Ks_{2}${/TEX}=0.038(g/L). The yield of bacterial cell mass relatively constant, but yield of yest cell mass was gradually decreased.

  • PDF

에타놀 생산을 위한 Semi-batch 발효 공정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Semi-Batch Process for Ethanol Production)

  • Lee, Jae-Heung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3-38
    • /
    • 1983
  • 에타놀을 생산하는 Flocculent 균주는 균체순환을 위한 외부적인 장치 없이도 발효조 내부 자체에서 고농도의 균체를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Flocculation 특성을 가지고 있는 Saccharomyces uvarum을 사용하여 Glucose 배지에서 회분식 및 연속식 발효특성을 고찰하였고 에타놀 발효의 수학적 모델을 만들었다. 이를 이용하여 여러 온도 및 pH에 따른 발효특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 균체성장과 에탄올 생산의 최적온도는 33~35$^{\circ}C$ 이었고 pH 에 대한 영향은 그리 크지 않았으나 pH5가 최적 조건이었다. 이러한 환경적 최적 조건하에서 Semi-batch 발효에 의한 에타놀 최고 생산성은 12g/$\ell$/h이었다.

  • PDF

Sccharomyces uvarum의 protoplast 형성 및 intact cell과 protoplast의 phosphatase 활성도 비교 (Ptotoplast Formation and Comparison of Phosphatase Activity between Intact Cell and Protoplast in Sccharomyces uvarum.)

  • 이기성;김영호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55-63
    • /
    • 1999
  • 효모세포의 원형질체 최적형성을 위한 stabilizer의 종류 및 농도, pH 그리고 lysis 방법을 조사하는 한편, intact cell과 protoplast사이의 효소활성도 및 poly-P 생합성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protoplast 형성에 있어 snail gut enzyme은 5시간, drisielase는 3시간 정도의 incubation 시간이 필요했으며, stabilizer로는 0.8 M mannitol, 6 M KCl이 좋았다. Protoplast는 intact cell에 비해 ALPase 활성은 22-27%, ACPase는 4-15% 정도 감소하였으며, poly-P 형성은 protoplast에서 유의한 증가가 일어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