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 thermophilus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8초

Streptococcus salivarisu의 요소분해효소 유전자 변이에 관한 연구 (VARIATION OF UREASE GENES(ureC) FROM Streptococcus salivarius)

  • 최혜진;이진용;최호영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4권4호
    • /
    • pp.535-545
    • /
    • 1999
  • Crease of Streptococcus salivarius is believed to play a critical role in bacterial ecology and pH homeostasis in the mouth, and consequently affect the pathogenesis of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s. Expression of the urease gene is greatly enhanced by low p. f. excess of Carbohydrate, and faster growth. It was observed that urease activity of the strains of S. salivarius that exhibited no of low urease activity was not increased even in low pH condition. In this study,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urease gene of the strains is absent, defected, or greatly changed by genetic combination. In order to prove this hypothesis, chromosomes were obtained from 28 S. salivarius strains which had been isolated from normal teeth and carious lesions, subjected to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using primers encoding highly conserved sequence from ureC, and then the obtained PCR products were compa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fter PCR the strains generated either one of 0.54- and 1.3-kbp PCR products, or none. 2. All 16 strains having a higher urease activity(<50${\mu}mol/min/mg$) produced 0.54-kbp PCR products. 3. Twelve strains without urease activity and with a lower urease activity(<50${\mu}mol/min/mg$) yield either one of 0.54 and 1.3-kbp PCR products, or none. 4. The DNA sequence of the 0.54-kbp PCR product (pCAP-0.54) exhibited 95% identity to the ureC of S. salivarus 57.I; 30bp were found to be different, which led to difference of only 2 amino acids in the sequence. 5. The DNA sequence of the 1.3-kbp PCR product(pCAP-1.3) was found to be highly homologous to the aminopeptidase C gene of Streptococcus thermophilus. Overall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considerable variations of the urease genes from S. salivarus strains and the variations may affect the uncolytic activity of the bacteria directly of indirectly.

  • PDF

우슬 추출물의 Clostridium difficile에 대한 항균 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Achyranthes japonica Nakai Extracts against Clostridium difficile)

  • 정선미;최수임;박상민;허태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564-56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대장염 유발균인 C, difficile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천연항균물질을 검색하기 위하여 40여 가지 생약재 에탄올 추출물에 대하여 C. difficile에 대한 생육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우슬, 희첨, 황백은 1,000 ppm농도에서 90% 이상의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고, 우슬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AJNEA)은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의 최소저해농도(MIC)는 $625{\mu}g/mL$였다. 또한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AJNEA의 유산균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B. longum, L. helveticus와 S. thermophilus를 제외한 나머지 균주들에 대해서 생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들 결과로부터 우슬 추출물은 C. difficile 관련 질환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제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산균의 항균효과와 대식세포 활성화 (Antibacterial Activity and Macrophage Activ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 박소희;김윤아;이도경;이상진;정명준;강병용;김경제;하남주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2권4호
    • /
    • pp.287-297
    • /
    • 2007
  •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은 Escherichia coli와 Salmonella typhimurium과 같은 병원균에 항균 활성을 지니며 면역 증강효과를 나타내는 등 건강에 이로운 다양한 역할을 한다. 유산균에 의한 항균 효과는 E. coli와 S. typhiumurium에 대항하는 항균 활성으로 측정되어 졌으며, 면역 증강 효과는 유산균을 처리한 RAW264.7 대식세포의 활성화로 측정하였다.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eptococcus thermophilus, Bifidobacterium bifidum의 E. coli와 S. typhimurium에 대한 항균활성은 9시간 이상 혼합 배양하였을 때 가장 좋은 항균효과를 나타내었고 E. coli와 S. typhiumurium 두 균주가 9시간 이후에는 모두 콜로니를 형성하지 않았다. RAW264.7 세포는 유산균에 의한 NO와 $TNF-{\alpha}$의 생성과 대식세포의 형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대식세포로서 이용되었다. NO와 $TNF-{\alpha}$의 생성은 유산균을 처리한 RAW264.7세포의 24,48시간 배양 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대식세포의 형태 변화 역시 유산균에 의해 영향을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주)쎌바이텍으로부터 분양받은 유산균은 항균활성과 대식세포의 활성을 유도하여 면역을 증강시키는 효과를 지니고 있음을 in vitro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함초 추출물 첨가가 요구르트 저장 중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lander Glasswort Extract Yogurt on Quality during Storage)

  • 조영심;김순임;한영실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12-221
    • /
    • 2008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an effort to create a functional and stable yogurt product containing slander glasswort extract. The extract was added to milk at concentrations of 0.25, 0.5, and 1.0% (w/v), which was then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bulgaricus and Streptococcus thermophilus) at $42^{\circ}C$ for 6 hr. During a period of 15 days of storag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yogurt samples were evaluated in terms of acid production (pH and titratable acidity), levels of lactic acid bacteria, color values, viscos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 during the storage period; however, the control yogurt presented the highest pH value. The 1.0% slander glasswort yogurt had the highest titratable acidity; but agai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yogurts. The 1.0% slander glasswort yogurt also had the highest level of lactic acid bacteria, and both the control and slander glasswort-containing yogurts had increasing levels of lactic acid bacteria over the storage period. The 1.0% slander glasswort yogurt had the lowest L-value and highest a- and b-values. And the slander glasswort yogurts presented lower viscosity values than the control. In sensory evaluations, the 0.25% slander glasswort yogurt scored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for color, flavor, viscosity, sweetness, sourness, and overall palatability. The final sensory results indicated that the 0.25% slander glasswort yogurt was superior.

Rennin 및 Starter의 첨가(添加)가 대두(大豆)치즈의 제조(製造) 및 숙성(熟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Rennin and/or Starter Addition on the Manufacture and Ripening of Soybean Cheeses)

  • 정재홍;최우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7권2호
    • /
    • pp.190-201
    • /
    • 1980
  • 대두(大豆) 추출물(抽出物)로부터 대두(大豆)치즈를 제조(製造)하기 위한 최적(最適) 조건(條件)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대두(大豆) 단백질(蛋白質)의 추출(抽出), 응고(凝固) 및 starter의 비교(比較) 시험(試驗) 등(等)을 수행(修行)하였고, 제품(製品)의 기호성(嗜好性) 향상(向上)을 위하여 skim milk와 미생물원(微生物原) 및 송아지원(原)의 rennin을 첨가(添加)한 경우, 숙성(熟成)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하여 실험(實驗)하였다. 1. 대두추출(大豆抽出)의 최적조건(最適條件)은 고형물(固形物) 및 단백질(蛋白質) 추출율(抽出率), curd의 수율(收率) 등을 고려(考慮)하여 가수량(加水量) 9배(倍), 추출온도(抽出溫度) $100^{\circ}C$, 추출기간(抽出時間) 10분(分)이었다. 2. 두유(豆乳)의 응고(凝固)를 위하여는 응고제(凝固劑)로서 sodium gluconate가 좋았고 젖산 발효(醱酵)에 의한(依)한 방법(方法)으로 S. thermophilus의 starter 5%의 접종(接種)이 가장 좋았다. 3. 대두(大豆)치즈의 제조(製造) 및 숙성과정(熟成過程)에 미치는 skim milk 및 rennin 첨가(添加)의 영향(影響)은 (1) curd의 형성시간(形成時間)은 rennin을 첨가(添加)하였을때 단축(短縮)되었으며, skim milk와 rennin을 병용(竝用)하였을 때 현저히 단축(短縮)되었고, 공시(供試)한 두 개(個)의 rennin 중(中)에서는 미생물원(微生物原)의 rennet가 송아지원(原)의 것보다 형성(形成)이 늦었다. (2) 수분함량(水分含量)의 변화(變化)에는 큰 영향(影響)을 주지 못하였으며, 제품(製品)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은 미생물(微生物) rennet를 첨가(添加)하여 제조(製造)한 치즈에서 높았다. (3) pH의 변화(變化)는 숙성초기(熟成初期)까지 급격(急激)히 저하(低下)되었고 그 이후(以後)에는 저하경향(低下傾向)이 완만(緩慢)하였으며, 미생물(微生物) rennet 첨가(添加)치즈에서 전기간(全期間)을 통(通)하여 낮은 수준(水準)의 pH를 유지(維持)하였다. (4) 세균수(細菌數)는 제조과정중(製造過程中) $10^8cells/g$의 수준(水準)으로 증가(增加)한 다음 숙성기간(熟成期間)에 계속(繼續) 감소(減少)하였고 skim milk를 첨가(添加)하여 제조(製造)한 치즈에서 월등(越等)히 높은 수준(水準)의 세균수(細菌數)가 측정(測定)되었다. (5) 숙성기간중(熟成期間中) 총질소(總窒素)의 함량(含量)은 변화(變化)되지 않았으나 가용성(可溶性) 질소(窒素)는 계속(繼續) 증가(增加)되었으며 이에 따라서 숙성률(熟成率)을 계산(計算)하면 skim milk를 첨가(添加)하여 제조(製造)한 치즈에서 또 rennin 첨가(添加)의 것에서 숙성률(熟成率)이 높았고 미생물원(微生物原)의 rennet 첨가(添加)에서 송아지원(原)의 것보다 높은 숙성률(熟成率)을 보임으로서 skim milk와 미생물(微生物) rennet 첨가(添加) 치즈에서 가장 높은 55%의 숙성률(熟成率)을 나타내었다.

  • PDF

감마선 조사된 감자분말 첨가가 요구르트의 발효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reeze-Dried Potato Flour Addition on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Yogurt)

  • 안병용;김동한;최동성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74-381
    • /
    • 2004
  • 우유에 감자분말을 첨가하여 2종의 Lactobacillus bulgaricus, Streptococus thermophillus 젖산균을 혼합하여 배양할 경우 젖산발효가 어떤 메카니즘에 의해 촉진되며 요구르트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코자 젖산균의 산생성 능력과, 요구르트의 점도, 유리아미노산 및 관능검사를 하였다. 0.5%(w/w) 감자분말을 첨가하여 배양한 젖산발효의 경우 무 첨가군에 비하여 산도는 높았고, pH는 낮았으며 점도는 증가되었다. Streptococus thermophillus와 Lactobacillus bulgaricus를 혼합배양한 경우 산의 생성은 가장 높았으며, 각각의 균을 단독 배양 시에는 S. thermophillus가 L. bulgaricus보다 산 생성도가 높았다. 감자분말을 첨가하여 각각의 균을 배양한 경우 L. bulgaricus와 S. thermophiilus 균주에서 모두 lysine의 이용률은 높았으며, L. bulgaricus는 glutamic acid를 다량 생성한 반면, S. thermophillus는 glutamic acid를 소모하였다. 감자분말을 첨가한 요구르트 관능평가에서 조직감은 향상되었고, 색, 맛, 후미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다소 저하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L. bulgaricus는 S. thermophillus 균주가 요구하는 유리 glutamic acid을 공급함으로써 S. thermophiilus의 생육이 촉진되어 감자분말 첨가 요구르트의 발효기간을 단축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쌀밥에서 분리한 Bacillus cereus와 Bacillus thuringiensis의 독소유전자 분석 (Toxin Gene Analysis of Bacillus cereus and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d from Cooked Rice)

  • 전종혁;박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61-367
    • /
    • 2010
  • 쌀밥의 미생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쌀을 취반한 후 세균을 분석하였다. 전국에서 생산되는 생쌀 30개를 수집하여 취반 후에 중온성 호기성균과 MYP선택배지에서 Bacillus cereus group를 분리 동정하여 그의 분포도와 독소유전자를 분석하였다. 취반 직후의 쌀밥 27%에서 1-3 log CFU/g정도의 총 중온성 호기균과 거의 같은 정도로의 Bacillus spp.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균이 검출되지 않은 시료들도 증균한 후에는 B. cereus group균들이 검출되어 사실상 대부분의 시료에서 Bacillus spp.가 분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들 시료로부터 37개의 분리하여 동정한 균주는 B. thuringiensis, B. cereus, B. valismortis, B. pumilus, B. coagulans, B. licheniformis, Geobacillus stearo-thermophilus, Brevibacillus laterosporus 등으로 나타났다. 분리 균주중 20개(54%)의 분리주가 B. thuringiensis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9개(27%)의 B. cereus이였다. 그리고 3개(8%)의 B. valismortis와 각각 1개(3%)의 B. pumilus, B. coagulans, B. licheniformis, Geobacillus stearothermophilus, Brevibacillus laterosporus이였다. B. thuringiensis는 모두에서 non-hemolytic toxin gene(nhe)을 가지고 있었고 9개의 B. cereus중 7균주가 emetic toxin 유전자를 함유하고 있었다. 따라서 쌀밥에는 B. thuringiensis가 B. cereus보다 더 높은 빈도로 분포되어 있고 B. cereus는 설사형 독소유전자 보다는 구토형 독소를 더 많이 가지고 있었다. 취반 후 쌀밥을 상온에서 보관하여 발생되는 B. cereus 식중독은 설사형보다 구토형일 가능성이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

Kluyveromyces marxianus와 젖산균의 혼합배양에 의한 치즈 유청의 알코올 발효 (Alcohol Fermentation of Cheese Whey by Kluyveromyces marxianus and Lactic Acid Bacteria)

  • 심영섭;김재원;윤성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61-167
    • /
    • 1998
  • 치즈 제조시 생기는 부산물인 유청을 이용하여 알코올 발효 음료를 만들기 위해 유당을 이용하는 효모인 K. marxianus KCCM 32422와 유당을 이용하지 않는 S. cerevisiae KCCM 12028의 2종류의 효모 균주와 7균주의 젖산균을 혼합 배양하여 알코올 생성량 $CO_2\;gas$의 생산량, 적정산도의 변화, 그리고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K. marxianus KCCM 32422와 Lb. bulgaricus Lb-12를 혼합배양시에는 4일째 알코올 함량이 2.8%였으며, S. cerevisiae KCCM 12028과 Lb.bulgaricus Lb-12를 혼합배양시에는 4일째 알코올 함량이 0.2%였다. 효모를 첨가하는 최적시간은 K. marxianus KCCM 32422는 젖산균을 접종후 24시간에, S. cerevisiae KCCM 12028은 젖산균 접종후 16시간에 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K. marxianus KCCM 32422와 7균주의 젖산균을 혼합배양시에는 K. marxianus KCCM 32422와 L. lacis KCCM 32406가 배양 96시간에 알코올 2.3%, $CO_2\;gas$는 1.9%로 다른 젖산균에 비하여 알코올과 $CO_2\;gas$의 높은 생산량을 나타내었다. 배양 온도는 $37^{\circ}C$에서 하는 경우가 $20^{\circ}C,\;30^{\circ}C,\;42^{\circ}C$에서 발효시키는 것보다 높은 알코올과 $CO_2\;gas$생산량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L. lacits KCCM 32406가 신맛은 조금 강하고 쓴맛은 전혀 없으며 알코올 맛은 조금강하여 가장 적당하다고 평가되었다.

  • PDF

맥아 당화액을 이용한 유산균음료의 제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reparation of Lactic Acid Fermented Beverages from a Malt Syrup)

  • 유태종;이주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7-62
    • /
    • 1982
  • 맥아당화액과 탈지유의 단독 및 혼합배지에 젖산균을 배양시켜 적응성 여부를 보고, 시제품(試製品)을 관능검사로 비교 검토하여 그 결과를 아래와 같이 요약하였다. 1. 맥아당화액의 당도가 $10^{\circ}Bx$일 때 유산균의 생육이 가장 좋았다. 2. 맥아당화액에 효묘추출물(0.5%), sodium citrate(0.08%)를 첨가하여 젖산균을 배양한 결과 산도의 증가가 현저하게 나타났다. 3. 맥아당액에서 배양적성이 좋은 젖산균주들은 L. acidophilus, L. plantarum, L. lactis, L. bulgaricus-S. thermophilus 등 이였으며 그중에서 L. lactis가 가장 우수하였다. 4. L. lactis의 단독 starter와 L. lactis+S. diacetilactis를 혼합한 starter를 제조하여 활력을 비교하였을 때 L. lactis의 starter가 비교적 높았으나 관능적인 면에서는 L. lactis+S. diacetilactis의 혼합 starter가 좋았다. 5. 배지를 탈지유, 맥아당액, 탈지유+맥아당액(1 : 1)으로 구분하여 유산균을 배양하면서 시간에 대한 pH 및 산도, 균수측정을 한 결과, pH에서의 변화는 탈지유가 제일 높았고, 탈지유+맥아당액의 경우는 맥아당액과 흡사하였다. 산도와 균수에서는 맥아당액이 가장 열등하였으며, 탈지유+맥아당액은 탈지유배지만을 사용한 경우와 별 차이가 없었다. 6. 시제품(試製品)을 관능검사를 통하여 비교하였을 때 탈지유와 탈지유+맥아당액배지를 사용한 것(발효유타입)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P{\leqq}0.05)$, 맥아당액(유산균음료타입)의 경우는 열등하였다. 그러나, 맥아당액의 유산균음료 시제품(試製品)과 시중의 유산균음료와 비교하였을 때 관능적인 차이는 없었다.

  • PDF

Pediococci 선택배지를 이용한 김치 유래 Pediococci 검출 (Detection of Pediococci in Kimchi Using Pediococci Selective Medium)

  • 이명재;이종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38-242
    • /
    • 2009
  • 분자생물학적 방법에 의한 김치유산균 연구의 진행으로 Leuconostoc, Lactobacillus, Weissella 속 유산균의 김치발효 과정 중 생육에 대한 새로운 결과들이 도출되었지만, Pediococcus속의 생육에 대한 새로운 결과는 거의 보고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김치에 존재하는 Pediococcus 속 유산균의 존재에 대한 재조명을 위하여 ampicillin (A)의 첨가로 pediococci의 선발 유효성이 향상된 것으로 보고된 pediococci selective medium(PSM)+A를 이용하여 pediococci 선택적 검출의 유효성을 검토한 결과, 기존에 보고된 결과와는 달리 Pediococcus pentosaceus 외에도 leuconostocs,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curvatus, Oenococcus oeni, Streptococcus thermophilus에 대한 생육저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PSM+A 한천배지를 이용하여 김치에 생육하는 미생물을 검출한 경우, leuconostocs, P. pentosaceus, Weissella koreensis, Lb. curvatus, Lactobacillus brevis, Lactobacillus sakei가 생육하여 김치와 같은 발효침채류의 발효에 관여하는 pediococci의 선택적 선발에는 PSM+A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