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 sonnei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19초

Incidence of R-factors in Food-Borne Shigella sonnei

  • Mehrabian, Sedigheh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3호
    • /
    • pp.339-340
    • /
    • 2006
  • The pattern of drug resistance and incidence of R-factors were studied in Shigella sonnei as food-borne pathogen strains isolated from chicken meat in Iran. In this study we examined for transferring R-factors of S. sonnei to sensitive Escherichia coli $k_{12}{\bar{F}}(\lambda)$. The results showed that 19 out of 57 strains (33.3%) were resistant to one or more drugs and multiple drug resistance was more common than single drug resistance. The most predominant pattern of resistance observed was Tetracycline (Tc), Chloramphenicol (Cm), Streptomycin (Sm), and Sulfonamide (Su). 100% of the strains from the Caspian littoral transferred at least a part of their resistance pattern to sensitive E.coli $k_{12}{\bar{F}}(\lambda)$.

계육의 창상부위에서 분리된 미생물의 동정 (Identification of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Wound Regions of Chickens)

  • 김현진;천호현;김주연;장성애;이봉덕;채현석;송경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01-30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계육 창상부위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동정하였다. 계육의 등과 다리 창상 부위로부터 무작위 선별법을 통해 총 10주의 균주를 분리하였다. 순수 분리 배양된 균주의 세포막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 5 균주가 높은 유효성을 지녔으며, Shigella sonnei, Proteus mirabilis, Escherichia coli로 동정되었다. 또한 16S rRNA sequence를 실시한 결과, 동정된 균주는 Shigella sonnei(99%), Proteus mirabilis(99%) 그리고 Escherichia coli(99%)와 높은 염기서열 상동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조사된 계육의 등과 다리 부위 주요 창상 원인균은 Shigella sonnei, Proteus mirabilis, Escherichia coli인 것으로 밝혀졌다.

국내 한 육아 기관을 다니는 소아에서 확인된 Extended-Spectrum β-Lactamase 생성 Shigella flexneri 감염 (Infection of Extended-Spectrum β-Lactamase Producing Shigella flexneri in Children Attending a Childcare Center in Korea)

  • 남은우;이건송;김준영;유천권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3권3호
    • /
    • pp.223-228
    • /
    • 2016
  • 국내 Shigella 감염은 대부분 Shigella sonnei 에 의해 발생하나 드물게 Shigella flexneri 에 의한 집단 감염이 보고되고 있다. 항생제 사용률이 높은 국내에서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 생성 S. sonnei 감염에 대한 보고는 있었으나 ESBL을 생성하는 S. flexneri 에 대한 예는 지금까지 없었다. 저자들은 국내 한 어린이집에 다니는 소아 2명에게서 CTX-M-14 유형 ESBL 생성 S. flexneri type 2a 감염 증례를 경험하였으며 이는 국내에서 ESBL을 생성하는 S. flexneri 감염의 첫 증례이다. 앞으로 국내에서도 Shigella 감염 시 ESBL 균주의 가능성을 고려하고 적극적인 역학조사와 경험적 항생제 투여에 대한 신중한 선택이 필요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식중독원인균에 대한 작두콩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word Bean (Canavalia gladiata) Extracts against Food Poisoning Bacteria)

  • 정재근;이정치;하동룡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76-382
    • /
    • 2014
  • 본 연구에서 추출 용매의 선택은 작두콩과 대두, 서리태의 추출 수율과 실험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메탄올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작두콩의 항균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용매별, 콩 종류별 항균활성과 최소저해농도에 따른 항균활성 및 작두콩 추출물의 항균활성 효과가 가장 높은 V. parahemolyticus에 대한 증식억제효과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용매별 항균활성에서 클로르포름, 핵산, 에틸 아세테이트 및 물 추출물은 항균활성을 확인할 수가 없었으나,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V. parahemolyticus 10 mm, S. sonnei 9 mm,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V. parahemolyticus 22 mm, S. sonnei 21 mm, L. monocytogenes 20 mm 순으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콩 종류별 항균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V. parahemolyticus, S. aureus, S. sonnei, S. Enteritidis 등의 식중독 원인균에 시험결과, 서리태와 대두에서는 항균활성이 없는 반면, 작두콩에서는 항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두콩의 메탄올 추출물에 의한 최소저해농도는 12종의 식중독 원인균에 대해 200 mg/mL에서는 대부분 항균활성이 나타났고, 50 mg/mL에서는 V. parahemolyticus, S. sonnei, S. Typhimurium만 항균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작두콩 메탄올 추출물의 V. parahemolyticus균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는 작두콩 메탄올 추출물 0%의 경우 30시간 배양기간 동안 약 7.5 log CFU/mL로 증가하였다. 0.5%인 경우, 접종 후 1-2시간에는 2 log CFU/mL 정도 증가하다가 6시간 이후에는 더 이상 세균수가 감소하지 않고 30시간까지 접종하는 시점보다 약 0.5 log CFU/mL를 유지하였다. 1%인 경우, 접종 후 1-2시간까지는 0.5-1.0 log CFU/mL 정도 증가하다가 접종 5-6시간 이후부터 지속으로 감소하기 시작해서 배양 후 30시간에는 접종하는 시점보다 약 5.5 log CFU/mL로 감소하였다. 1.5%인 경우, 접종 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하기 시작해서 30시간에는 V. parahemolyticus균의 생육이 완전히 억제되었다. 2.0%인 경우에는 접종 후부터 급속히 감소하여 약 9시간이 경과했을 때는 V. parahemolyticus균의 생육이 완전히 억제되었다. 따라서 작두콩에서 추출된 항균활성물질이 V. parahemolyticus, S. sonnei, S. Typhimurium 등 다양한 식중독균의 생육억제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청피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 미생물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Antimicrobial Effect of Citrus unshiu Markovich Extracts on Food-Borne Pathogens)

  • 배지현;박효은;배희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0-4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천연 항균성 물질을 검색하기 위해 예로부터 민간과 한방에서 널리 이용되어 온 청피를 각종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해 보았다. 청피를 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ly acetate, methanol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각각 용매별로 계통 분획하고, 열수추출물을 얻은 후, 9종의 식중독 유발세균 (Staphylococcus-aureus, Bacillus cereus, Salmonella enteritidis, Shigella flexneri, Er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higella dysenteriae, Pseudomonas aruginoia, Shigella sonnei) 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청피 추출물의 농도별 항균 활성 검색에서는 청피의 ethyl acetate 추출물이 가장 큰 항균 효과를 보였으며 Staphylococcus auren와 Pseudomonas aeruginosa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균주였다. 청피의 ethyl acetate 추출물과 백화사설초의 methanol 추출물을 혼합하여 항균력을 측정해 본 결과 두 추출물을 섞어 첨가했을 경우가 단독으로 사용했을 시 보다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청피의 ethyl acetate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Bacillus cereus 및 Shigella sonnei의 배양액에 청피의 ethyl acetate 추출물온 각각 5,000 ppm 농도로 첨가했을 시, Bacillus cereus의 생육이 24시간 이상까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고, Shigella sonnei의 생육도 12시간까지 지연시킬 수 있었다.

Shigella sonnei ATCC 29930의 아치사 가열 후 소금 농도에 따른 회복 정도 비교 (Comparison of Recovery Levels of Shigella sonnei ATCC 29930 Treated at Different NaCl Concentrations after Sublethal Heating)

  • 정혜진;박성희;송은섭;박성수;김근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720-72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세균성 이질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균인 S. sonnei를 대상으로 불충분한 열처리와 NaCl 처리에 따른 각각의 생존균수 변화와 불충분한 열처리 후 다양한 NaCl 농도 (0, 2, 4, 6%) 하에서 sublethal injured cell의 회복정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불충분한 열처리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존균수가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NaCl 처리시 NaCl 농도가 6% 까지 증가함에 따라서 생존균수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그리고 $55^{\circ}C$에서 30분 동안 열처리후 2% TSAS 배지에서 7.58 log CFU/mL, 4% TSAS 배지에서 7.83 log CFU/mL, 그리고 6% TSAS 배지에서 7.93 log CFU/mL 만큼 각각 생성된 colony 숫자가 감소 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60^{\circ}C$에서 30분동안 열처리후 2% TSAS 배지에서 6.71 log CFU/mL, 4% TSAS 배지에서 6.73 log CFU/mL, 그리고 6% TSAS 배지에서 6.73 log CFU/mL 만큼 각각 생성된 colony 숫자가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동일한 온도에서 sublethal heating후 노출된 NaCl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D-value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불충분한 열처리 과정에 의하여 생성된 sublethal injured cell들이 열처리후 회복되는 과정에서 배지의 NaCl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회복정도가 감소하였음을 의미한다.

식품으로부터 쉬겔라 검출을 위한 분리배지 비교 (Comparison of Selective Media for Isolation and Detection of Shigella spp. from Foods)

  • 인예원;하수정;오세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7호
    • /
    • pp.1025-1031
    • /
    • 2011
  • 본 연구는 식품으로부터 Shigella spp.를 검출하기 위해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분리배지를 대상으로 분리 성능을 비교하였다. MAC, SSA, DCA, XLD, HEA와 CHROMagar 총 6개의 분리배지를 대상으로 비교하였다. 일반 Shigella spp. 에 대한 성장은 MAC에서 TSA와 비슷한 수준 균수를 보였고 DCA에서 낮은 균수로 측정되었다. 소고기, 돼지고기, 새우를 대상으로 한 회수실험은 S. sonnei가 CHROMagar에서 성장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양상추와 양배추에서는 S. sonnei가 SSA에서의 성장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식품 상재균은 소고기, 새우, 양배추에서 전체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측정되었으나 각 배지에서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p>0.05). 열 스트레스를 받은 S. sonnei는 MAC, SSA에서만 성장하였다. Enterobacteriaceae를 대상으로 한 선택성 측정 결과 HEA가 가장 높은 선택성을 나타내었다. Morganella spp.는 각 분리배지에서 Shigella spp.와 구분되지 못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배지는 각각의 조건에 따라 분리되는 특성이 상이하므로 식품에서 분리배지를 이용하여 Shigella spp.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 분리 균의 상태에 따라 분리배지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김치부재료의 유산균 증식 및 유해균 억제효과 (Effect of Kimchi ingredients on the growth of pathogenic and lactic acid bacteria)

  • 강선이;한명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6호통권90호
    • /
    • pp.838-843
    • /
    • 2005
  • When ingredients of Kimchi were mixed and stored in $18^{\circ}C$, lactic acid bacteria, such as Leuconostoc mesenteroide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were selectively grown up. Herefore, to understand why lactic acid bacteria were selectively cultured in Kimchi, antibacterial activities of Kimchi ingredients against some pathogens and Kinlchi lactic acid bacteria were investigated. Kimchi mixed with all ingredients significantly inhibited the growth of all tested pathogens: S. typhimurium, S. sonnei, and E. coli. Kimchi without green onion, garlic or ginger inhibited the growth of S. typhimurium, but did not E. coli and S. sonnei. However, Kimchi without red pepper powder did not inhibit the growth of all tested pathogens. All ingredients of Kimchi did not inhibit the growth of L. plantarum and L. mesenteroid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Kimchi ingredients can synergistically inhibit the growth of pathogens and Kimchi may be a selective medium for lactic acid bacteria.

최근 5년간 분리된 enteropathogenic bacteria (An analysis of the enteropathogenic bacteria isolation during the last five years)

  • 정윤섭;송경순;이귀녕;이삼열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7-25
    • /
    • 1979
  • Bacteriologic diagnosis of enteric infection remains to be an important role of clinical laboratory because of the prevalence of the infection. Often the determination of etiologic agent and its susceptibility to antibiotics are of vital importance for a proper management of the infection. In our previous paper, an analysis of the isolation of enteric pathogens for the years 1969-73 was reported to clarify the status of those years. The present analysis was made based on the data obtained during the years 1974-78, to see if any change of the status was rendered. 1. During the 5-year period, from the cultures of 7,308 stool or rectal specimens 833 patients yielded enteric pathogens: 468 Shigella, 295 Salmonella, 30 Vibrio parahaemolyticus and 40 enteropathogenic Escherichia coli(EPEC). 2. Of the 295 Salmonella, 271 were S. typhi Isolation of 12 S.paratyphi-A, 1 Salmonella group B, 4 group C, 5 group D and 2 group E meant a definite increase of these sero-groups, S. typhi was most frequently isolated in August and in December, and from 30- to 39-year-old patients. 3. Of the 468 Shigella, 10 were subgroup A, 338 subgroup B, 3 subgroup C and 117 subgroup D. Most of the subgroup B belonged to type 1,2, or 3. The proportion of S. sonnei decreased from 31.3% in 1974 to 18.2% in 1978. In foreign patients, S. sonnei remained to be the frequntly isolated species. Shigella isolation was frequent in August and in 2- to 5-year-old patients. 4. V. parahaemolyticus was isolated from 30 and EPEC from 40 patients. 5. Ninty-nine per cent and 99.5% of the S. typhi isolates were susceptible to chloramphenicol and to ampicillin respectively. 92.8% of S sonnei were susceptible to ampicillin. S. flexneri type 2 was notable for their markedely decreased proportion being susceptible to ampicillin: 84.4% in 1974 and 25.6% in 1978.

  • PDF

산발적으로 신고되는 세균성이질환자의 감염원 추정을 위한 알리바이 확인 및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검사 (Alibi Verification and the PCR Method to Estimate the Source of Epidemic for a Few Notified Cases of S. sonnei)

  • 고대하;윤채현;이신재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8권4호
    • /
    • pp.420-424
    • /
    • 2005
  • Objectives : A few culture-confirmed cases of S. sonnei have been notified from Korean hospitals. The source of epidemic can't be firmly determined in such cases because of the rarity of this illness in the local communities and the timing of the outbreak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source of epidemic by investigating the patients' lifestyles. Methods : Alibi verification was used to access the presumed source of the epidemic.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used to rapidly detect the genes of Shigella in water specimens. Results : The common lifestyle trait among the Shigella infected patients was connected with Mt. Martyr in J city, Korea. The first patient's son had gone on a pilgrimage to Mt. Martyr with 41 friends and he had only eaten rice cakes on April 5th; the second patients had visited Mt. Martyr with their mother for a picnic on April 12th; the third patient had visited Mt. Martyr with 22 friends for a pilgrimage and the patient had only drunk holy water on April 13th. Therefore, the holy water of Mt. Martyr was reckoned to be the source of the epidemic. PCR detected the genes of Shigella two days before the S. sonnei was confirmed. Conclusion : The patients' lifestyles for 7 days before the onset of symptoms should be determined in terms of time, place and contacted people to find the source of infection when cases with food poisoning are seen in the hospital set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