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ansferase

검색결과 1,041건 처리시간 0.035초

Farnesyl protein transferase 방해제 연구를 통한 항암제의 개발

  • 이상규;박세연;백영진;최희정;양철학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180-180
    • /
    • 1994
  • Farnesyl protein transferase는 Ras precursor의 C-terminal에 있는 cystein residue에 farnesyl group을 결합시키는 효소다. 이 효소를 bovine testis에서 30-50%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DEAE-sephacel ion exchange, Sephacryl s-300 gel filtration, hexapeptide(KKCVIM) affinity chromatography를 통해 30000배로 분리하였다. 분리된 효소는 gel filtration시 약 100kDa으로, SDS-polyacrylamide 전기영동시 50kDa의 인접한 두 bands로 나타났고 이것은 $\alpha$, $\beta$ subunits으로 생각되었다. $\alpha$ subunit을 encoding하는 RAM2 유전자를 site directed mutagenesis로 145번의 histidine을 aspartate로, 140번의 aspartate를 asparagine 으로 바꾸었더니 optimal pH와 $K_{m}$ 값이 변했다. Diethyl pyrocarbonate로 histidine residues를 chemical modification시켰을때 효소의 활성이 저하되었다. 145번 histidine이 aspartate로 바뀐 돌연변이효소에서 비교적 느리게 활성이 저하되므로 145번 histidine이 이 효소의 active site에 있을것으로 추측된다.

  • PDF

단백질체학을 이용하여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과 미세 변화형 신증후군의 비교 (The Comparison between FSGS and MCNS Using Proteomic Method in Childhood Nephrotic Syndrome; Preliminary Study)

  • 김성도;조병수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3권2호
    • /
    • pp.170-175
    • /
    • 2009
  • 목적 :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 환아들은 어떤 종류의 약물치료에도 잘 반응하지 않고 점차 말기 신부전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미세 변화형 신증후군과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 사이의 단백질 발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 미세 변화형 신증후군과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의 신장 조직 샘플로부터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단백질들에 대해 2차원 전기영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개개의 단백체로 분리한 후 실버 염색을 하였다. 분리한 단백질은 MASCOT Peptide Mass Fingerprin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결과 : 미세변화형 신증후군과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의 신장 조직에서 서로 상반된 발현 양상을 보여주었다. 이중 가장 크고 두드러지게 발현되는 부위를 잘라내어 단백질 분석을 시행한 결과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에서만 glutathione S-transferase P1-1 단백질이 발현 되었다. 결론 : 상기 결과는 비록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의 병태생리를 알기 위한 기초연구였으나 본 연구에서 밝혀진 glutathione S-transferase P1-1 은 향후 질병의 기전을 밝히는데 있어서 중요한 소견으로서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nfluenza Virus Type A 감염 MDCK세포에 있어서 Glutathione S-transferase의 활성 변동 (Changes of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y in MDCK Cells with Influenza Virus Type A)

  • 김병렬;박남표;윤종국;전태원;이상일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9-28
    • /
    • 2000
  • 농도와 기간에 따른 바이러스 감염 및 항바이러스제인 amantadine병행 첨가 시 Maddin Darby canine kidney (MDCK) 세포 내의 free radical 해독계 효소인 glutathione S-transferase (GST)와 lactate dehydrogenase (LDH)의 활성 변동을 상호비교 관찰하였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MDCK세포는 감염 3일 후 1 TCID$_{50}$ 군은 80%이상, 10 TCID$_{50}$ 군은 거의 대부분의 단층세포가 탈락되는 병변 효과가 나타났다. Amantadine cytotoxic dose %가 증가함에 따라 MDCK 세포 내의 GST 및 LDH 활성은 농도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감염배지 내 LDH 활성은 대조군 보다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type A 접종농도와 기간에 따른 MDCK세포 내의 GST및 LDH활성은 1 및 10 TCID$_{50}$ 감염군에서 감염 3일 후부터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감염배지 내의 LDH활성은 10배 이상 증가되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type A 100 TCID$_{50}$ 감염과 amantadine병행 첨가 시 GST 및 LDH 활성은 바이러스만 감염한 군 보다 MDCK세포 내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율이 낮았고, 감염배지 중 LDH 활성 역시 증가율이 낮았다. 또한 바이러스 감염 후 amantadine 90 $\mu\textrm{g}$/ml 첨가 시에 세포 내와 감염배지 중에서 가장 낮은 감소와 증가를 나타냈다.

  • PDF

말똥성게(Hemicentrotus pulcherrimus)의 초기배아 발생과 glutathione S-transferase (GST)의 발현에 대한 bisphenol A의 영향 (Effect of Bisphenol A on Early Embryonic Development and the Expression of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in the Sea Urchin (Hemicentrotus pulcherrimus))

  • 황운기;김대한;류향미;이주욱;박승윤;강한승
    • 환경생물
    • /
    • 제32권3호
    • /
    • pp.234-242
    • /
    • 2014
  • 본 연구는 시험생물로서 말똥성게 (Hemicentrotus pulcherrimus)를 이용하여 내분비계장애물질인 bisphenol A(BPA)의 독성 및 시험생물로서의 적합성 등을 조사하였다. 말똥성게(H. pulcherrimus)의 수정 및 정상 배아발생에 미치는 BPA의 독성을 보기 위하여 농도(0, 300, 500, 800, 1000, 1500 ppb)에서 조사하였다. BPA 노출 시 수정률은 시험구간 내의 BPA 처리농도와 관계없이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정상 배아발생률은 BPA 농도가 높을수록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냈으며, 800 ppb 농도부터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정상배아발생에 대한 독성값은 반수영향농도 ($EC_{50}$) 1056.1 ppb, 95% Cl 981.8~1163.9 ppb로 나타났다. 또한 무영향농도 (NOEC)와 최소영향농도(LOEC)는 500 ppb 및 800 ppb로 나타났다. BPA에 노출된 배아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이 정체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BPA에 노출된 pluteus 유생을 이용한 glutathione-S-transferase (GST) 유전자의 발현을 비교해본 결과 GST 유전자의 발현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현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 말똥성게 (H. pulcherrimus)의 초기 배아 발생 과정 중 800 ppb 이상에서 독성을 나타냈으며 GST 유전자는 BPA 노출에 따른 위해성 평가에 생체지표유전자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지각 추출물이 quinone reductase 및 glutathion s-transferase의 유도활성에 미치는 영향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and Glutathion S-transferase in Hepatoma Cells by Citrus aurantium Linn (Jikak) Produced in Cheju Island)

  • 유미희;이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61-267
    • /
    • 2005
  • Phase II 효소계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화학물질과 천연소재들에 의해 유도되며, 이들의 유도는 화학적 발암물질과 그 밖의 여러 가지 독성물질들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phase II 효소 중 QR은 quinone류 자체에 대한 보호효과가 있고 다른 암예방 효소계와 공통으로 유도되며, 항암 작용이 있는 많은 화합물에 의해 유도되어지기 때문에 암예방 물질 탐색의 지표가 되는 대표적인 효소로 많이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귤류 중 지각을 이용하여 메탄올추출물을 제조한 후 대표적인 암예방계 효소로 알려진 quinone reductase 및 glutathion S-transferase의 유도 활성을 조사하였다. 우선 QR 및 GST 유도활성 측정에 앞서 각 시료의 Hepa 1c1c7 세포에 대한 독성을 조사하여 시료자체의 세포독성을 관찰하였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QR, GST 유도 활성을 측정할 시 세포독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는 각각 시료의 최대 처리 농도를 결정하였다. 총 6개의 지각 분획물 중 mouse 유래 Hepa 1c1c7 세포주에서는 hexane 충과 chloroform 충에서 QR, GST의 활성이 $200{\mu}g/mL$에서 각각 1.8배, 1.5배 이상으로 증가되어 높은 QR 및 GST의 유도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지각의 hexane 층이나 chloroform층에 존재하는 높은 QR및 GST의 유도활성이 나타나는 물질을 분리 정제하여 앞으로 계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Purification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Glutathione S-Transferase from Lactuca sativa

  • Park, Hee-Joong;Cho, Hyun-Young;Kong, Kwang-Hoon
    • BMB Reports
    • /
    • 제38권2호
    • /
    • pp.232-237
    • /
    • 2005
  • A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from Lactuca sativa was purified to electrophoretic homogeneity approximately 403-fold with a 9.6% activity yield by DEAE-Sephacel and glutathione (GSH)-Sepharose column chromatography. The molecular weight of the enzyme was determined to be approximately 23,000 by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d 48,000 by gel chromatography, indicating a homodimeric structure. The activity of the enzyme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S-hexylGSH and S-(2,4-dinitrophenyl) glutathione. The enzyme displayed activity towards 1-chloro-2,4-dinitrobenzene, a general GST substrate and high activities towards ethacrynic acid. It also exhibited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toward cumene hydroperoxide.

Cloning and Expression of Human Liver UDP-Glucuronosyltransferase cDNA, UDPGTh2

  • Dong, Misook;Owens, Ida-S.;Sheen, Yhun-Yho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0권5호
    • /
    • pp.459-464
    • /
    • 1997
  • The human liver cDNA clone UDPGTh2, encoding a liver UDP-glucuronosyltransferase (UDPGT) was isolated from a .gamma. gt 11 cDNA library by hybridization to mouse transferase cDNA clone, UDPGTm1. UDPGTh2 encoded a 529 amino acid protein with an amino terminus membrane-insertion signal peptide and a carboxyl terminus membrane-spanning region. There were three potential asparagine-linked glycosylation sites at residues 67, 68, and 315. In order to obtain UDPGTh2 protein encoded from cloned human liver UDP-glucuronosyltransferase cDNA, the clone was inserted into the pSVL vector (pUDPGTh2) and expressed in COS 1 cells. The presence of a transferase with Mr-52,000 in transfected cells cultured in the presence of $[^{35}S]$ methionine was shown by immunocomplexed products with goat antimouse transferase IgG and protein A-Sepharose and analysis by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d autoradiography. The expressed UDPGT was a glycoprotein as indicated by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in Mr-3,000-4,000 when expressed in the presence of tunicamycin. The extent of glycosylation was difficult to assess, although one could assume that glycosyl structures incorporated at the level of endoplasmic reticulum were always the core oligosaccharides. Thus, it is likely that at least two moieties inserted can account for the shift of Mr-3,000-4,000. This study demonstrates the cDNA and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human liver UDP-glucuronosyltransferase cDNA, UDPGTh2.

  • PDF

Farnesyl Protein transferase의 분리, 유전자 재조합 및 발현연구

  • 백영진;유권열;박치욱;양철학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55-55
    • /
    • 1993
  • Farnesyl Protein transferase(FPT)는 발암유전자 ras의 단백질 산물인 p$^{21}$의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의 첫 단계인 ras-farnesylation에 관여하는 효소로 본 연구에서는 정제된 FPT와 E. coli에서의 발현 system을 이용하여 FPT의 구조와 기능을 밝히고 이를 FPT 방해제의 설계에 이용하고자 한다. Bovine testis에 존재하는 FPT를 30%-50%의 Ammonium sulfate로 fractionation하고, DEAE-Sephacel, Sephacryl S-300 column을 통과시킨 후 peptide(KKCVIM) affinity column을 이용하여 순수 정제하였다. 정제된 효소의 분자량은 gel-filtration에 의해 100KDa으로 추정되었고 SDS-PAGE 결과 49KDa과 46KDa의 두 subunit로 구성되었음이 확인되었다. 효소활성에는 $Mg^{2+}$$Zn^{2+}$가 필수적이며 최적 pH는 7.0이었다. Yeast의 FPT의 두 subunit 유전자는 Yeast genomic DNA를 template로 사용하고 각 subunit에 specific한 합성된 primer들과 vent polymerase를 이용하여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하여 얻었다. 두 유전자를 pBluescriptII SK+ vector를 변형시킨 두 vector, pBSK+4와 pBChl+4에 재조합 시킨 후 E.coli에 transformation시켜 발현시켰다. 현재 정제된 Bovine FPT와 E. coli에서 발현된 Yeast FPT의 chemical modification과 site-directed mutagenesis를 통하여 FPT의 active site와 substrate binding site에 관한 연구를 진행시키고 있다.

  • PDF

Naphthazarin Derivative (V) : Formation of Glutathione Conjugate and Cytotoxic Activity of 2-or 6-Substituted 5,8-Dimethoxy-1,4-napthoquinones in the Presence of Glutathione-S-transferase, in Rat Liver S-9 Fraction and Mouse Liver Perfusate

  • Zheng, Xiang-Guo;Kang, Jong-Seong;Kim, Hwan-Mook;Jin, Guang-Zhu;Ahn, Byung-Zu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3권1호
    • /
    • pp.22-25
    • /
    • 2000
  • Formation of glutathione (GSH) conjugates with 2- or 6-(1-hydroxymethyl)- and 2-(1-hydroxyethyl)-DMNQ derivatives (DMNQ, 5,8-dimethoxy-1,4-naphthoquone was carried out in phosphate buffer (pH 7.4), in the presence of glutathione-S-transferase (GST), in rat liver S-9 fraction and by perfusion, and the rates of conjugates formation were compared and correlated to cytotoxicity. The GSH conjugates of 6-(1-hydroxyalkyl)-DMNQ derivatives were formed faster than 2-(1-hydroxyalkyl)-DMNQ derivatives under all of the media, implying that steric hindrance was the cause of lowering the rate of conjugate formation of 2-substituted derivatives. For both isomers, addition of GST did not improve the reaction rate, compared with that in buffer, while the reaction in the S-9 fraction and the perfusate was accelerated to a great extent. The catalytic effect of the S-9 fraction and the perfusate contain an effective system relaxing the steric hindrance of 2-(1-hydroxyalkyl)-DMNQ derivatives. Furthermore, a good correlation between the formation of the GSH conjugates and the cytotoxic activity of both naphthazarin isomers suggests that the steric hindrance is a cause of lowering the cytotoxicity of 2-isom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