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transferase

Search Result 1,04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Sphingomonas chungbukensis DJ77의 Glucosyl-Isoprenyl Phosphate-Transferase를 암호화할 것으로 추정되는 spsB 유런자 (A spsB Gene Putatively Encoding Glucosyl-Isopreny Phosphate-Transferase in Sphingomonas chungbukensis DJ77)

  • 이수연;최정도;신말식;김영창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8-12
    • /
    • 2005
  • S. chungbukensis DJ77의 genome project수행 결과 다당류 생 합성 에 관련된 유전자들의 염기서열을 찾아내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유전자들 중 sphigan형 다당류 생합성에 관여하는 glucosyl-isoprenyl phosphate-transferase를 암호화 하는 유전자의 완전한 서열을 결정하였고, spsB로 명명하였다. 이 유전자는 ATG를 개시코돈으로 사용하며, TGA를 종결코돈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총 1392 bp의 open reading frame을 포함하며, 463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있다. SpsB를 구성하는 아미노산 서열은 동일한 속의 sphingan 형성 균주인 Sphingomonas spp S88의 SpsB와 $50\%$, Sphingomonas paucimobilis ATCC 31461의 GelB와 $48\%$의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ies of S-Type and L-Type Thioltransferases from Arabidopsis thaliana

  • Cho, Young-Wook;Park, Eun-Hee;Lim, Chang-Jin
    • BMB Reports
    • /
    • 제33권2호
    • /
    • pp.179-183
    • /
    • 2000
  • The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activities of S-type and L-type thioltransferases (TTases), which are purified from the seeds and leaves of Arabidopsis thaliana, respectively, were identified and compared. The S-type and L-type TTases showed $K_m$ values of 9.72 mM and 3.18mM on 1-chloro-2,4-dinitrobenzene (CDNB), respectively, indicating the L-type TTase has higher affinity for CDNB. The GST activity of the L-type TTase was rapidly inactivated after being heated at $70^{\circ}C$ or higher. The GST activity of the S-type TTase remains active in a range of $30-90^{\circ}C$. $Hg^{2+}$ inhibited the GST activity of the S-type TTase, whereas $Ca^{2+}$ and $Cd^{2+}$ inhibited the GST activity of the L-type TTase.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GST activities of two TTases of Arabidopsis thaliana may have different catalytic mechanisms. The importance of the co-existence of TTAse and GST activities in one protein remains to be elucidated.

  • PDF

추출용매에 따른 진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Citrus unshiu Extracts obtained from Different Solvents)

  • 이성구;오성천;장재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58-46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진피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유기용매별에 따른 생리활성물질의 용출량을 측정하기 위해, 진피와 에탄올 진피 추출물을 대상으로 유기용매인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톤, 염화 메틸렌,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시료를 대상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 전자공여능, glutathione S-transferase(GST)의 활성 저해력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폴리페놀 함량은 ethyl acetate인 경우 진피는 $928.48{\pm}1.19{\mu}g\;GAE/mL$, 에탄올 추출 진피는 $664.64{\pm}0.74{\mu}g\;GAE/mL$로, acetone인 경우 진피는 $886.03{\pm}0.44{\mu}g\;GAE/mL$, 에탄올 추출 진피는 $702.67{\pm}0.85{\mu}g\;GAE/mL$로, methylene chloride인 경우 진피는 $413.08{\pm}1.39{\mu}g\;GAE/mL$, 에탄올 추출 진피는 $429.64{\pm}0.61{\mu}g\;GAE/mL$로, methanol인 경우 진피는 $12,648.60{\pm}0.56{\mu}g\;GAE/mL$, 에탄올 추출 진피는 $16,108.20{\pm}0.73{\mu}g\;GAE/mL$로 나타나, 진피나 에탄올 추출 진피는 모두 methanol로 추출한 것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총 폴리페놀의 함량 차이는 유기용매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2. 전자공여능은 ethyl acetate인 경우 진피는 62.80%, 에탄올 추출 진피는 51.49%로 나타났으며, acetone인 경우 진피는 97.43%, 에탄올 추출 진피는 63.17%로 나타났으며, methylene chloride인 경우 진피는 52.20%, 에탄올 추출 진피는 67.68%로 나타났으며, methanol인 경우 진피는 97.63%, 에탄올 추출 진피는 96.18%로 나타났다. Electron donating ability(EDA)는 유기용매 중 메탄올로 추출하였을 때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기용매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3. Glutathione S-transferase(GST)에 대한 활성 저해능은 ethyl acetate인 경우 진피는 76.22%, 에탄올 추출 진피는 75.54%로 나타났으며, methylene chloride인 경우 진피는 31.73%, 에탄올 추출 진피는 73.53%로 나타났으며, methanol인 경우 진피는 97.48%, 에탄올 추출 진피는 48.70%로 나타났다. Glutathione S-transferase(GST)에 대한 활성 저해능은 진피인 경우 유기용매 중 메탄올로 추출하였을 때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에탄올 추출 진피인 경우는 에탄올과 methylene chloride로 추출할 때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기용매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MCF-7 세포주에서 Glutathione S-Transferase K1 (hGSTK1) 과발현에 의한 방사선 내성의 유도 (Inductoin of Radioresistance by Overexpression of Glutathione S-Transferase K1 (hGSTK1) in MCF-7 Cells)

  • 김재철;신세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4호
    • /
    • pp.381-388
    • /
    • 2001
  • 목적 : 사람의 유방암 세포인 MCF-7 세포주를 대상으로 gultathione S-transferase K1 (hGSTK1) 유전자의 발현 정도 및 방사선 조사에 의한 hGSTK1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관찰하고 hGSTK1 유전자를 과발현시킴으로써 hGSTK1이 방사선 감수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관찰하였다. 재료 및 방법 : 사람의 모유두 세포 pBluescript phagemid cDNA library로부터 선별한 hGSTK1 cDNA를 pcDNA3.1/Myc-His (+) vector에 결합시킨 후, 사람의 유방암 세포인 MCF극 세포에 이입시켰다. hGSTK1 유전자를 이입시키지 않은 MCF극 세포와 hGSTK1을 이입시킨 MCF-7 세포에 $2\~12\;Gy$의 엑스선을 조사하여 생존 분획을 비교하였다. hGSTK1 유전자를 이입시키지 않은 MCF-7 세포와 hGSTK1을 이입시킨 MCF-7 세포에서 방사선량, 분할조사 여부, 방사선 조사 후 경과 시간에 따른 hGSTK1 mRNA 발현의 차이를 보기 위하여 RT-PCR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hGSTK1 유전자를 이입시키기 전의 MCF-7 세포보다 hGSTK1 유전자를 이입시킨 MCF-7 세포에서 생존 분획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hGSTK1 유전자를 이입시키지 않은 MCF-7 세포에서 2 Gy 생존 분획은 $0.3250{\pm}0.0319$였고, hGSTK1 유전자를 이입시킨 MCF-7 세포에서 2 Gy 생존 분획은 $0.4125{\pm}0.0325$였다 (p<0.05). 그러나 RT-PCR에 의한 hGSTK1 mRNA 분석에서는 방사선량, 분할조사 여부, 방사선 조사 후 경과 시간에 따른 발현의 차이를 볼 수 없었다. 결론 : MCF-7 세포주에서 hGSTK1의 과발현은 방사선 감수성에 영향을 미쳐서 MCF-7 세포의 생존 분획을 증가 시켰다고 볼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정확한 기전을 알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Human glutathione S-transferase 중 tyrosine 7 잔기의 기능 분석 (Functional analysis of Tyr7 residue in human glutathione S-transferase P1-1)

  • 공광훈;박희중;윤석영;조성희
    • 분석과학
    • /
    • 제10권5호
    • /
    • pp.378-385
    • /
    • 1997
  • 본 실험은 human glutathione S-transferase P1-1의 tyrosine 7 잔기에 대한 변이체를 작성하고, 기질특이성과 저해제의 효과를 조사하여, 이 잔기의 기능을 분석한 것이다. 1,2-dichloro-4-nitrobenzene과 1,2-epoxy-3-(p-nitrophenoxy)propane에 대한 GSH 포합반응에 대한 활성은 야생형에 비해 변이체 Y7F에서는 3~5%로 크게 저하하였으며, 효소에 결합한 GSH의 thiol기의 pKa는 2.4 pK 높았다. 저해제 hematin에 대한 $I^{50}$값은 야생형과 변이체 Y7F에서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저해제 benastatin A와 S-(2,4-dinitrophenyl) glutathione에 대한 $I^{50}$값들은 다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tyrosine 7 잔기는 기질의 결합에 관여하기보다 GSH-chloronitrobenzene 유도체와 GSH-epoxide 포함반응에 대한 촉매활성에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Glutathione-S-Transferase T1 Polymorphism is Associated with Esophageal Cancer Risk in Chinese Han Population

  • Weng, Yuan;Fei, Bojian;He, Ping;Cai, M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9호
    • /
    • pp.4403-4407
    • /
    • 2012
  • Background: Glutathione-S-Transferase T1 (GSTT1) gene has been shown to b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esophageal cancer. However, the results have been inconsistent. In this study, the authors performed a meta-analysis to clarify the association between GSTT1 polymorphism and esophageal cancer risk among Chinese Han population. Methods: Published literature from PubMed, the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and Wanfang Data were searched. Pooled odds ratio (OR) and 95% confidence interval (95%CI) was calculated using a fixed- or random-effects model. Results: Eleven studies with a total of 2779 individuals were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GSTT1 null genotyp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sophageal cancer risk in Chinese (OR = 1.31, 95%CI 1.12 to 1.53, p = 0.001). Further sensitivity analyses confirmed the significant association. The cumulative meta-analysis showed a trend of an obvious association between GSTT1 null genotype and esophageal cancer risk as information accumulated by year. Conclusions: This meta-analysis suggests a significant association of GSTT1 null genotype with esophageal cancer risk in the Chinese Han population.

Farnesyl transferase 억제제인 YH3938 및 YH3945에 의한 Ras 발암원성 억제 (Suppresion of Ras Oncogenic Activity by Farnesyl Transferase Inhibitors, YH3938 and YH3945)

  • 오명주;김농연;임수은;정영화;전병학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02-207
    • /
    • 2010
  • Ras 유전자는 30%의 인간암에서 변이가 발견되며 세 종류의 isoform, H-Ras, K-Ras 및 N-Ras로 구성되어 있다. Ras 단백질의 CAAX motif에 farnesylation과 같은 번역 후 변형은 Ras의 활성에 필수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farnesyl transferase 억제제인 YH3938과 YH3945의 발암원성 H-Ras, K-Ras 및 N-Ras의 작용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YH3938과 YH3945는 발암원성 H-Ras에 의해 형질전환된 Rat2 세포의 증식과 형태 변화를 억제하였으나 K-Ras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었다. N-Ras에 대해서는 약한 영향이 있었다. H-Ras와 N-Ras에 의한 SRE promoter 활성화는 YH3938과 YH3945에 의해 억제되었으나, K-Ras에는 영향이 없었다. Ras 단백질의 bandshift 분석을 통해 YH3938은 H-Ras와 N-Ras의 번역 후 변환을 억제하였으나, K-Ras에는 영향이 없었다. YH3945는 H-Ras의 변환에만 영향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YH3938과 YH3945는 H-Ras의 farnesylation을 억제하여 그 발암원성을 억제하며, YH3938은 N-Ras 작용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며, K-ras에 대해서는 영향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비만하지 않은 성인 남성에서 대사증후군의 대리 표지자로서 감마 글루타밀 전이효소의 임상적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Clinical Usefulness of Gamma Glutamyl Transferase as a Surrogate Marker for Metabolic Syndrome in Non Obese Adult Men)

  • 신경아;김은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146-155
    • /
    • 2020
  •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을 예측하는 대리 표지자로서 감마 글루타밀 전이효소(gamma glutamyl transferase, GGT)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20세 이상의 비만하지 않은 남성 7,155명을 연구대상자로 하였다. 대사증후군 진단기준은 NCEP-ATP III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 Third Adult Treatment Panel) 기준을 적용하였다. GGT에 따른 대사증후군 발병 위험도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하였으며, GGT의 대사증후군 위험 예측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ROC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곡선을 구하였다. 연령과 체질량지수와 무관하게 GGT 1사분위수보다 4사분위수에서 대사증후군 발병위험이 7.09배 높게 나타났다(p<0.001). 대사증후군 진단을 위한 GGT의 곡선아래면적(area under the curve)은 0.715였으며, GGT의 절단값(cut-off value)은 40.0 U/L, 민감도는 65.0%, 특이도 70.2%로 나타났다. 따라서 GGT는 대사증후군을 진단하기 위한 유용한 진단 지표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