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VAR

검색결과 1,363건 처리시간 0.025초

Analysis of Composition and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and C. indicum against Antibiotic-Resistant Pathogenic Bacteria

  • Byun, Youn-Hee;Shin, Seung-wo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4권2호
    • /
    • pp.138-142
    • /
    • 2008
  • The composition of essential oils from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and C. indicum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e results of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revealed there were distinctly different compositional patterns between C. zawadskii var. latilobum and C. indicum essential oils. The combinatorial effect of the oil of C. zawadskii var. latilobum and C. indicum, with various antibiotics was assessed against antibiotic-susceptible and -resistant strains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Streptococcus pneumoniae. The essential oil fraction significantly inhibited most of the tested antibiotic-susceptible and -resistant strains of S. pneumoniae, with minimum inhibiting concentrations (MICs) ranging from 0.5 to 4.0 mg/ml. The fractional inhibiting concentration indices (FICIs) of the oils when combined with antibiotics against S. aureus and S. pneumoniae ranged from 0.26 to 0.75, and showed synergistic or additive effects.

희박 벡터 자기 회귀 모형의 로버스트 추정 (Robust estimation of sparse vector autoregressive models)

  • 김동영;백창룡
    • 응용통계연구
    • /
    • 제35권5호
    • /
    • pp.631-644
    • /
    • 2022
  • 본 논문은 고차원 시계열 자료에 이상점이 존재하는 경우 희박벡터자기회귀모형(sparse VAR; sVAR)의 모수를 강건하게 추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먼저 Xu 등 (2008)이 독립인 자료에서 밝혔듯이 adaptive lasso 방법이 sVAR 모형에서도 어느 정도의 강건함을 가짐을 모의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이상점의 개수가 증가하거나 이상점의 영향력이 커지는 경우 효율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현상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최소절대편차(least absolute deviation; LAD)와 Huber 함수를 기반으로 벌점화 시키는 adaptive lasso를 이용하여 sVAR 모형을 추정하는 방법을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고 그 성능을 검토하였다. 모의 실험을 통해 제안한 로버스트 추정 방법이 이상점이 존재하는 경우에 모수 추정을 더 정확하게 하고 예측 성능도 뛰어남을 확인했다. 또한 해당 방법론들을 전력사용량 데이터에 적용한 결과 이상점으로 의심되는 시점들이 존재하였고, 이를 고려하여 강건하게 추정하는 제안한 방법론이 더 좋은 예측 성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Chrysanthemum indicum var. indica Max. (f.sin-dong-a)의 꽃잎 및 Artemisia vulgaris var. indica Max. 잎의 갈변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Browning in the Petals of Chrysanthemum indicum var. indica Max. (f. sin-dong-a) and leaves of Artemisia vulgaris var. indica Max.)

  • 김안근;박수선
    • 약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75-81
    • /
    • 1981
  • Polypenol oxidase activity in the petals of Chysanthemum indicum var. indica Max. (f.sin-dong-a) and the leaves of Artemisia vulgaris var. indica Max was estimated by means of Warburg's manometric method. The browning reaction in owing to the oxidation of chlorogenic acid with polyphenol oxidase.

  • PDF

곰팡이 유지 생산에 관한 배양조건의 영향 (Effect of Cultural Conditions on the Lipid Production by Moulds)

  • 손병효;정태명;김용균;최상욱
    • 미생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52-258
    • /
    • 1985
  • Aspergillus niger var. macrosporus, Aspergillus fumigatus, Penicillium notatum 및 Penicillium spinulosum의 곰팡이를 배양 온도 및 배양 기간을 달리하여 배양하고 이들 곰팡이가 생산한 지질량과 지질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이들 곰팡이에 의해 생성된 최대 지질량은 Aspergillus niger var. macrosporus가 17.8%. Aspergillus fumigatus가 31 %. Penicillium notatum이 12.6% 그리고 Pen. spinulosum이 17.5%였다. 이들 균주가 생산한 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였으며 Asp. niger var. macrosporus와 Asp. fumigatus는 전체 배양 기간 동안 ole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나 P. nota turn과 P. spinulosum은 linole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그리고 지질의 불포화도는 Penicillium속이 Aspergillus속보다 높았다. 한편 지방산 조성은 배양온도에 따라 변화를 보였으나 대부분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는데 Aspergillus fumigatus와 Penicillium notatum에서 저온 일수록 linoleic acid와 불포화도가 높아졌다.

  • PDF

한국산 황기의 분류학적 위치 및 유전적 분화 (Taxonomic position and genetic differentiation of Korean Astragalus mongholicus Bunge)

  • 최인수;김소영;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2-2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제주황기(Astragalus nakaianus)의 분류학적 위치를 명확히 하고 한국산 재배황기(A. mongholicus cultivar)의 올바른 학명을 부여하기 위하여 외부형태형질과 ITS 그리고 5구간의 cp non-coding DNA의 염기서열을 조사하였다. 또한 9개의 마이크로새털라이트 마커를 이용하여 3집단 61개체에 대한 유전적 구조가 분석되었다. 그 결과, 남한산 재배황기와 A. mongholicus var. dahuricus 사이에서는 형태와 ITS 염기서열상에서 유의한 차이점이 없었다. 제주황기는 A. mongholicus var. mongholicus 그리고 var. dahuricus와 줄기의 습성, 식물체의 길이, 엽축의 길이, 소엽의 길이 등에서 형태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ITS와 cp non-coding 구간 염기서열에서 제주황기는 황기(A. mongholicus)와 차이점을 보이지 않았지만, 마이크로새털라이트 분석에서 제주황기와 남한산 재배황기간에 뚜렷하게 구분된 구조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보았을 때, 한국산 재배황기는 A. mongholicus var. dahuricus로 처리해야 하며 제주황기는 A. mongholicus의 변종으로서 취급되어야 한다.

A Comparison Analysis of Monetary Policy Effect Under an Open Economy Model

  • Lee, Keun Yeong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제22권2호
    • /
    • pp.141-176
    • /
    • 2018
  • The paper analyzes and compares the effects of domestic monetary policy using DSGE, DSGE-VAR, and VAR based on a two-country open economy model of Korea and the U.S. According to impulse response analysis, a domestic interest rate hike raises won value in the case of DSGE and DSGE-VAR models, while in the case of the unrestricted VAR model, it lowers won value. In the marginal data density standard, DSGE-VAR (${\mu}=1$) is superior to DSGE or Bayesian VAR over the sample period. Conversely, in the in-sample RMSE criterion, especially for the won/dollar exchange rate, VARs are superior to DSGE or DSGE-VAR. It is necessary to study further if these differences are caused by model misspecification or omitted variable bias.

채취지역에 따른 미역취 정유의 화학적 성분 (Chemical Composition of the Essential Oils from Solidago virga-aurea var. asiatica Nakai with Different Harvesting Area)

  • 최향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57-265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olatile flavor composition of essential oils from Solidago virga-aurea var. asiatica Nakai with different harvesting area. The essential oils obtained by the hydrodistillation extraction method from the aerial parts of the plant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GC) and GC-mass spectrometry (GC-MS). Ninety-five (91.61%)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the essential oils from the S. virga-aurea var. asiatica Nakai harvested in Koheung, Jeolanamdo. The major compounds were hexadecanoic acid (29.22%), 7-hexyl eicosane (9.12%), spathulenol (7.701%), 3,8-dimethyl decane (6.48%), caryophyllene oxide (4.52%) and α-copaene (4.23%). Fifty-seven (97.43%)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the essential oils from the S. virga-aurea var. asiatica Nakai harvested in Seoguipo, Jejudo. The major compounds were 2-carene (40.95%), α-copaene (10.77%), α-muurolene (5.81%), and spathulenol (3.11%).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essential oil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quality and quantity with the different harvesting area. The quantitative variations of hexadecanoic acid, 7-hexyl eicosane, spathulenol, 3,8-dimethyl decane, caryophyllene oxide, 2-carene, and α-copaene according to different harvesting area can serve as a quality index of the S. virga-aurea var. asiatica Nakai essential oils in food industries.

Aspergillus awamori var. fumeus에 의한 아플라톡신의 분해 (Aflatoxin Degradation by Aspergillus awamori var. fumeus)

  • 양진오;이성택;김영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2호
    • /
    • pp.182-186
    • /
    • 1988
  • A. flavus ATTC 15517를 A. awamori var. fumeus와 함께 혼합배양 하였을 때 단독배양과 비교하여 aflatoxin의 생성시기는 변하지 않았으나 최대생산량은 $B_1$$97\;{\mu}g/50ml$$G_1$$21\;{\mu}g/50ml$로서, 이는 각각 98% 및 99% 감소한 것이었다. 이는 A. awamori var. fumeus가 균사 성장중 aflatoxin을 분해하는 물질을 배지로 분비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 물질은 유안($0{\sim}80%)$포화)에 의하여 침전되었다.

  • PDF

단풍딸기및 긴잎단풍딸기의 분류학적 정체성과 한반도 내 분포 (The taxonomic entity and distribution of Rubus palmatus var. palmatus and R. palmatus var. coptophyllus (Rosaceae) in Korea)

  • 양지영;이웅;김승철;박재홍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21-226
    • /
    • 2015
  • 안면도와 거제도에서 한반도 미기록식물인 장미과 산딸기속의 Rubus palmatus Thunb. var. palmatus을 발견하였고, 긴잎단풍딸기로 국명을 새롭게 부여하였다. 단풍딸기(R. palmatus var. coptophyllus (A. Gray) Kuntze)와는 잎이 3개로 갈라지거나 혹은 거의 갈라지지 않는 특징으로 구별된다. 또한 한반도 분포가 확인된 바 없는 단풍딸기의 거제도 분포를 처음으로 보고하였다. 마지막으로UPS에 소장된 Thunberg의 표본(UPS-THUNB. 12282)을 선정기준표본으로 지정하였다.

비둘기와 수생조류(水生鳥類)에서 분리(分離)한 Salmonella속균(屬菌)의 혈청형(血淸型) 및 생물형(生物型) (Serotype and biotypes of Salmonella strains isolated from pigeons and aquatic birds)

  • 박노찬;최원필;이희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93-201
    • /
    • 1990
  • An attempt was made to isolate Salmonella(S) organisms from a total of 4,587 fecal samples of birds during the period from May 1987 to March 1988, and serotype and biotypes of the isolates were also investigated. One hundred and sixty-six Salmonella strains were isolated from 151(3.3%) of 4,587 fecal samples of birds, and their serotype was all identified as S typhimurium var copenhagen. The positive samples of S typhimurium var copenhagen were 149 samples(5.1%) in pigeons and 2 samples (0.8%) in aquatic birds. No Salmonella was obtained from ducks, pheasant, and other birds. The isolation frequencies of S typhimurium var copenhagen from pigeons varied from 1.1 to 12.8% at 5 parks, it was higher in September and November. Biotypes of 166 S typhimurium var copenhagen strains isolated from pigeons and aquatic birds were all biotype 10 according to Brandis' method, and were biotype 25hi (78.3%), 27 hi (14.5%), 25 fhi (3.6%), 25 bhi (1.8%), 27 bhi (0.6%), 27 hiz (0.6%), and 9 hi (0.6%) according to Duguid's scheme. Appearance of different biotypes indicated the occurrence of exotic infection sources on the park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