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Sugars

검색결과 482건 처리시간 0.023초

지리오갈피 발효주의 숙성 중 품질변화 (Developing the Quality of Traditional Fermented Liquor Using Acanthopanax chiisanensis)

  • 김명석;조수정;이상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0-76
    • /
    • 2020
  • 지리오갈피(Acanthopanax chilsanensis)를 이용한 지역 특산품 개발 및 소비촉진을 목적으로 지리오갈피 발효주를 개발하여 5~10℃, 60일 동안 숙성시키면서 발효숙성주의 품질특성 등을 검토하였다. 숙성 기간 동안 발효숙성주 중의 환원당 함량은 약간 감소하였으나 총산의 함량은 아주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지리오갈피 뿌리, 줄기 및 열매로 제조한 발효숙성주 중의 유기산 함량은 3종류의 숙성주 모두 lactic acid, form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 및 acetic acid의 순으로 그 농도가 높게 검출되었다. 그리고 유리당은 3 종류의 숙성주 모두 sucrose, glucose 및 mannose 등의 유리당이 검출되었으며 이들 중 glucose 함량이 모든 시험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Acanthoside-D 함량은 줄기 첨가 발효숙성주에서 64.12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발효주와 발효숙성주의 acanthoside-D 함량을 비교해 보면 발효숙성주에서 약간 높아지기는 했으나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숙성주 중의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뿌리, 줄기 및 열매의 발효숙성주에서 각각 1,858.9, 2,855.1 및 2,672.2 mg/l로 나타났다. 숙성주의 색도를 검토한 결과 뿌리와 줄기를 첨가한 숙성주에서는 거의 유사한 L, a, b값을 나타내어 발효숙성주의 색깔도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열매를 첨가한 숙성주에서는 L값이 낮고, a값이 높아 붉은 색을 많이 띄었다.

천년초에서 분리한 항전이 다당의 구조 분석 (Structural Analysis of Anti-metastatic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Opuntia humifusa)

  • 최정호;신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14-222
    • /
    • 2011
  • 천년초에 존재하는 점질다당의 새로운 이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천년초로부터 다당을 분리하여 항전이 활성을 평가하고 구조 분석을 행하였다. B16BL6 종양세포를 이용한 폐암 전이모델에서 천년초 조다당 CNC-0는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항전이 활성을 나타냈다. 천년초 조다당 CNC-0는 DEAE-Sepharose FF 및 Sephadex G-75를 이용한 연속적 chromatography를 행하여 CNC-Ia으로 정제하고 이들의 구조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CNC-Ia는 분자량 약 700 kDa의 다당체로 구성당 조성을 확인한 결과, arabinose, galactose 및 xylose를 높은 비율로 함유하고 있었으며 rhamnose와 fucose를 미량 함유하고 있었다. 본 당쇄의 결합양식을 규명하기 위해 methylation analysis를 행한 결과 CNC-Ia은 terminal Araf, 5-linked Araf, 4-linked Galp, terminal Xylp와를 포함한 총 18종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full branched Araf, 3,4,6-branched Galp 및 full branched Galp 와 같은 3종의 CNC-Ia 고유의 특징적 결합을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CNC-Ia의 미세구조를 규명하기 위해 exo-${\alpha}$-Larabinofuranosidase와 endo-${\beta}$-1,4-D-galactanase를 이용한 연속 가수분해 및 해석도 행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천년초 유래 다당 CNC-Ia는 ${\beta}$-($1{\rightarrow}4$)-galactan 주쇄에 arabinose oligo당이 측쇄로 분지된 Type I arabinogalactan으로 판단되었으며 주쇄 및 측쇄 모두 고도로 분지된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내 복분자 주요 산지별 복분자주 제조 및 발효특성 분석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lack Raspberry Wines from Different Regions During Fermentation)

  • 이승주;안봄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662-667
    • /
    • 2009
  • 국내 복분자 생산 주요 산지인 고창, 순창, 정읍과 횡성산 복분자를 수거하여 각 산지별 복분자주를 제조하고 이들 시료의 발효 및 숙성과정에서 이화학적 성분 변화를 관찰하였다. 원료 복분자의 pH는 3.43-3.52 수준으로 산지별 차이가 없었고 발효과정 중에도 pH는 산지별 비슷한 수치를 보이며 변화하였다. 총산도는 고창산 복분자주가 발효초기(9.98 g/L)와 발효 후(13.43 g/L) 모두 다른 산지의 복분자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원료 복분자의 초기 당도는 $6.9-7.8^{\circ}Bx$로 비슷하였고, 발효 후 복분자주의 알코올 함량은 15.8-16.4% 범위였다. 환원당 함량은 원료복분자의 경우 2.57-4.49 g/100 mL이었고, 복분자주의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당이 알코올로 발효되면서 감소하여 최종 1.3-1.47 g/100 mL로 나타났다. 산지별 차이를 많이 보인 이화학적 특성으로는 총 페놀함량과 색도, hue, intensity를 들 수 있다. 총 페놀함량은 정읍산 복분자주(4405.5 mg/L)가 다른 지역산 시료에 비해 2배 정도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고, 색도 또한 정읍산이 원료 복분자와 최종 복분자주에서 모두 다른 시료에 비해 낮게 나타나 가장 짙고 불투명한 붉은색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고창, 횡성, 순창산 복분자주는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고, 정읍 제품은 차이를 보였다. 향후 복분자주에 대한 품질 관리 및 개선을 위해 연도별 및 지역별 복분자 및 복분자주의 다양한 이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 작업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유자 착즙액 첨가 아이스크림의 영양학적 특성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Ice Cream Added with Citron(Citrus junos Sieb ex Tanaka) Juice)

  • 김성현;최덕주;신정혜;이준열;성낙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12-219
    • /
    • 2004
  • 유자 착즙액과 동결시킨 착즙액의 첨가 비율을 달리한 아이스크림을 제조하여 관능적 특성 및 영양성분을 분석하였다. 비타민 C는 대조군과 동결 유자즙 1%를 첨가한 경우 검출되지 않았으며 생 유자즙을 3% 첨가한 경우 4.7 mg/100g 이었으나 동결 유자즙 3%첨가군 1 mg/100g으로 그 함량이 월등히 낮았다. 유리당은 sucrose, lactose 및 maltose가 검출되었으며 전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그 함량이 낮았으며 유자즙의 첨가비율이 높을수록 유리당의 함량은 낮았다. 유자 아이스크림 중의 유기산은 oxalic acid, malonic acid, malic acid 및 citr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citr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생유자즙을 이용한 아이스크림에서 citric acid는 즙의 첨가비율과 비례적으로 증가하여 3% 첨가군의 경우 6.3 mg/100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다. 그러나 동결유자즙을 첨가한 실험군에서는 첨가비율에 관계없이 0.5-0.6 mg/100g으로 낮은 함량이었다. 아이스크림중의 무기물은 동결하지 않은 유자즙을 3% 첨가한 군에서 3399.96 mg/100g으로 가장 높았고, 인, 칼슘 및 나트륨의 순서로 그 함량이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유자향과 유자맛은 동결하지 않은 유자즙을 3% 첨가하였을 때 가장 많이 느낄 수 있었으나 떫은 맛과 신맛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동결 유자즙 2% 첨가군이 가장 좋았다. 영양학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 모두를 고려할 때 동결하지 않은 유자즙 3% 첨가군이 가장 우수하였다.

발아조건 및 건조방법이 발아현미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ermination Condition and Drying Method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prouted Brown Rice)

  • 김선림;손영구;손종록;허한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21-228
    • /
    • 2001
  • 1. 현미를 상온저장시 2주까지는 발아율에 차이가 없으나, 저장 3주후부터는 발아율이 급격히 감소되어 발아율이 80%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발아현미의 재배를 위해서는 도정후 2주 이내의 현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2. 24시간 침종처리가 무침종에 비하여 현미의 초기발아율이 약 2-3%증가되었고, $25^{\circ}C$는 현미의 발아율과 생육상태가 좋았을 뿐만 아니라 부패발생도 적었다. 3. 동결건조된 발아현미는 열풍건조된 발아현미와는 달리 호분층 및 내배유부분의 분리현상이 발생되었고, 배유의 전분 저장세포뿐만 아니라 전분립간의 균열현상이 관찰되었다. 4. 열풍건조는 동결건조 보다 유리하였고, 55$^{\circ}C$로 48시간 건조시 발아현미의 불쾌취가 제거되었다. 5. 조단백 및 amylose는 발아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함량의 변화가 미미하였으나 조회분, 조섬유 및 유리당은 발아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감소되었고, 조지방과 총아미노산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6. $\alpha$-amylase활력은 발아 5일부터 급격히 증가하다가 발아 8일부터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7. 유리당의 함량은 발아기간(0-8일)중 지속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며 sucrose와 glucose의 감소가 현저하였고 발아 5일 이후 fructose와 maltose는 증가되었다.

  • PDF

황기 지상부로부터 장관면역 활성 다당체의 분리 및 단회 경구 투여 독성시험 (Isolation of Polysaccharides Modulating Intestinal Immune System and Single Oral Dose Toxicity Test in Astragalus membranaceus Abovegroud Parts)

  • 최리나;박영철;이지선;김정우;김종봉;최유순;김광기;이재근;유창연;김승현;정일민;김재광;임정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76-288
    • /
    • 2014
  • The six polysaccharide fractions were prepared by chromatographic procedure from the hot water extracts of the aboveground par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These six polysaccharides from aboveground par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were tested for gut-mucosal immune activity and acute toxicity. In a view of molecular weight, the six fractions were estimated to be 75000, 88000, 129000 and 345000 Da, respectively. Component sugar analysis indicated that these fractions were mainly consisted of galactose (46.3 ~ 11.8%) and arabinose (35.4 ~ 9.9%) in addition to glucose, rhamnose, fucose, arabinose, xylose, mannose, glucuronic acid and galacturonic acid. Among the six major purified polysaccharides, AMA-1-b-PS2 showed highest bone merrow cell proliferation and lymphocyte of Peyer's patch stimulating activity. It may be concluded that intestinal immune system modulating activity of aboveground parts from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is caused by polysaccharides having a polygalacturonan moiety with neutral sugars such as arabinose and galactose. In single oral dose toxicity study,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control and treated groups in clinical sig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lethal dose 50 ($LD_{50}$) of water extracts from Astragalus membranaceus-aboveground parts was found to be higher than 5000 mg/kg/day in this experiment. From the above results, we may suggest that Astragalus membranaceus-aboveground parts might have useful as a safe material for functional food and pharmaceutics.

맥문동 열수추출액을 이용한 인삼정과의 품질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inseng JungKwa Produced with Hot-Water Extract from Maegmundong (Liriope platyphylla tubers))

  • 이가순;김관후;성봉재;김현호;송미란;김미리;이규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1819-1825
    • /
    • 2010
  • 인삼정과 제조 시 이용되는 당 용액 대신에 올리고당 함량이 높은 맥문동의 열수추출액을 이용하여 인삼정과를 제조한 후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맥문동 추출액으로 제조한 인삼정과는 가용성 무질소물인 탄수화물의 함량이 76.40%로 설탕으로 제조한 인삼정과의 80.01%에 비하여 약 4% 정도 낮았고, 조단백질 및 조회분 함량은 각각 1.46% 및 3.49%로 일반인삼정과의 0.59% 및 0.96%에 비하여 약 3배 이상 높았다. 맥문동 열수추출액을 이용한 인삼정과에서 유리당 조성 및 함량은 fructose가 32.42%로 가장 많았고, 그 외 올리고당이 16.91%, 설탕 및 이당류가 13.91%, glucose가 13.16%이었으며, Rh2를 비롯한 진세노사이드 11종이 검출되어 총 함량이 740.1 mg%로 일반 인삼정과(675.6 mg%)보다 더 높았다. 총 페놀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5.46과 0.016%로 일반인삼정과의 5.02와 0.014%보다 높았다. 맥문동 열수추출액으로 제조한 인삼정과의 항산화활성은 DPPH $IC_{50}$값이 인삼정과 중량기준으로 약 34.5 mg/mL 이었으며, hydrogen peroxide 소거능은 $50{\mu}g$/mL의 농도에서 92%의 소거능을 보여주었다.

밀감 가공부산물에서 추출한 펙틴의 특성 (Properties of Pectin Extracted from By-product in Citrus Processing)

  • 박용곤;강윤한;차환수;김흥만;석호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59-664
    • /
    • 1996
  • 밀감 가공부산물에서 추출한 펙틴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알콜불용성 고형물(ASS)의 함량은 albedo층이 18.1%로 가장 높고, pulp가 5.7%로 가장 낮았다. AIS 구성 다당류 중 펙틴은 pulp와 albedo층이 각각 40.5% 및 35.2%로 구성되어 있어 펙틴 추출용으로서 좋은 소재인 것으로 나타났다. 총 펙틴 함량은 부위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대체로 AIS에 대해 30% 내외 이었으나, 가용성 펙틴 중 염산 가용성 펙틴의 경우에는 flavedo층이 14.0%로 가장 높고, pulp가 4.4%로 가장 낮았으며, 염류 가용성 펙틴의 경우에는 pulp부위가 15%임 에 비해 과피는 7% 정도로서 부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0.05N-HCI을 사용하여 $85^{\circ}C의$ 열탕에서 펙틴을 추출한 결과 60분의 가열처리로 90%이상의 펙틴이 용출되었으며, microwave의 경우 5분간 2회 조사시킴에 의해 90% 정도 추출되었으나 부위별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고, 이들 펙틴의 에스테르화도에 있어서는 microwave 처리구의 것이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추출 펙틴의 중성 당 조성을 조사한 결과 rhamnose, arabinose, galactose, glucose 및 xylose로 구성되고 있고, 이중 galactose가 60~78% 정도를 차지한 반면 xylose는 5% 이하이었다. 펙틴의 분자량 분포를 Sepharose CL-4B를 이용,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조사한 결과 부위별에 따른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pulp의 경우 분리 피크가 2개로 나타나 pulp를 구성하는 펙틴은 분자량이 높은 것과 이보다 낮은 두 group으로 구성되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즙장제조(汁醬製造)에 있어서 섬유소류(纖維素類) 분해효소(分解酵素)의 첨가효과(添加效果) (Effects of Cellulolytic Enzyme on the Geep-Jang Processing)

  • 임국이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7권3호
    • /
    • pp.45-50
    • /
    • 1974
  • 즙장(汁醬)을 곡류(穀類) 이외(以外)에 가지, 오이, 고추와 같은 야채류(野菜類)를 원료(原料)로 하여 고온(高溫)$(55{\sim}60^{\circ}C)$)과 실온(室溫)에서 약(約) 일주일내(一週日內) 발효숙성(醱酵熟成) 시키면서 숙성중(熟成中) 일반성분(一般成分)의 변화(變化)를 측정(測定)하였고 섬유소류(纖維素類) 분해효소(分解酵素)의 첨가(添加)에 의(依)한 원료분해(原料分解) 촉진관계(促進關係)를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당분(糖分)은 각(各) 구(區)가 담금 후 $20{\sim}40$시간(時間) 후(後)에 급격(急激)히 증가(增加)하였다. 2) G-5에서 당분(糖分)이 제일 많았던 것은 탄수화물원(炭水化物源)이 많았고 섬유소류(纖維素類) 분해효소(分解酵素)에 의(依)한 당분생성(糖分生成)이 촉진(促進)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3) G-1과 G-3의 당분생성률(糖分生成量)의 차이(差異)는 효소액(酵素液) 첨가(添加)의 유무(有無)에서 온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재래식(在來式) 메주가루를 사용(使用)하였을 때는 이 차이(差異)가 더욱 현저(顯著)하였다. 4) Amno-Nitrogen는 효소액(酵素液)을 첨가(添加)한 구(區)가 대조구(對照區)보다 대체적(大體的)으로 많았다. 5) 섬유소류분해효소(纖維素類分解酵素)를 첨가(添加)하면 장류(醬類) 숙성기간(熟成期間)을 단축(短縮)시킬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f a Korean Diet Score (KDS) and its application assessing adherence to Korean healthy diet based on the Korean Food Guide Wheels

  • Lee, Myoungsook;Chae, Soo Wan;Cha, Youn-Soo;Cho, Mi Sook;Oh, Hea Young;Kim, Mi Ky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7권1호
    • /
    • pp.49-58
    • /
    • 2013
  • The most critical point in the assessment of adherence to dietary guidelines is the development of a practical definition for adherence, such as a dietary pattern sc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Korean Diet Score (KDS) based on the Korean Food Balance Wheel and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KDS with various lifestyle characteristics and biochemical factors. The dietary data of 5,320 subjects from the 4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food guide was composed of six food group categories; 'grain dishes', 'fish and meat dishes', 'vegetable dishes', 'fruits', 'milk' and 'oils and sugars'. Based on the recommended serving numbers for each group, the scores measuring adherence to this food guide were calculated from the dietary information from the 24-hour dietary recall questionnaire, and then its correlation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was assessed. KD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veral clinical, lifestyle and socioeconomic factors as well as diagnosed disease history. The higher quintile group of KDS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level in fasting blood glucose, systolic blood pressure, triglycerides, current smoking and drinking as well as higher leisure time activity, house income and education. Furthermore, the KDS quintile group of women was inversely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osteoporosis and diabetes. A higher KDS quintile was characterized with a higher intake of several critical nutrients, such as Ca, Fe and vitamins as well as a desirable nutrition balance such as the ratio of macronutrients.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KDS is a beneficial tool in assessing the adherence to a healthy diet based on the Korean dietary guidelines. We suggest that KDS could be a useful indicator for evaluating the dietary balance of the Korean pop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