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MAC

검색결과 921건 처리시간 0.027초

무선 네트워크에서 QoS 보장을 위한 MAC 향상 기법 (A MAC Enhancement Technique for Quality of Service Guarante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이동건;김병훈;탁성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1446-1459
    • /
    • 2008
  •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 방식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모든 무선 단말간의 통신이 무선 AP(Access Point)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무선 단말이 음영지역으로 이동하면 무선 단말과 무선 AP간의 통신이 단절되고, 무선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다른 무선 단말과의 통신도 단절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반 통신 시설이 없이도 무선 단말간의 끊김없는 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애드혹(ad hoc)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고려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애드혹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홉 간 다중 경로(Hop-by-Hop Multipath)에 전달되는 MAC (Medium Access Control) 프레임의 마감시한을 보장하여 응용 서비스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DNSQ-MAC (Dynamic Network State aware Quality of service - Medium Access Control) 기법을 제안하였다. DNSQ-MAC 기법은 애드혹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에서 동적으로 변하는 네트워크 상태에 적응하여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킨다. Qualnet을 이용한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된 기법의 성능을 평가한 결과, DNSQ-MAC 기법은 홉 간 다중 경로에서 전달되는 MAC프레임의 마감시한을 보장하고, MAC계층의 상위 계층인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되는 다양한 라우팅 프로토콜 및 패킷 스케줄러에서도 향상된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였다.

  • PDF

QoS Provisioning in Wireless Body Area Networks: A Review on MAC Aspects

  • Thapa, Anup;Shin, Seok-Jo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6권5호
    • /
    • pp.1267-1285
    • /
    • 2012
  • Wireless Body Area Networks (WBANs) deal with variety of healthcare services with diverse Quality of Service (QoS) requirements. However, QoS handling is a challenging problem in such networks. In general, QoS related problems can be addressed from different layers in the networking protocol suite. Design of an efficient QoS aware Medium Access Control (MAC) protocol can address this problem in MAC layer. This paper analyzes the QoS requirements of WBAN, identifies the requisites of QoS handling system, and outlines the trends that are being followed for its advancement with focus on QoS issues at MAC layer. We review some prior works, compare them, and analyze the current research concerned with problem of providing QoS in WBAN. We also explore some open issues and discuss them.

UWB 기반 Distributed MAC 시스템을 위한 SoQ 기반 협력 통신 프로토콜 설계 (Design of SoQ-based Cooperative Communication Protocol for UWB-based Distributed MAC/WUSB Systems)

  • 허경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45-355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UWB 기술 기반 WiMedia Distributed Medium Access Control (D-MAC) 무선 USB 표준 프로토콜에 적용할 수 있는 Satisfaction of QoS (SoQ) 기반 협력 통신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UWB 링크 전송 속도와 QoS 척도에 따른 릴레이 노드 선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SoQ 기반 협력 통신 프로토콜은 분산적인 D-MAC 무선 USB 표준 기술과 호환성을 갖고, 각 디바이스에서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SoQ 기반 Relay Node Selection (RNS) 기준에 따라 실행된다.

MacCormack 방법의 개량에 대한 연구 (Some Modifications of MacCormark's Methods)

  • 하영수;유승재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93-97
    • /
    • 2005
  • MacCormack 방법은 hyperbolic 편미분 방정식의 근을 구하는데 많이 쓰이는 방법으로 그 정확도가 2차 오더가 된다. 하지만 이 방법으로 편미분방정식을 풀 경우 불연속인 점에서는 엔트로피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우리는 임의의 항을 첨가하여 근을 구해야한다. 이 임의의 항을 첨가하지 않고 직접 방정식으로부터 구하는 방법을 생각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MacCormack 방법에 새 central scheme의 개념을 이용하면 전형적인 MacCormack 방법의 정확도와 장점을 보존할 수 있다. 이 새로운 방법을 이용하여 1D Burgers' 방정식과 1D Euler gas dynamic 방정식에 활용하여 그 결과를 살펴본다.

  • PDF

HomePNA 2.0 MAC 프로토콜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HomePNA 2.0 MAC Protocol)

  • 김종원;김대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10A호
    • /
    • pp.877-885
    • /
    • 2005
  • Home Phoneline Networking Alliance (HomePNA) 2.0 기술은 기존의 댁내 전화 선로를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기술로서, 4-32 Mbps의 고속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이러한 HomePNA 2.0의 Medium Access Control(MAC) 프로토콜은 IEEE 802.3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CSMA/CD) 방식을 사용하면서, Quality of Service(QoS) 알고리즘을 제공하구 충돌 해결 알고리즘은 Distributed Fair Priority Queuing(DFPQ)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본 논문은 HomePNA 2.0 MAC 프로토콜 성능의 중요 요소인 포화 처리율(Saturation Throughput), 패킷 지연(Packet Delay) 및 패킷 지터(Packet Jitter)에 대한 수학적인 모델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모의 실험(Simulation) 결과를 제공하며, 각각의 모의 실험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HomePNA 2.0 MAC 프로토콜의 성능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HomePNA 2.0 MAC Controller 회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omePNA 2.0 MAC Controller Circuit)

  • 김종원;김대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1A호
    • /
    • pp.1-10
    • /
    • 2006
  • Home Phoneline Networking Alliance(HomePNA) 2.0 기술은 기존의 댁내 전화 선로를 사용하여 홈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기술로서, 4-32 Mbps의 고속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이러한 HomePNA 2.0의 Medium Access Control(MAC) 프로토콜은 IEEE 802.3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CSMA/CD) 방식을 사용하면서, Quality of Service(QoS) 알고리즘을 제공하고, 충돌 해결 알고리즘은 Distributed Fair Priority Queuing(DFPQ)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본 논문은 HomePNA 2.0 MAC 프로토콜의 성능 분석 결과와 HomePNA 2.0 MAC Controller의 요구 사항을 기술하고, 우리가 설계한 HomePNA 2.0 MAC Controller 회로의 구조를 제시하며, HomePNA 2.0 MAC Controller를 구성하는 각 블록의 모의 실험 결과를 제공하고, 우리가 구현한 HomePNA 2.0 Transceiver 칩을 제시한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에너지 절감을 위한 SR패킷 MAC 프로토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R Packet MAC Protocol for Energy Saving in Wireless Sensor Network)

  • 박재성;이종용;이상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646-1652
    • /
    • 2010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은 여러 계층으로 나뉘어 각 계층별 역할을 수행하므로 무선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통신계층 중 하나인 MAC(Medium Access Control)계층은 데이터의 에러, 흐름을 제어하고 자원을 관리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MAC Protocol을 사용하여 센서 노드간의 통신을 보장한다.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효율성 측면을 강조한 S-MAC. T-MAC 프로토콜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SYNC 패킷에 RTS 패킷이 추가된 기법을 이용하여 컨트롤 패킷 전송 시간동안 꼭 필요한 노드만 컨트롤 패킷을 송수신하고, 나머지 노드들은 Sleep 함으로써, 모든 노드가 깨어있는 시간을 효율적으로 줄여 에너지 효율성을 강조하였다. SYNC+RTS 패킷을 보내고 패킷을 받는 노드는 순간 자신이 이번 주기 동안 깨어 있을 필요가 없음을 알고 바로 Sleep모드로 들어가서 기존의 MAC프로토콜보다 에너지가 효율적임을 수학적으로 증명하고 MATLAB으로 시뮬레이션 하였다.

QoS 보장을 위한 Cognitive Radio 기반의 동적인 스펙트럼 할당 MAC 프로토콜 (Dynamic Spectrum Allocation MAC Protocol based on Cognitive Radio for QoS Support)

  • 손선봉;조인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8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5 No.1 (D)
    • /
    • pp.155-159
    • /
    • 2008
  • 비능률적인 스펙트럼 이용률과 제한적인 스펙트럼 밴드 사용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Cognitive Radio가 중요한 솔루션으로써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 채널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QoS 보장을 위하여 Cognitive Radio 기반의 동적인 스펙트럼 할당 (Dynamic Spectrum Allocation)을 이용한 새로운 MAC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유동적인 스펙트럼은 DSA 메커니즘을 통한 QoS 보장을 위하여 할당 된다. 그리고 동적인 스펙트럼 할당 (DSA)은 컨트롤 채널의 FRQ/FRP/ACK-hello와 데이터 채널의 DATA/ACK에 의하여 동작한다. 스펙트럼 공유의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한 협력 검출 (Cooperative Detection)을 위하여, MAC 프로토콜에서는 Hello 메시지가 주기적으로 교환된다. 추가적으로, 성능 평가를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DSA-MAC이 IEEE 802.11 MAC에 비하여 높은 데이터 처리량을 보임을 증명했다.

  • PDF

IEEE 802.15.3 Wireless PAN의 MAC에서 다중채널의 적용 (MAC Enhancement by Utilizing Multiple Channels in IEEE 802.15.3 High-Rat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 이병주;이승형;최웅철;정광수;이장연;조진웅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8A호
    • /
    • pp.656-663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5.3 High-Rate 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환경에서 다중 채널을 사용하여 향상된 성능의 MAC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IEEE 802.15.3 High-Rate WPAN은 10m 내외의 거리에서 실시간 비디오 및 대용량 파일 전송을 목적으로 설계된 MAC과 PHY의 표준을 말한다. 현재 표준의 MAC 프로토콜은 하나의 무선 채널을 piconet 내의 모든 DEV가 공유하여 사용한다. 이 중 PNC(Piconet Coordinator)는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으로 DEV들에게 채널타임을 할당한다. 이런 경우 piconet내의 통신하는 DEV의 수가 많아지게 되면 superframe의 길이가 길어져 전송되는 데이터의 aggregate throughput이 떨어지고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 하나의 piconet이 여러 개의 채널을 동시에 사용하여 aggregate throughput을 향상시키고 QoS를 보장하는 다중채널 MAC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향상된 성능을 증명한다.

WBAN 환경에서 응급 데이터 전송을 위한 우선순위 기반 MAC 프로토콜 (A Priority Based MAC Protocol for Emergency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Body Area Networks)

  • 이협건;이경화;신용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9권4호
    • /
    • pp.26-33
    • /
    • 2012
  •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s)은 인체를 기준으로 인체 내 외부로부터 반경 3미터 이내의 무선통신이다. WBAN은 WBAN MAC 프로토콜 요구사항에 적합한 IEEE 802.15.4 MAC 프로토콜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IEEE 802.15.4 MAC 프로토콜은 QoS(Quality of Service)를 요구하는 응용프로그램들의 패킷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비경쟁 접근 방식에 의한 GTS(Guaranteed Time Slot) 할당 기법을 지원한다. 그러나 IEEE 802.15.4 MAC 프로토콜의 GTS 할당 기법은 패킷이 도착한 순서에 따라 채널을 할당하는 FIFS(First In First Service) 큐잉을 사용하여 패킷을 처리함으로서 데이터 전송 신뢰도를 저하시키고, 전송 지연이 발생하여 응급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응급 데이터 전송을 위한 우선순위 기반 WBAN MAC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MAC 프로토콜은 전송하려는 데이터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응급 데이터의 GTS 요청 처리율을 높이고 GTS 할당 지연시간을 감소시켜 응급 데이터 전송 신뢰도를 향상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