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 대역

Search Result 1,978,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Ultra-wideband BSF Using Multi-stage FSCS (다단 FSCS를 이용한 초광대역 특성의 대역저지 필터)

  • Yun, Tae-S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5 no.3
    • /
    • pp.439-444
    • /
    • 2020
  • In this paper, the analysis of the FSCS (frequency-selected coupling structure) as the coupling coefficient and multi-stage FSCS for enhanced bandstop bandwidth is suggested. The FSCS is composed by the connected coupled-line and open-stub. Basically,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FSCS is given by the electrical length of the stub, and the bandwidth is controlled by the coupling coefficient. Multi-stage FSCS is made by addition of another FSCS with the half electrical length. Manufactured bandstop filter using 3 stage FSCS is measured with the stopband of 177.3% and the maximum return loss of 1dB.

Respond System for Low-Level DDoS Attack (저대역 DDoS 공격 대응 시스템)

  • Lee, Hyung-Su;Park, Jae-Py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10
    • /
    • pp.732-742
    • /
    • 2016
  • This study suggests methods of defense against low-level high-bandwidth DDoS attacks by adding a solution with a time limit factor (TLF) to an existing high-bandwidth DDoS defense system. Low-level DDoS attacks cause faults to the service requests of normal users by acting as a normal service connection and continuously positioning the connected session. Considering this, the proposed method makes it possible for users to show a down-related session by considering it as a low-level DDoS attack if the abnormal flow is detected after checking the amount of traffic. However, the service might be blocked when misjudging a low-level DDoS attack in the case of a communication fault resulting from a network fault, even with a normal connection status. Thus, we made it possible to reaccess the related information through a certain period of blocking instead of a drop through blacklist. In a test of the system, it was unable to block the session because it recognized sessions that are simply connected with a low-level DDoS attack as a normal communication.

Auto-compatibility Analysis for Ka-band payload of COMS

  • Park, Jae-Woo;Lee, Seong-Pal;Baek, Myung-Jin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2 no.2
    • /
    • pp.41-47
    • /
    • 2007
  • The first geostationary satellite made by Korea, COMS, has the three different payload ; Meteorological sensor, Oceanographic sensor and Ka-band communication payload. There are Meteorological & Ocean Data Communication Subsystem(MODCS) and Telemetry, Command and Ranging Subsystem(TC&R) as other RF radiation sources. MODCS transmits and receives Meteo and Ocean measurement data from/to earth using L-band and TC&R using S-band. The Ka-band communication payload will provide high-speed multimedia services and communication services for natural disaster such as prediction, prevention, and recovery services in the government communications network.Ka-band beacon is for the earth antenna pointing and the experiment of rain fading. This paper gives the analysis results about the mutual radiation effect on Ka-band communication payload, Ka-band beacon, MODCS and TC&R. Up/Down link power and coupling factor including the geometrical position and distance of antenna, filter rejection and degradation factor due to the different polarization are considered. The results show MODCS and TC&R are compatible for Ka-band communication payload and Ka-band beacon does not interfere with MODCS and TC&R normal operation.

  • PDF

Design of Multi-Band Internal Antenna for Handset Applications Including Media-FLO Band (미디어플로대역을 포함하는 단말기용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의 설계)

  • Lee, Hyun-Kyu;Lee, Byung-Je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7 no.3
    • /
    • pp.48-55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a design of a multi-band infernal antenna for mobile handsets which can cover the major mobile services such as WiBro/WiMAX mobile internet services and Media-FLO/S-DMB services. Using wideband monopole antenna structure, the proposed antenna obtains the wide bandwidth characteristic at high Sequency band to be applicable for new mobile services. Stacking meandered radiator on the wideband monopole radiator and obtaining the different current path and lenga on these stacked radiators, overall antenna volume is effectively reduced. The measured bandwidths (VSWR<3) of the proposed antenna is 270 MHz and 2032 MHz at low and high band, respectively. This antenna can effectively covers major wireless communication bands including Media-FLO, CDMA, GSM, GPS, DCS, PCS, UMTS, WiBro, WiMAX, and S-DMB.

  • PDF

정지궤도 복합위성 주파수 및 궤도 확보를 위한 국제등록 현황 분석

  • Baek, Myeong-Ji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81.1-181.1
    • /
    • 2012
  • 정지궤도 복합위성은 기상관측용 기상위성과 해양 및 환경관측용 해양/환경위성으로 계획되어있다. 기상위성은 2017년 발사, 해양/환경위성은 2018년 발사를 목표로 연구개발이 수행되고 있다. 정지궤도위성은 주파수 및 궤도 자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 국제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위성의 궤도위치와 주파수 자원에 대한 선행연구가 필수적이며, 이러한 연구는 기상위성업무용 및 지구탐사위성 업무용 주파수 자원에 대한 관련 전파규칙 분석 작업 등의 업무가 함께 수행되어야 한다. 정지궤도 복합위성은 관제용 주파수 대역으로 L 대역 또는 S 대역이 가용 주파수 대역이고, 기상, 해양 및 환경 원시 데이터 전송용 주파수 대역은 X 또는 Ka 대역이 가용 주파수 대역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기상위성업무용 및 지구탐사위성업무용으로 가용한 L, S, X 및 Ka 주파수 대역을 검토하였고, 동 대역을 이용하여 국제등록 중인 위성망과 주요 위성망들의 전송제원 등에 대한 국제등록 현황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을 통하여 작성된 자료들은 향후 우리나라 정지궤도 위성망 궤도 및 주파수 자원 확보를 위한 국제등록에 활용될 수 있도록 분석하였다.

  • PDF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a S / X Dual Broad Band Patch Antenna with Shared Aperture Structure (개구면 공유 구조를 가지는 S / X 이중 광대역 패치 안테나의 방사 특성)

  • Kwak, Eun-Hyuk;Lee, Yong-Seung;Kim, Boo-Gyou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26 no.8
    • /
    • pp.718-729
    • /
    • 2015
  • A S / X dual broad band patch antenna with shared aperture structure is fabricated. A $2{\times}2$ perforated patch is used for S-band operation and a $2{\times}2$ patch antenna array is integrated in the $2{\times}2$ perforation for X-band operation. The measurement results of a S / X dual broad band patch antenna with shared aperture structure show the broad band characteristics larger than 20 % in both bands.

Analysis of identification of Spectrum for HDFSS (HDFSS 주파수 분배 동향 분석)

  • Oh, D.S.;Ahn, D.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7 no.5 s.77
    • /
    • pp.149-156
    • /
    • 2002
  • 2000년에 개최된 세계전파통신회의에서는 차기 회의까지 글로벌 환경에서의 고밀도 고정위성업무를 위한 주파수 분배에 대한 연구를 의제로 결정하였다. 이후 ITU-R 회의에서는 17.3GHz 대역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HDFSS에 적합한 주파수 대역을 연구하고 있는 중이다. 본 고에서에서는 국내 주파수 분배를 고려하여 적절한 HDFSS 주파수 대역을 고찰하고, 외국의 주파수 분배 현황에 대해 비교 검토하였다.

Review of the Transfer Function and Coupling Configuration for Microwave Filter (마이크로파 필터의 전달 함수 및 결합 구조 고찰)

  • Uhm, M.S.;Lee, J.S.;Yom, I.B.;Lee, S.P.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8 no.2 s.80
    • /
    • pp.67-78
    • /
    • 2003
  • 모든 RF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마이크로파 필터는 통과 대역에서 에너지를 전달하고, 저지 대역에서 에너지를 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주파수 사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대역내 평탄도 및 군지연 특성이 우수하고, 대역외에서 높은 감쇄를 갖는 필터 개발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본 고에서 필터 개발에 필수적인 전달 함수 특성 및 결합 구조에 관하여 고찰한다.

저궤도위성 S 대역 송신기 성능 분석

  • Jo, Seung-Won;Gwon, Jae-Uk;Choe, Jong-Yeon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11.04a
    • /
    • pp.33.2-33.2
    • /
    • 2011
  • 현재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개발 중인 저궤도 위성에는 원격측정명령계 유닛 중의 하나로 S 대역 송신기가 탑재된다. S 대역 송신기는 위성의 상태 정보와 저장된 데이터를 받아 이를 S 대역으로 변조하여 RF 신호로 전송한다. 지상국에서는 이를 수신하여 다시 복조 후 데이터를 추출해 낸다. S 대역 송신기는 위성과 지상간의 링크버짓을 만족하도록 일정한 성능을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발사 전 송신기의 성능을 측정하고 요구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한다. 기본적인 성능 측정 이외에 송신기에 요구되는 또 하나의 요소는 측정 이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도 송신기 성능에 저하가 없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IT 전 기간에 걸쳐 송신기의 성능 측정 결과에 대한 추이를 지켜보아 송신기가 가지고 있는 경향성을 판단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에 대한 결과 값을 제시하고 송신기의 성능과 경향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Status of Studies on Regulatory Provisions for HAPS (성층권 통신 시스템(HAPS) 규정 연구 현황)

  • Lee, S.M.;Park, J.M.;Ku, B.J.;Ahn, D.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2 no.3 s.105
    • /
    • pp.166-173
    • /
    • 2007
  • WRC-97에서 HAPS 개념이 도입된 후, HAPS 이용 주파수 대역으로 IMT-2000 대역과 Ka 및 V 대역이 지정되었다. IMT-2000 대역에 대한 공유 및 규정 연구는 WRC-03에서 종료되었으나, Ka 및 V 대역에서 타 무선업무와 HAPS를 이용한 고정업무 간의 기술적, 운용적 그리고 규정에 관한 연구를 지속하고 WRC-07에서 연구결과를 검토하기로 하였다. 본 고에서는 WRC-03 회의에서 결의한 IMT-2000 서비스를 제공하는 HAPS 시스템의 이용에 관한 규정 현황을 알아보고, 현재 ITU-R에서 논의중인 Ka및 V 대역에서 HAPS 시스템 활용을 위한 규정 연구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