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o-compatibility Analysis for Ka-band payload of COMS

  • Park, Jae-Woo (Global Area Wireless Technology Research Group, Electronics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 Lee, Seong-Pal (Global Area Wireless Technology Research Group, Electronics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 Baek, Myung-Jin (COMS Program Office,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 박재우 (한국전통신연구원 통신위성시스템연구팀) ;
  • 이성팔 (광역무선기술연구그룹 통신위성시스템연구팀) ;
  • 백명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Published : 2007.12.29

Abstract

The first geostationary satellite made by Korea, COMS, has the three different payload ; Meteorological sensor, Oceanographic sensor and Ka-band communication payload. There are Meteorological & Ocean Data Communication Subsystem(MODCS) and Telemetry, Command and Ranging Subsystem(TC&R) as other RF radiation sources. MODCS transmits and receives Meteo and Ocean measurement data from/to earth using L-band and TC&R using S-band. The Ka-band communication payload will provide high-speed multimedia services and communication services for natural disaster such as prediction, prevention, and recovery services in the government communications network.Ka-band beacon is for the earth antenna pointing and the experiment of rain fading. This paper gives the analysis results about the mutual radiation effect on Ka-band communication payload, Ka-band beacon, MODCS and TC&R. Up/Down link power and coupling factor including the geometrical position and distance of antenna, filter rejection and degradation factor due to the different polarization are considered. The results show MODCS and TC&R are compatible for Ka-band communication payload and Ka-band beacon does not interfere with MODCS and TC&R normal operation.

2009년 발사예정인 우리나라가 개발한 최초의 정지궤도위성 COMS에는 기상센서, 해양센서 및 Ka대역 통신탑재체등 세개의 탑재체가 실리며 해양센서 및 기상센서의 측정데이타를 전송하기위한 L대역 통신중계기가 있다. 또한 S대역의 원격 측정 및 원격명령서브시스템과 Ka대역 비콘등이 있다. Ka대역 통신탑재체는 스위칭 중계기로서 부품의 우주인증 및 재난통신서비스에 활용될 전망이다. 또한 Ka대역 비콘은 지상국 안테나의 포인팅 및 강우감쇠 실험을 포함한 Ka대역 전송실험에 활용될 예정이다. 본 논문은 L대역 센서데이타 전송용 중계기 및 S 대역 원격명령/측정 서브시스템의 RF 복사가 Ka 대역 중계기 및 비콘에 어떤 영향을 주며, Ka밴드 비콘이 L 대역 및 S 대역 중계기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조사하였다. 중계기들의 상향/하향 링크시 출력, 안테나들의 기하학적 위치 및 거리 및 중계기들에 포함되어 있는 필터들의 rejection 그리고 편파에 의한 degradation factor등을 포함하여 coupling factor를 고려하여 상호 호환성을 고려하였다. 분석결과 L대역 및 S대역 중계기에 의한 Ka대역 탑재체에 대한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계산되었으며, Ka대역 비콘의 영향도 무시할 정도임을 밝혔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