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ral Vietnam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1초

2005년 농촌 주민들에서 캄보디아와 베트남 여행 중 발생한 세균성이질 (An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on an Outbreak of Shigellosis during Travelling Cambodia and Vietnam among Korean Rural People, 2005)

  • 임현술;이환석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4권3호
    • /
    • pp.368-374
    • /
    • 2009
  • 농촌 주민들 32명이 캄보디아와 베트남을 여행하였다. 7일간의 여행 중 8명이 설사를 하였다. 이에 원인과 감염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역학조사를 시행하였다. 여행자 32명 전원을 대상으로 방문 혹은 전화로 역학조사를 시행하였으며, 23명의 직장도말 검체를 경상북도 보건환경연구원에서 검사하였다. 또한 여행사를 통해 여행 경로와 일정을 조사하였다. 발병률은 25.0%(8명)이었으며, 그 중 3명은 미생물학적으로 Shigella flexneri(Serotype 3a)에 의한 감염을 확인하였다. 외국에서 감염이 발생하였다고 추정하여 환경가검물을 검사할 수 없었지만 공동매개체로는 세균성이질의 잠복기와 역학적 특성을 고려할 때 앙코르와트에서 사 먹은 생수가 세균성이질 균에 오염된 것으로 생각한다. 가장 흔한 해외 유입 전염병은 물이나 음식을 매개로 하는 전염병이다. 외국을 여행하는 여행자들은 수인성/음식매개 감염병에 대하여 철저히 예방을 하고 여행 후 증상이 있는 경우 신고 및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할 것이다.

수문학적 생태계 서비스를 고려한 북부베트남의 우선보전산림 설정 (Establishment of Priority Forest Areas Based on Hydrological Ecosystem Services in Northern Vietnam)

  • 공인혜;이동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29-41
    • /
    • 2014
  • 최근 생태계 서비스의 가치를 정량화하고, 경제적 보상을 통해 보전할 수 있도록 하는 생태계 서비스 직불제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s, PES)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PES를 정책에 반영시키는 것은 생태계 보전과 빈곤경감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방안으로 여겨지면서, 주로 개발도상국에서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그 중, 베트남은 선구적으로 PES를 범국가적인 법 제정을 통해 시행하고 있으나, 공간적 정량화를 통한 광범위한 생태계 서비스 평가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북부 베트남에서 수도 하노이를 흐르는 홍강(Red River)의 상류인 Da 강 유역을 중심으로 수문학적 생태계 서비스를 평가를 통해 우선보전산림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우선 평가를 위해 기본적인 최신의 토지피복지도를 구축하고자 Landsat영상을 통해 토지피복분류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이 지역의 수자원공급 및 토사 유실량 방지의 수문학적 생태계서비스를 평가하기 위해 물수지이론 및 USLE 공식을 도입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출된 서비스량을 산림지역에 한정하여 서비스공급 우위지역을 도출함으로써 우선보전 산림지역으로 설정하도록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산림지역 내에서도 지형, 기후, 토지피복에 따라 생태계서비스공급량의 범위가 달라짐을 확인하였으며, 수문학적 생태계 서비스 공급우위지역은 푸롱산(Mt. Phu Luong), 판시판산(Mt.Fanxipan), 호앙리엔 국립공원(Hoang Lien National Park) 등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Da 강 유역에서 생태계 서비스 보전을 위한 우선 지역을 확인하는 것뿐만 아니라, 어느 지역의 토지소유주가 더 보상받아야 하는지를 판별하는데 이용함으로써 보상공유(Benefit Sharing) 달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Characteristics of sawdust, wood shavings and their mixture from different pine species as bedding materials for Hanwoo cattle

  • Ahn, Gyu Chul;Jang, Sun Sik;Lee, Kang Yeon;Baek, Youl Chang;Oh, Young Kyoon;Park, Keun Ky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5호
    • /
    • pp.856-865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hanges in moisture concentrations of bedding materials under the conditions of rearing Korean Hanwoo cows. Methods: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Exp. I) and usefulness as beddings for rearing cattle (Exp. II) by the type of beddings such as sawdust (SD), wood shavings (WS) and sawdust+wood shavings (S+W; 1:1 in volume), and the species of pine trees from different countries of origins (China, Pinus armandii, AR; Vietnam, Pinus kesiya, KE; USA, Pinus rigida, RI). Results: In Exp. I, SD-AR showed the largest proportion (78.3%) of fine particles (250 ㎛+below 250 ㎛) and the highest bulk density (208 kg/㎥) among treatments (p<0.05). The water absorption capacity at 24 h of both S+W-RI (713%) and -KE (701%) was the highest among treatments (p<0.05) and higher than those of SD or WS alone within each species of pine tree (p<0.05). Moisture evaporation rates (%) at 12 h were ranged from 52.3 to 60.8 for SD, 69.9 to 74.4 for WS, and 72.3 to 73.5 for S+W. Total amounts (mg/㎡) of ammonia emissions were the lowest (p<0.05) in KE species among the pine species within each type of bedding material, having higher ability of ammonia absorption. In Exp II, KE species in both side A and B had lower moisture concentrations (%) than other species. Regardless of types of beddings except SD-AR, moisture concentrations of beddings within a pen were higher (p<0.01) at side A than B. Conclusion: The KE species has better physical characteristics than other beddings and more useful for rearing Hanwoo cattle than other beddings, probably caused by the differences in the method and degree of wood processing rather than the species.

기후변화에 따른 미발생 병해충 피해 경제적 영향 분석: Lycorma delicatula의 사례를 중심으로 (Economic Impacts of Invasive Pests under Climate Change: A Case of Lycorma delicatula)

  • 안현진;조성주;오새라;정재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415-422
    • /
    • 2018
  • Lycorma delicatula는 꽃매미로 알려져 있으며, 베트남, 인도, 남중국과 같은 동남아시아의 토착 해충이다. 꽃매미는 한국에 유입되어 최근 몇 년간 급속히 퍼져 특히 과일 나무에 피해를 입히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Lycorma delicatula의 사례를 이용하여 미발생 병해충 영향 분석을 위한 연구방법과 추정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Lycorma delicatula 발생으로 인한 농가의 직접소득감소를 측정하기 위해 부분예산(partial budget) 방법을 사용하였고, 해충 발생으로 인한 사회후생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부분균형(partial equilibrium) 모형을 사용하였다. 또한 병해충 발생 적합도를 고려한 다양한 기후 시나리오 하에서 Lycorma delicatula 발생 위험이 농가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기후변화가 지속됨에 따라 국내 생태계는 점점 돌발 외래 병해충에 취약해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른 경제적 피해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나아가 이 연구는 향후 국가 해충 방제 및 검역 시스템의 효율성 평가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방글라데시, 캄보디아, 태국, 베트남 벼 포장에서 멸구류 3종의 발생 양상 (Occurrence Patterns of Three Planthopper Species in Rice Fields in Bangladesh, Cambodia, Thailand and Vietnam)

  • 박부용;이상구;박홍현;전성욱;정인홍;박세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89-500
    • /
    • 2018
  • AFACI 회원국 4개국의 수도작 포장의 멸구류 발생 양상을 조사하기 위해서 황색 점착트랩을 이용하여 타락법으로 멸구류 발생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전반적으로 모든 조사 지점에서 벼멸구의 발생량이 많았으며 상대적으로 흰등멸구의 발생량은 적은 편이었다. 애멸구의 발생은 없었다. 분얼기부터 호숙기까지 벼 멸구류의 발생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한국의 경우와 다르게 1~2회의 발생 최성기(Peak)가 나타나지 않았다 벼멸구의 경우 모든 조사 지점에서 발생하였으며 스리랑카의 Svay Reang에서 조사기간 동안 평균 1,673마리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방글라데시의 Dobila, Hamkuria, 남베트남의 Cho Gao가 각각 1,236마리, 818마리, 666마리 순이었다. 흰등멸구의 경우 조사지점 간 편차가 크게 나타났는데 방글라데시의 Dobila에서는 조사기간 동안 평균 1,163마리가 발생하였으나 남베트남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Spatial and temporal trends in food securit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Asia Pacific countries: India, Indonesia, Myanmar, and Vietnam

  • Yunhee Kang;Indira Prihartono;Sanghyo Kim;Subin Kim;Soomin Lee;Randall Spadoni;John McCormack;Erica Wetzler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8권1호
    • /
    • pp.149-164
    • /
    • 2024
  • BACKGROUND/OBJECTIVES: The economic recession caused by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pandemic disproportionately affected poor and vulnerable populations globally. Better uunderstanding of vulnerability to shocks in food supply and demand in the Asia Pacific region is needed. SUBJECTS/METHODS: Using secondary data from rapid assessment surveys during the pandemic response (n = 10,420 in mid-2020; n = 6,004 in mid-2021) in India, Indonesia, Myanmar, and Vietnam, this study examined the risk factors for reported income reduction or job loss in mid-2021 and the temporal trend in food security status (household food availability, and market availability and affordability of essential items) from mid-2020 to mid-2021. RESULTS: The proportion of job loss/reduced household income was highest in India (60.4%) and lowest in Indonesia (39.0%). Urban residence (odds ratio [OR] range, 2.20-4.11; countries with significant results only), female respondents (OR range, 1.40-1.69), engagement in daily waged labor (OR range, 1.54-1.68), and running a small trade/business (OR range, 1.66-2.71)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ome reduction or job loss in three out of 4 countries (all P < 0.05). Food stock availability increased significantly in 2021 compared to 2020 in all four countries (OR range, 1.91-4.45) (all P < 0.05). Availability of all essential items at markets increased in India (OR range, 1.45-3.99) but decreased for basic foods, hygiene items, and medicine in Vietnam (OR range, 0.81-0.86) in 2021 compared to 2020 (all P < 0.05). In 2021, the affordability of all essential items significantly improved in India (OR range, 1.18-3.49) while the affordability of rent, health care, and loans deteriorated in Indonesia (OR range, 0.23-0.71) when compared to 2020 (all P < 0.05). CONCLUSIONS: Long-term social protection programs need to be carefully designed and implemented to address food insecurity among vulnerable groups, considering each country's market conditions, consumer food purchasing behaviors, and financial support capacity.

농촌 결혼이주여성들의 복지욕구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Welfare Needs of the Rural Marriage Migrant Females)

  • 이영분;최승희;송인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3호
    • /
    • pp.163-19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 결혼이주여성들의 복지욕구의 영향요인을 탐색적으로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확률표집을 한 300명의 농촌거주 결혼이주여성의 복지욕구조사결과, 남편의 문제행동 상담에 대한 복지욕구는 정신건강이 나쁠수록, 신체건강이 좋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자국민모임참여가 없는 경우에 높았다. 자녀양육 및 교육관련 욕구는 연령이 낮을수록 베트남 출신 이주여성이 욕구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취업교육욕구는 필리핀, 중국(한족) 출신이주여성이 낮았고, 가족이해정도가 낮을수록 욕구가 높았다. 취업알선욕구는 연령이 높을수록, 지역주민으로서의 소속감이 낮을수록 높았으며, 필리핀 출신 이주여성들이 낮았다. 이러한 결과 등을 고려하여, 이주여성의 연령과 학력, 국적, 지역사회자원 등에 따라 복지서비스를 차별화하여 제공해야 함과 동시에 이주여성의 정신건강에 대해 좀 더 관심과 지원을 기울여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 PDF

가치사슬분석법에 기초한 농업분야 공유가치창출(CSV) ODA 사례분석 - 베트남 씨감자 생산체계 구축사업 - (A Case Study on the ODA for Creating Shared Value (CSV) in Agricultural Sector Based on the Value Chain Analysis - Project for Establishment of Seed-Potato Production System in Vietnam -)

  • 지성태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5권1호
    • /
    • pp.31-44
    • /
    • 2018
  • This is a case study on "the Project for Production Facility and Technical Support of Processed Seed-Potato (2008-2010)" based on the Value Chain Analysis (VCA) used to create and pla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The project is the earliest model of Creating Shared Value (CSV) in the agricultural sector. For the case analysis, a framework was establish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and impact of the CSV project based on the main factors of the VCA. As a result of the assessment, project participation by OSI was able to increase the overall utility by developing the Vietnamese potato processing industry and meeting consumer demand. Furthermore, it formed a business model to promote win-win cooperation and upgraded the value chain of the potato industry. In addition, it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incomes and the quality of life of farmers and communities by providing technical guidance and purchase of contracts, as well as labor division and cooperation with other activity supporters.

Factors Influencing Family Business Decision for Borrowing Credit from Commercial Banks: Evidence in Tra Vinh Province, Viet Nam

  • NGUYEN, Ha Hong;LIEN, Trinh To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6권2호
    • /
    • pp.119-122
    • /
    • 2019
  •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business households' decision for borrowing credit: the case of commercial banks in Tra Vinh Province, VietNam. The study was conducted by collecting data from 300 business households traded at four commercial banks in Tra Vinh province (Viet Nam bank for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Tra Vinh Branch; Viet Nam jointstock commercial bank industry and trade, Tra Vinh Branch; Asia joinstock commercial bank, Tra Vinh Branch; Viet Nam jointstock commercial bank for foreign trade, Tra Vinh Branch). By the use of the Binary Logistic regression method, the research found out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to borrow c redit of household business's decision including: banks brand names, loan interest rates, service attitude, and loan procedures. Of those, the banks brand names and lending interest rates have the strongest impacts on borrow credit decision of business households at commerc ials banks in Tra Vinh province. Since then, the study has proposed solutions to improve access to credit of business households in commercial banks in Tra Vinh province in the coming time, such as: developing a bank brand; the development of flexible lending interest rate policies; improve service style of bank staff; at the same time, simplifying lending proced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