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ral Landscape Improvement Programs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1초

중국 허난성(河南省) 도시 근교형 농촌 거주환경 만족도 분석 - 태남마을(太南村)을 중심으로 - (The Satisfaction Analysis of Suburban Rural Human Settlements in Henan Province, China -Focused on Tai Nan Village -)

  • 호우슈쥔;정태열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72-84
    • /
    • 2023
  • 2018년 중국 국무원이 발표한 「농촌진흥전략계획(2018-2022년)」은 중국 농촌 발전의 새로운 시기를 대표한다. 도시 근교형 농촌은 다른 농촌에 비해 도시와 농촌의 통합 발전(城乡一体化发展)에 더 편리하지만 도시 건설과 산업 오염으로 인한 압력을 더 많이 받았다. 허난성(河南省)은 농촌 비율이 높은 지역으로 농촌 거주환경 현황을 전반적으로 살펴보면서 농촌 문제를 해결하고 거주환경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은 가치가 있다. 본 연구 목적은 첫째, 허난성 도시 근교형 농촌 태남마을(太南村) 주민의 이용현황과 생활 인식을 바탕으로 평가지표의 만족도를 분석한다. 둘째, 평가 결과에 따라 허난성의 도시 근교형 농촌 거주환경에 대한 개선방안을 단계별로 제시한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총 24개 평가지표를 '생활서비스 시설', '주택 환경', '도로 환경', '위생 및 생태 환경', '사회 및 문화 환경'으로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퍼지 종합평가법을 활용한 결과, 태남마을(太南村) 거주환경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보통'이며 주민들에게 '생활서비스 시설'이 가장 중요하고 '생태 및 위생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허난성 도시 근교형 농촌 개선방안을 3단계로 나누어 제안한다. 첫째, 생활서비스 시설을 지속적으로 보완하고 위생 및 생태 환경 관리를 강화한다. 둘째, 주택 및 도로 환경을 합리적으로 개선한다. 셋째, 주민들의 자주적 건설 능력을 배양하고 사회 및 문화 환경을 개선한다. 이는 향후 허난성 도시 근교형 농촌 거주환경 개선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주민들의 삶의 질을 단계적으로 향상시키는데 의의가 있다.

농촌지역민 삶의 질 개선을 위한 경관계획 조사·분석에 관한 연구 -전라남도 강진군 마량면을 중심으로- (A Study on Survey and Analysis of Landscape Pla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in Rural Areas -Focus on Byeongyeong-myeon, Gangjin-gun, Jeollanam-do-)

  • 정건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133-138
    • /
    • 2020
  • 본 연구는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지역 개발촉진에 관한 특별법" 제20조, 동법 시행령 제12조에 의거, 농촌중심지활성화를 위한 경관계획 수립을 위해 전라남도 병영면 농촌중심지 지역민들을 대상으로 의견을 조사·분석하였다. 조사내용은 경관 장소적 선호도, 대표 경관자원 및 인물, 개선사항 등의 내용으로 진행하였으며, 조사·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농촌지역민 삶의 질 개선을 위해 공간 구조적, 관련계획 및 사업적, 자연 경관적, 역사문화경관적, 공공/민간경관적 측면 등 각 요소별 디자인가이드라인 방안을 제언하였다. 이러한 조사·분석결과와 더불어, 향후 농촌지역민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디자인가이드 라인을 제언하였으며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외부에서 많은 관광객이 찾아와서 머물고 갈수 있는 체류형 관광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고, 역사보전 사업 및 하멜촌 조성사업과 연계, 등산로 및 친수공간 조성을 통해 접근성을 높이고 다른 자원과 연계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다양한 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음에 따라, 거시적인 방향설정 등 각 요소별 디자인가이드 라인을 작성하여 체계적인 경관관리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독일의 생태.문화적 마을재정비(Dorferneuerung)에 관한 고찰 (Ecological and Cultural Village Renewal in Germany)

  • 이상문
    • 농촌계획
    • /
    • 제2권1호
    • /
    • pp.57-68
    • /
    • 1996
  • Village Renewal(Dorferneuerung) Policy Program in Germany, directly originated from Rural Beutification Movement between mid 18C and mid 19C, has several characteristics as follows. First, we can find out the planned approach in land use and settlement reorganization of Pillage Renewal Program. There are three ways to designate the planning area of the village rearrangement project in countryside. One is to designate the detailed B-plan district by urban plan for the village over some size defined legally. Another is to have a living space of settlement be contained in land allotment project area. In this case, residential areas of several villages related to agricultural land consolidation should be simultaneously designated as the project area. The last is only for the built environment focused on the living space. Second, the emphasis in German village encouragement program can be made on the integral approach through which sets of policy programs of the land allotment, the living environment improvement, the physical landscape management and the cultural resources conservation are intensively implemented together. Third, the bottom-up and community participation approach can be greatly stressed on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 Community participation, subsidy application to local government by residents themselves, community consensus on architectural style and outdoor spatial form, etc. have been recognized as an effective strategy to accomplish the task of village activity promotion.

  • PDF

지역 어메니티 촉진을 위한 마을만들기 운영사례 비교연구 (A comparative case study of neighbourhood making for promoting a local amenity)

  • 이영창;김근호
    • 농촌계획
    • /
    • 제19권2호
    • /
    • pp.129-138
    • /
    • 2013
  • The aim of the research was to analyze programs, outcomes, promotion process, and operation methods of neighbourhood making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progressive improvement directions in the future. Buk-gu in Gwanju city, samdeok-dong in Daegu city and dongpirang in Tongyeong city were selected for a comparative analysis. The main bodies of neighbourhood making for promoting a local amenity were analysed for this research. The results indicated that a voluntary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of residents was expected in the case of neighbourhood making led by the residents. However, a steady budget support from the outside was necessary for the continuous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neighbourhood organization. For this, a voluntary agreement was required through the consultative group and committee formation. The member of civil organization has a limitation in the ability to develop and maintain continuos activities in the case of neighbourhood making led by a civil organization. This research found that operation methods including the constant checking, the search for new ideas through assessment of the resident's participation, local festivals for a community formation and real satisfactions of residents' desires were needed in the neighbourhood making led by a civil organization. A participation rate in neighbourhood making was low in the case of neighbourhood making led by administrative bodies.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long-term strategics for space renewal and community revitalization were important. Various easy ways of residents' participation to reflect their interests and operation systems were also needed. Finally, current local issues, active residents' participation and residents' opinions would be included in the process of neighbour making in the future.

한국과 일본의 옥상녹화 동향분석 및 비교 (A Comparative Analysis of Rooftop Greening in Korea and Japan)

  • 장성완;이동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143-152
    • /
    • 2008
  • A comparative analysis of rooftop greening in Korea and Japan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current status of rooftop greening creation and technology and to give directions to frame a policy or plan on rooftop greening in Korea. Besides literature studies, questionnaire survey to Korean and Japanese experts on rooftop greening were done. As results, the annual creation areas, the types and the scales of rooftop greening in Seoul and Tokyo until 2007 were analysed and the satisfaction on the creation areas and technologies, the preference types, the present levels of and the most important parts among policies (support systems), technologies (creation methods), materials, maintenances and user programs for the development or expansion of rooftop greening in Korea and Japan were compared. The creation areas of rooftop greening in Seoul until 2007 was around 15% in Tokyo but the increasing rate of those in Seoul was faster than in Tokyo. Korean needs for the improvement on the rooftop greening systems and technologies were higher than Japanese, but both desired the expansion of rooftop greening areas in both countries. Korean preferred semi-intensive rooftop greening system but Japanese preferred intensive system. Korean and Japanese rooftop greening experts preferred policies (support systems) and technologies (creation methods) for the most important part for the development or expansion of rooftop greening in both countries.

주민참여를 통한 농촌중심지 활성화 방안 연구 - 정읍시 내장상동을 중심으로 - (The Activation Plan of an Agricultural Region through Resident Participation - Focusing on Jeongeupsi Naejangsangdong -)

  • 오형은;김용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121-131
    • /
    • 2015
  • 과거 농외소득 향상을 목적으로 하던 마을중심의 농촌지역개발사업이 최근 농어촌중심지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농어촌중심지 사업은 지역주민의 소득 이외에 지역주민의 생활여건 개선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시대가 변하면서 농촌과 농촌 중심지의 모습도 다양하게 변화하였다. 농촌과 도시가 하나의 지역으로 융합되어 한 지역에서 농촌과 도시의 복합적 성격을 띠는 러번지역이 발생함에 따라, 현대사회에서 농촌의 중심지는 자연스럽게 도시적 인프라를 갖춘 러번지역으로 집중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인 정읍시 내장상동 또한 농촌의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지만, 동시에 도시지역의 구조 형태를 가지는 도농통합적 생활권 중심지이다. 기존 정부의 하향식 농촌개발사업으로 나타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러번지역에 조직되어 있는 공동체를 활용한 주민참여형 사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적 성격을 가진 러번지역의 특성과 주민들의 수요분석을 통해 생활서비스 증진을 위한 러번지역의 중심지 활성화 계획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민 워크숍 및 시범활동과 같은 주민역량강화 단계를 기본계획수립 과정에 반영함으로써 주민들의 자생력을 강화시키고자 하였다. 연구는 대상지 현황 및 여건분석, 기본구상 및 발전방향설정, 세부사업계획, 사업추진계획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현장조사와 주민수요를 기반으로 도보환경 개선, 공동체 기반시설 조성, 살기 좋은 생활환경 조성의 세 가지 목표를 설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러번지역이라는 발전된 형태의 농촌지역에서 주민들이 실제로 필요로 하고, 이미 구성되어 있는 지역공동체 등의 활동 단체를 사업의 실행주체로 참여시킬 수 있는 주민참여형 농촌중심지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늘어나는 러번형태의 지역 특성에 맞는 주민 자생적 농촌중심지 활성화 계획을 통해 지역의 능동적이고 성공적인 성장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