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nout distance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초

토석류의 토사체적농도에 따른 퇴적 특성 변화에 관한 실험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for Variance of Depositation Due to Sediment Volume Concentration of Debris Flow)

  • 최영도;김성덕;이호진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15-21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산지 사면에서 토석류가 발생했을 때, 하류에서 토사퇴적면적과 도달거리를 실험을 통해 조사한 것이다. 하류에 퇴적하는 토사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로사면에 소단을 설치하였을 경우 또는 직선 수로인 경우 토사퇴적면적과 도달거리를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실험조건으로서는 토사체적농도의 변화 및 수로의 경사변화 그리고 수로의 형태에 따라서 토사퇴적면적과 도달거리의 감소율을 조사하였다. 직선수로에서 수로경사가 급할수록 그리고 토사퇴적농도가 감소할수록 토사퇴적면적과 도달거리는 증가하였다. 소단을 갖는 수로에서는 경사가 급할수록 토사퇴적농도가 감소할수록 도달거리 및 토사퇴적농도가 증가하였다. 두 수로에서 토사퇴적면적과 도달거리의 차단율을 비교해보면, 소단을 갖는 수로에서 직선수로인 경우보다 토사퇴적면적과 도달거리의 차단율이 더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급경사지 비탈면에서 토석류가 발생했을 때 효율적인 토석류 저감 또는 방어 대책을 세워 토석류에 의한 피해를 줄이는 데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사태물질 이동거리 산정 (Assessment of Runout Distance of Debris using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 서용석;채병곤;김원영;송영석
    • 지질공학
    • /
    • 제15권2호
    • /
    • pp.145-154
    • /
    • 2005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산사태 유형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토석류 산사태를 대상으로 사면하부로 이동되는 사태물질의 이동거리를 산정하기 위한 기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최근 산사태가 발생한 지역 중 지질특성이 서로 다른 3개 지역에 서 선정한 24개 산사태를 대상으로 사태물질 이동범위의 정 밀 현장조사와 토질 실내시험 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인공신경망을 적용하여 이동거리 산정기법을 제안하였다. 인공신경망 분석을 위한 입력자료는 개개 사면의 경사변화율, 원지반 투수계수, 건조밀도, 간극율, 사태물질의 체적, 측정한 확산거리 등 6개 항목이다. 인공신경망을 이용해 도출된 결과는 각 입력치에서 추론율이 우수하게 나타나 대부분 오차율 $10\%$이내 에 분포하고, 일부경우는 오차율 $5\%$$2\%$내에 분포하기도 한다. 이는 학습율이 대단히 좋은 것으로 해석 될 수도 있으나, 학습 자료가 24개 로서 비교적 적은 수이기 때문에 반드시 우수하다고 단정 할 수는 없다. 단, 본 연구에서 획득한 입력자료의 분포범 위가 전국 3개 지역에 걸친 넓은 범위임을 고려하면 대체로 우수한 추론율이라고 할 수도 있다. 향후 산정 결과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더 많은 자료의 조사 및 해석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감쇠 구조물에 의한 토석류 토사체적 농도 변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for Variance of Sediment Volume Concentration of Debris Flow due to Damped Structures)

  • 최영도;김성덕;이호진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1-7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급경사지 사면에서 토석류 재해가 발생했을 때, 토석류 저감 구조물의 효과를 조사한 실험연구이다. 제어 구조물로는 베플 형태를 취하였고, 베플의 설치 기수와 각 제원에 따라서 하류에서의 토석류에 의한 토사퇴적면적과 토사도달거리를 조사한 것이다. 수로의 경사가 급할수록 토사의 퇴적면적과 도달거리가 증가하였고, 토사체적농도가 감소할수록 토사퇴적면적과 토사의 도달거리가 증가하였다. 토사농도가 작은 경우(Cv = 0.5)는 토석류의 액성이 크기 때문에 수로 경사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고, 전반적으로 토사체적농도가 클수록 토사퇴적면적과 토사의 도달거리 감소율이 크게 나타났다. 베플의 수를 증가할수록 토사퇴적면적과 도달거리를 약 5~10%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서 베플의 토석류 제어능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급경사지에서 토사재해가 발생할 때 감쇠 또는 제어 구조물을 설치할 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A Long-Runout Landslide Triggered by Extreme Rainfall in Gokseong, South Korea on 7 August 2020

  • Nam, Kounghoon;Wang, Fawu;Dai, Zili;Kim, Jongtae;Choo, Chang Oh;Jeong, Gyo-Cheol
    • 지질공학
    • /
    • 제32권4호
    • /
    • pp.571-583
    • /
    • 2022
  • On 7 August 2020, a large-scale catastrophic landslide was triggered by extreme rainfall at Osan village, Gokseong County, South Jeolla Province, South Korea. The initiation mechanism of the Gokseong landslide was different from those typical landslides that occurred in South Korea. Despite the relatively low elevation and slope degree, the landslide had a long runout distance of about 640 m over a total vertical distance of 90 m. A detailed field investigation and chemical analysi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ossible mechanisms for the high-speed and long-runout behavior of the landslide. The terrain controlled the motion behavior of the landslide and the seepage was observed at the whole landslide body. The clay-rich soils covered on granite bedrock of the landslide deposition area from the rice paddy field to the landslide crow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basic data for further research on the mechanisms for landslide initiation and propagation.

한국 토석류의 이동거리 특성 (Characteristics of Runout Distance of Debris Flows in Korea)

  • 최두영;백중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3B호
    • /
    • pp.193-201
    • /
    • 2012
  • 지난 10년이래 집중강우에 의해서 유발된 토석류가 우리나라에서 현저히 발생하고 있다. 그로 인해 산지유역에서 토석류는 가장 위험한 자연재해 중 하나가 되고 있다. 토석류 위험지도와 방재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 먼저 이해해야 하고 정확히 예측해야 하는 것 중 하나는 발생한 토석류의 이동거리이다. 단순하고 적용범위가 넓은 sled 모형에 근거해서, 이 연구에서는 현장조사를 통해 구한 토석류 자료를 이용하여 토석류의 수평이동거리(L)에 대한 토석류 시작점과 퇴적점의 표고차(H) 비로 정의되어 이동성을 나타내는 토석류의 순효율을 산정하였다. 2002년 이후 현재까지 확보된 국내 238개의 토석류 현장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국 토석류의 순효율 대푯값은 4.3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은 토석류가 발생하는 강원지역의 경우 강릉과 평창지역보다는 인제지역의 토석류가 상대적으로 표고차에 비해 이동거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토석류를 중부지역과 남부지역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두 지역 모두 토석류의 전반적인 순효율 분포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용한 토석류 퇴적조건 적용과 항공사진 분석을 통해 산정하는 방법은 토석류의 순효율을 과대 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토석류에 적합한 퇴적조건을 도출하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디스크 브레이크 허브 볼트의 억지 끼워 맞춤에서 발생하는 소성변형의 해석 (An Analysis of Plastic Deformation Developed During Interference Fitting of Disk Brake Hub Bolt)

  • 이요셉;곽시영;강신일
    • 소성∙가공
    • /
    • 제17권6호
    • /
    • pp.407-411
    • /
    • 2008
  • A brake system in automobile is one of the important parts that directly affect the safety of passengers. Particularly, disk brake module is applied to almost all kinds of automobile brake system due to its remarkable braking power and braking distance. In the disk brake module of an automobile, the bolt for tire wheel is assembled to the disk brake hub by interference fit(bolt pressing process). The process induces small deformation whose range is within tens of ${\mu}m$ and this deformation may cause the runout badness of the whole disk brake module, and even braking problems such as judder or squeal phenomena which makes the loss of braking efficiency. In this study, bolt pressing fit into hub was simulated by $ANSYS^{TM}$, a commercial structure analysis program. Also, the aspect and the cause of hub displacement were analyzed and the solution for decreasing runout of hub was proposed.

유동학적 인자에 따른 토석류의 이동 및 퇴적 특성 (Movement and Deposition 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 According to Rheological Factors)

  • 이미지;김윤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5호
    • /
    • pp.19-27
    • /
    • 2013
  • 여름철 강우로 인한 산사태는 대부분 토석류의 형태로 나타난다. 토석류는 빠른 이동속도와 체적 때문에 경제적 손실 뿐만 아니라 많은 인명피해를 일으킨다. 토석류 해석 프로그램인 FLO-2D를 사용하여 유동학적 인자인 점성과 항복응력에 따른 토석류의 이동과 퇴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수치해석을 수행한 결과, 점성이 증가할수록 토석류 입자간의 응집력이 증가하여 토석류의 퇴적거리와 속도가 감소한다. 그에 따라 유동심은 증가하고 충격력은 감소하였다. 항복응력은 토석류의 발생과 퇴적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항복응력이 증가할수록 충격력은 증가하였다. 수치 해석 결과에 의하면, 토석류의 이동속도는 주로 점성에 의존하나 토석류의 퇴적 특성(퇴적거리, 퇴적 폭, 퇴적면적)은 점성과 항복응력에 의존한다.

디스크 브레이크 허브 볼트의 억지 끼워 맞춤에서 발생하는 소성변형의 해석 (An analysis of plastic deformation occurring by interference fit of disk brake hub bolt)

  • 이요셉;곽시영;강신일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8-241
    • /
    • 2008
  • A brake system in automobile is one of the important parts that directly affect the safety of passengers. Particularly, disk brake module is applied to almost all kinds of automobile brake system due to its remarkable braking power and braking distance. In the disk brake module of an automobile, the bolt for tire wheel is assembled to the disk brake hub by interference fit (bolt pressing process). The process induces small deformation whose range is within tens of ${\mu}m$ and this deformation may cause the runout badness of the whole disk brake module, and even braking problems such as judder or squeal phenomena which makes the loss of braking efficiency. In this study, bolt pressing fit into hub was simulated by $ANSYS^{TM}$, a commercial structure analysis program. Also, the aspect and the cause of hub displacement were analyzed and the solution for decreasing runout of hub was proposed.

  • PDF

TITAN2D를 이용한 제주도에서 발생 가능한 용암돔 붕괴에 의한 화쇄류 수치모의 (Simulation of Pyroclastic Density Current by Lava Dome Collapse at Jeju Island Using TITAN2D)

  • 장철우;윤성효
    • 암석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3-9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서 화산분화에 의해 발생 가능한 화쇄류의 영향 범위를 파악하기 위하여 백록담 외륜산 외측 사면 8개 지점에서 새로운 용암돔이 발생하는 것을 가정하고 이 과정에서의 붕괴로 발생 가능한 화쇄류를 수치모의 하였다. 수치모의에는 TITAN2D 수치모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TITAN2D프로그램에서 화쇄류 흐름의 속도를 제어하는 변수로 사용되는 내부마찰각과 층저마찰각 중 내부마찰각을 $30^{\circ}$, 층저마찰각을 $20^{\circ}$로 설정하였다. 붕괴되는 돔의 높이와 반경, 초기 붕괴 속도, 수치모의 시간 등을 선정하여 총 96개 시나리오에 대하여 수치모의를 실시하였다. 수치모의 결과 돔 붕괴에 의한 화쇄류는 최대 13.4 km까지 도달하여 한라산 정상부 및 제주시와 서귀포시까지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시뮬레이션 자료들을 이용하여 제주도의 화산 분화 시 발생 가능한 화쇄류의 피해범위 DB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재해도를 작성하여 화쇄류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강우강도에 따른 산사태 확산범위 예측을 위한 모형실험 (Model Test to Predict the Runout Distance of Landslide according to Hourly Rainfall)

  • 송영석;채병곤;김원영;서용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6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2-19
    • /
    • 2006
  • Landslide model experiments considering hourly rainfall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and predict the run out distance induced by landslides. The model flume and the rainfall simulator were designed and produced. The model flume wa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landslide characteristics of Korea. The landslides in Korea were mainly occurred in the interface between soil layer and rock layer. The rainfall simulator was produced for controlling hourly rainfall ranged from 100mm/hr to 1,000mm/hr. Jumnunjin standard sand as slope soils was placed on the model flume. The model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changing the hourly rainfall ranged from 150mm/hr to 250mm/hr. In this experiments, the inclination of slope was 25o and the relative density of slope soils was 35%. As a result of experiments, the pore water pressure is rapidly increased at landslide occurring time, and the scale of landslide is increased with increasing in hourly rainfall. The spreading range of run out distance is occurred with pan type, and the spreading width and length are rapidly increased in its early stage and slowly increased after early stage. Also, The increasing velocity of run out distance of debris is influenced by hourly rainfal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