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n-length limited code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8초

움직임 정보의 피드백을 갖는 선택적 블록 부호화에 기초한 분산 비디오 부호화 기법 (Distributed Video Coding Based on Selective Block Encoding Using Feedback of Motion Information)

  • 김진수;김재곤;서광덕;이명진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642-652
    • /
    • 2010
  • 분산 비디오 부호화 기법(DVC: Distributed Video Coding)은 다양한 응용에서 낮은 복잡도의 영상 부호화를 가능하게 하는 미래기술의 한 가지로써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분산 비디오 부호화 기법의 성능은 연산량의 제한으로 인하여 지그-재그주사, 줄 길이 부호, 엔트로피 부호 그리고 스킵 매크로블록을 사용하는 기존의 국제 동영상 압축 부호화 기법에 비해 우수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먼저 복호화기 측에서 보조정보를 얻는 과정에서 블록별 예측 왜곡을 구하고, 예측 왜곡이 큰 블록에 대해서는 움직임 정보를 피드백시켜 부호화기로 하여금 움직임 보상 프레임 차 신호를 구하여 선택적으로 부호화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부호화 기법은 기존의 화면 간 부호화 방식들에 근접하는 뛰어난 부호화 성능을 얻을 수 있음을 보인다.

수직 자기기록 채널을 위한 쌍 잡음 예측 부분 응답 결정 궤환 등화기 (A Dual Noise-Predictive Partial Response Decision-Feedback Equalizer for Perpendicular Magnetic Recording Channels)

  • 우중재;조한규;이영일;홍대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9C호
    • /
    • pp.891-897
    • /
    • 2003
  • 부분응답 최대유사 (PRML: partial response maximum likelihood) 검출기법은 수직 자기기록 채널에 적합한 검출기법이다. 또한, 잡음 예측 (noise prediction) 기법을 비터비 (Viterbi) 알고리즘의 branch metric 계산에 삽입함으로써 부분응답 최대유사 기법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비터비 알고리즘으로 구현된 시스템은 복잡도 측면에서 단점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런 길이 제한 (RLL: un-length limited) 부호기의 최소 런 길이 제한 매개변수 d=1을 이용하여 새로운 저 복잡도 검출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검출 기법은 비터비 검출기를 대신하는 슬라이서와 궤환 여파기로서의 잡음예측기로 구성되어있다. 따라서 비트오율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안된 기법을 쌍(dual) 검출기법으로 확장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구조가 낮은 복잡 도를 가지면서, 부분응답 등화기의 목적 응답이 (1,2,1)인 잡음예측 최대 유사 검출기법(NPML: noise-predictive maximum likelihood) 과 유사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효율적인 블록 인터리버 파라미터 블라인드 추정 기법 (Efficient Blind Estimation of Block Interleaver Parameters)

  • 정진우;최성환;윤동원;박철순;윤상범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5C호
    • /
    • pp.384-392
    • /
    • 2012
  • 최근 블라인드 신호 복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주로 블록 채널 부호화된 신호의 선형성에 대한 가우스-조던 소거(Gauss-Jordan elimination)를 적용하여 인터리버 파라미터를 추정한다. 그러나 가우스-조던 소거를 이용할 때 추정하고자 하는 인터리버의 주기가 커질수록 그 주기의 제곱배 이상의 연속적인 데이터가 필요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기존의 인터리버 파라미터 추정 알고리즘에서 필요로 했던 입력 데이터 수의 15%만을 이용하며, 추정에 필요한 데이터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했을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임의 신호 생성에 적용된 채널 부호화와 인터리버의 특징을 이용하면 기존의 알고리즘에서 분석해야 했던 인터리버 주기의 개수를 80% 가까이 줄일 수 있으며 인터리버의 종류와 행렬 크기뿐만 아니라 해당 채널부호화의 종류까지 추정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