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bus coreanus Miquel extract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4초

복분자와 오디의 항산화 특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and Morus alba L. Fruits)

  • 전현일;김영애;김영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81-388
    • /
    • 2014
  • 다양한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얻은 복분자와 오디의 추출용액 중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인 60% acetone과 이들의 분획물을 대상으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에서 시료별로는 오디, 분획별로는 ethyl acetate 분획의 $EC_{50}$ 값이 낮게 나타났다. 복분자와 오디의 항산화 성분 중 총 페놀성 화합물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안토시아닌 함량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의 상관성은 총 페놀성 화합물과 총 플라보노이드에서는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으나 안토시아닌에서는 오디에서만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복분자와 오디의 주된 phenolic acid는 protocatechuic acid, p-hydrobenzoic acid 및 salicylic acid이었으며 주된 안토시아닌은 cyanidin-3-glucoside이었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복분자와 오디의 항산화 성분은 추출에 사용된 용매의 종류에 따라 함량 및 조성이 변화하며 그 결과로서 항산화 활성에 영향을 주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오디 ethyl acetate 분획물은 DPPH assay와 reducing power에서 BHT보다 각각 2.2와 1.2배 낮은 $EC_{50}$ 값을 보여 천연 항산화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보였다.

복분자 추출물의 Sprague-Dawley rat를 이용한 단회 경구 투여 독성시험 (Single Oral Dose Toxicity Study of Black Raspberry Extract in Sprague-Dawley Rats)

  • 이주영;지건영;송광훈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5-50
    • /
    • 2020
  •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toxicity after a single oral administration of black raspberry extract to male and female Sprague-Dawley (SD) rats and to determine the approximate lethal dose (ALD). Methods : We previously showed that the black raspberry extract repressed the simvastatin-mediated expression of Proprotein convertase subtilisin/kexin type 9 (PCSK9) and improve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uptake by hepatocytes through the induction of the Low-Density Lipoprotein Receptor expression in hepatocytes. The groups consisted of black raspberry extract groups, as an oral dose of 2,000 mg/kg and a control group. 5 weeks SD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4 groups of 5 rats. Each male and female SD rats were administered orally once. For 14 days after the administration, mortality, clinical signs, changes in body weight, and necropsy findings were observed according to the "Standard for Toxicity Study of Pharmaceuticals" of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guideline and "Acute Oral Toxicity- Fixed Dose Procedure" of OECD Test Guideline. Results : There were no cases of mortality in the group administered with 2,000 mg/kg of male and female, and no abnormalities in body weight change and clinical signs. Also, no gross abnormalities were observed at the autopsy. Conclusions : As a result of a single oral administration of the black raspberry extract to SD rats, the ALD was determined to exceed 2,000 mg/kg for both male and female SD rats.

복분자 젤리의 제조특성 및 이화학적 성분분석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and Physicochemical Component Analysis of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Jelly)

  • 김철암;권오영;왕명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54-559
    • /
    • 2010
  • 복분자즙과 설탕에 젤라틴과 펙틴을 서로 다른 비율로 첨가하여 복분자 젤리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복분자 젤리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pH, 총산의 함량, 당도는 각 시험구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 중 L값은 젤라틴 첨가 비율이 증가에 따라 높게 나타났고, 펙틴 첨가 비율이 증가에 따라 젤리의 a값과 b값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견고성, 부착성, 씹힘성은 젤라틴의 첨가 비율이 증가에 따라 증가되었고 탄력성, 응집성, 검성은 펙틴 첨가 비율이 증가에 따라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중 종합적 기호도는 젤라틴과 펙틴을 각각 10%씩 첨가한 시험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복분자 젤리 제조 시 겔화제로 젤라틴과 펙틴을 각각 10%씩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복분자잼의 제조특성 및 이화학적 성분분석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and Physicochemical Component Analysis of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Jam)

  • 김철암;허성일;이완규;이인숙;왕명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8-52
    • /
    • 2008
  • 복분자, 복분자즙, 설탕, 펙틴을 원료로 하여 복분자잼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복분자잼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pH, 총산의 함량, 당도는 복분자, 복분자즙, 복분자와 복분자즙에 펙틴을 첨가하여 제조한 잼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 중 L값은 복분자즙을 원료로 하여 제조된 잼이 높게 나타났고, 펙틴을 첨가하여 제조한 잼은 a값은 증가, b값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계적 강도는 펙틴을 첨가한 시험구가 크게, spreadmeter value는 펙틴을 첨가한 시험구가 작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중 종합적 기호도는 복분자즙에 0.5%의 펙틴을 첨가한 시험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복분자잼 제조 시 복분자 즙에 0.5% 펙틴을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분자 추출물을 돼지의 비장 면역세포에 처리시 cDNA Microarray를 이용한 유전자 발현분석 (cDNA Microarray Analysis of Gene Expression in Pig Spleen Lymphocytes in Response to Extract of Raspberry)

  • 정정수;최영숙;임희경;오윤길;;최강덕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6호
    • /
    • pp.849-85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복분자(라즈베리)의 돼지 비장 임파구에 대한 면역 반응을 조사하였다. 복분자의 70% 에틸 알코올 추출물을 돼지 비장 임파구에 처리하였다. 복분자의 추출물은 비장 면역세포의 증식을 촉진하였으며, 복분자(라즈베리)의 추출물은 돼지 비장 임파구에 대해 CD3-T 세포, CD4-T 세포와 B 세포의 구성분을 증가시켰다. 복분자 추출물은 비장 임파구 세포의 활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면역반응을 향상시켰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돼지 비장세포에 복분자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8개의 유전자 발현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했는데, 이들 중에는 세포구조와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포함되었다. 특히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4, cytoplasmic dynein heavy chain, tumor necrosis factor alpha, 및 lymphotoxin-beta receptor precursor 유전자 발현이 증가되었다. 한편 10개의 유전자는 복분자 추출물에 의해 그 발현이 감소되었다.

Study on the promotion of inflammation and whitening of natural materials using bioconversion technology

  • Lee, Se-Won;Lim, Jeong-Muk;Lee, Seong-Hyeon;Lee, Jeong-Ho;Oh, Byung-Teak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6-116
    • /
    • 2018
  • Bioconversion, the enzymatic process by microorganism on organic precursor to desired products. The natural extract is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easily absorbed into the skin, while scaling up of to higher quantity is possible. Selection of naturally processed raw material rather than chemically processed is preferred. Therefore, fermentation was carried out by mixing Rubus coreanus Miquel, soybean, Zanthoxylum schinifolium as bioconverting materials, the possibility of inflammation, whitening material were checked. In this study, useful microorganisms were isolated from various salted fish, and 16S rDNA sequence was analyzed to confirm their genetic characteristics. Combining the three natural materials using bioconversion technology to study their activity before and after fermentation.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active ingredient content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ere examined. Raw 264.7 cells were used to evaluate MTT assay, NO and $TNF-{\alpha}$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Also, to evaluate the whitening activity,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nd melanin formation inhibitory activity were measured using B16F10 cells. In total 34 strains were obtained from various salted fish. The effective strains useful for the bioconversion process, showed that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polyphenol content were increased in the two kinds of microbial treatment groups compared to the untreated group. 16S rDNA sequencing analysis of the strains showed excellent in Pediococcus pentosaceus B1 in comparison. An increase of up-to 156% in anti-oxidative activity and 141% in polyphenol content was observed after bioconversion. In addition, after mixed fermentation the toxidty of Raw 264.7 and B16F10 cells tended to decrease and a significant increase was observed in anti-inflammatory activity as well. Also,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significantly. synthesis decreased significantly.

  • PDF

고창 복분자의 기능성원료 표준화를 위한 지표성분으로서 Ellagic Acid의 분석법 개발 (Method Development of Ellagic Acid as Marker Compound for Standardization of Gochang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as Functional Ingredient)

  • 김윤정;한송희;전지영;황민호;임용진;채수완;김민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554-1558
    • /
    • 2012
  • 고창 복분자의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로 개발하기 위하여 지표성분 표준화를 위한 ellagic acid의 분석법 설정과 분석법에 대한 밸리데이션을 실시하였다. 1% formic acid가 첨가된 water와 acetonitrile을 이동상으로 하고 Symmetry$^{(R)}$ (C18, $4.6{\times}250mm$, $5.0{\mu}m$) 칼럼을 사용하여 기울기용리(gradient elution)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법을 확립하고 분석법에 대하여 특이성, 직선성, 정확성과 정밀성 그리고 회수율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Ellagic acid의 검량선은 $R^2=0.9996$으로 좋은 선형성을 보였으며 LLOQ와 LOD는 각각 $1{\mu}g/mL$$0.3{\mu}g/mL$였다. 일내와 일간 분석에서 상대표준편차(RSD)는 각각 2.28%와 2.84%미만으로 나왔다. 회수율 측정결과에서는 89.17~97.92%로 나왔고, RSD는 0.05~0.14%였다. 그러므로 HPLC를 이용한 ellagic acid의 분석법이 고창 복분자 추출물의 기능성원료 표준화를 위한 지표성분 분석을 위한 적합한 시험법임이 검증되었다. 본 시험법에 따라 분석한 고창 미숙과 복분자 추출물 내의 ellagic acid의 함량은 세 lot를 3번씩 분석하였을 때 약 $1.92{\mu}g/mg$(0.192%)이 나왔으며 RSD값은 2.36% 이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된 ellagic acid의 분석법이 고창 복분자의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