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yal Medical Records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31초

조선시대(朝鮮時代) 순종(純宗)의 질병(疾病)에 관한 고찰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을 중심으로 - (A Research on the Disease of King Sunjong in the Joseon Dynasty)

  • 김훈;이해웅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9-160
    • /
    • 2013
  • King Sunjong was the 27th King and the last King in the Joseon Dynasty. He lived an unhappy life as the prince and the King of perishing country. At the age of 22, He witness the death of his mother Queen Myeongseong by Japanese assassin. He has a weak constitution and have many diseases. He get varicella(水痘) in infancy, and suffered from smallpox(紅疫) at 6, and catched the measles(天然痘) at 12. At the age of 25, Having drunk the coffee that contained opium(阿片), he had bloody excrement(血便) and lose the 18 teeth. The Symptoms that appeared frequently at adult age are indigestion(滯症), diarrhea(泄瀉), trophedema(足部浮腫), odontopathy(齒科疾患) etc. This indigestion(滯症) and diarrhea(泄瀉) are occurred by gastroenteropathy(胃腸病). This odontopathy(齒科疾患) is the aftereffect from having 18 false teeth. We assume that this trophedema(足部浮腫) is occurred by cardiac disease(心臟病) and renal disease(腎臟病). The chronic diseases of King Sunjong are gastroenteropathy(胃腸病), renal disease(腎臟病), cardiac disease(心臟病), rheumatism. We assume that the immediate cause of his death is the aggravation of the renal disease(腎臟病) and cardiac disease(心臟病). The medical treatments for him are hardly included in "Formal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which is the prime governmental document. Many royal doctors in court used th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but western doctors from Japan often treated him by medical techniques such as injection(注射), consperg(散藥), liquid medicine(水藥).

한국의 세계기록유산 보존 현황 및 과제 (Preservation of World Records Heritage in Korea and Further Registry)

  • 김성수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7-48
    • /
    • 2005
  • 이 논문은 한국의 세계기록유산에 대하여 먼저 그 의미와 가치를 재확인하고, 이들 세계기록유산에 대한 보존 관리 및 그 현황을 조사하며, 한국의 기록유산을 디지털화 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과 해결책을 모색하고, 추후 한국의 기록유산 중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되기를 희망하는 4종의 기록물들에 대한 가치와 의의를 고찰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상세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2장에서는 한국의 세계기록유산에 대한 가치와 의의를 고찰하였다. 먼저 세계기록유산의 선정기준과 절차 등을 먼저 파악하고, 한국의 세계기록유산인 "훈민정음"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직지(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에 대하여 각각 그 가치와 의미를 분석하였다. 둘째, 제3장에서는 '한국의 세계기록유산 보존 관리 현황'에서는 세계기록유산을 보존하고 있는 <서울대학교 규장각> <국가기록원 부산기록정보센터> <간송미술관>의 기관별로 그 보존 관리 현황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이 3기관 모두 세계기록유산 보존 관리 현황은 '매우 우수하다'고 평가할 수 있었다. 즉, 1)그 세부적인 보안대책이 완벽하다. 2)그 보존방법에 있어서도 항온 항습의 특별한 서고를 별도로 마련하고, 이 서고 내에서 다시 '오동나무 상자 서장(書欌)'을 설치한 후, 이들 상자와 서장 속에 세계기록유산을 납입하여 보존하고 있다. 3)방화장치와 서고조명 및 소독 등에도 철저를 기하고 있음 등을 파악하였다. 셋째, 제4장에서는 '한국의 기록유산 디지털화 과제'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한국 기록유산의 디지털작업 및 DB구축에서 '디지털화 표준'이 가장 중요한 문제이며,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디지털화(Digitization)에 대한 총체적이고 표준적인 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함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국가기록관리시스템을 개발한 경험이 있는 <국가기록원>과 한국학 고기록물의 디지털화에 많은 관심을 가진 <문화재청>이 공동으로 노력하여, 한국학 관련 기록유산의 디지타이제이션(Digitization)에 대한 총체적이고 표준적인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됨을 파악하였다. 넷째, 제5장 '세계기록유산 등록을 추후 희망하는 한국의 기록유산'에서는 한민족의 기록유산 중에서 차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기를 희망하는 4종 즉, 1)<해인사 고려대장경 경판>, 2)"동의보감", 3)"삼국유사", 4)"무구정광대다라니경"의 기록물에 국한하여, 그 어떤 의미에서 세계적인 가치와 의의가 있는가를 고찰하였다.

조선의 명의(名醫) 유이태(劉以泰.劉爾泰) 연구 (Famous medical doctor Yoo Itae's Study in the Chosun Dynasty)

  • 유철호;유원준;차웅석;홍세영;김남일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17-153
    • /
    • 2013
  • Objective : Two famous medical doctors, Yoo Itae(以泰, 爾泰) and Riu Euitae(義泰), have been well known in academic world and public in Sancheong-gun. Yoo Itae is the progenitor of Majinhak which is the therapy for measles, he wrote a "Majinpyun" as the first book of therapy for measles in Chosun. Riu Euitae, meanwhile, is a fictional medical doctor and a teacher of Heo Jun who became real without confirmation of historical truths by Roh Jeongwoo who heard about a name, Yoo Itae. Roh's assertion was quoted in the report of literatures, papers, novel, and telecast without verification. His assertion is exposed in novel and media and it has seriously distorted the hist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tify the historical distortion. Methods : Various references study was performed. Confirmed a family tree, birth and death year, birthplace, sepulture, words on a tombstone, writing, collections of works anthology and the existence of keepsake. Investigated records of royal family, Sancheong-gun papers, Sancheong Hyanggyo papers, Dongyuhagan, Chosun Hanryuseungram and the record of Sawoo Munjip(anthology). Analyzed Roh Jungwoo's conversation that tells Riu Euitae is a teacher of Heo Jun and contents of an encyclopedia. Listened to testimony of descendants and assertions of historian in rural area. Verified voice recording on books taken from at birthplace and the space of activity. Results : Yoo Itae is well shown in various records and medical writing books, whereas Riu Euitae does not. Riu Euitae is not a real person in the history. Roh Jeongwoo who asserts Riu Euitae is a teacher of Heo Jun admits his mistake. But, the encyclopedia record describing Riu Euitae is a teacher of Heo Jun, government official at Sancheong district office, historians in rural area, historians in rural area who made a family shrine, gravestone, a statue, memorial, historic site of Riu Euitae on Jinju Rui could not suggest any evidences for the existence of Riu Euitae and for record Riu Euitae is a teacher of Heo Jun. Conclusion : Riu Euitae is neither a real person in the history nor a teacher of Heo Jun. Riu Euitae came from pronunciation confusion between 'I' and 'Eui' in Kyungsang province. Riu Euitae is Yoo Itae on Geochang Yoo who was a medical doctor of King, Sukjeong and wrote medical books including , , .

전통적 출산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 (Study of the oriental medical literature for traditional childbirth)

  • 윤성민;강한주;정우석;장명준
    • 대한의료기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7-143
    • /
    • 2009
  • The community of women into society in various fields is expanding, and married late, and accordingly, the first child birth is increasing age. Accordingly, dystocia has also increased. Listed in the literature that the traditional method of birth seemed to oriental medical interpretation of one of the ancient wisdom of the predecessors to explor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Child birth custom divide into childbirth preparation, childbirth and postpartum care. Postpartum care divide into preparation of the birthplace, food for pregnant woman and birth preparation of the necessary things. 2. Preparation of the birthplace of the court case and that qeen is three months, one month before that in the case of concubines were installed. The difference in manners, and actual number but the configuration of the same item was prepared. In the private, birthplace is installed husband's home or parent's home. 3. Rice and seaweed is food for pregnant woman. San Miguel (产 米), sangwak (山 藿) specifically called was selected by Keep elaborate. 4. 1 month before birth to baby clothing is usually prepared. For the safe of a paturient woman and a baby, magical prescription was practiced in so-guk-so(昭格署) in early chosun dynasty. After so-guk-so(昭格署) abolished magical practice was stopped. Then Wore old clothes based on dong-ui-bo-gam(東醫寶鑑) 5. Im-san-ye-zi-bub(臨产豫智法) specifically to instruct the royal birth is the birth of guidelines. Im-san-ye-zi-bub(臨产豫智法) cosist of birth place, abdominal pain Precautions, food, care after childbirth, remove the plecenta posion, method of cut navel, bath, protection. Through various court records of the situation, according to the guidelines are properly applied based on dong-ui-bo-gam(東醫寶鑑).

이형익(李馨益) 번침(燔鍼)의 계통과 성격 (The Lineage and Characteristic of Lee-HyungYik (李馨益)'s Burnchim (燔鍼))

  • 오준호;강연석;차웅석;김남일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46-55
    • /
    • 2009
  • In this study a correspondence between Lee-HyungYik (李馨益)'s Burnchim (燔鍼) and InJo (仁祖)'s illness was made and Lee-HyungYik (李馨益)'s Burnchim (燔鍼) was examined in detail. The data researched was an article about Lee-HyungYik's Burnchim treatment that appeared in the Daily Records of the Royal Secretariat ["承政院日記"]. Based on this article, comparisons and contrasts with the contents of Shin-Eung Kyung ("神鷹經")'s ChimGuKyungHumBang (鍼灸經驗方) were mad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Lee-HyungYik's Burnchim can be categorized as a kind of Burning Acupuncture Therapy [火鍼] and that his method succeeds that of Shin-Eung Kyung. It can be seen as a specialized version of the treatment methods for 'Kansa & Thirteen Acupoints' ('間使 and 十三穴'). This method was used to treat QueSa (鬼邪), which corresponds to the fact that InJo was agonizing over the imprecation incident in the palace at that time. The specific method of Burnchim is similar to that of HuaChimchinlZyung mentioned in ChimGuKyung-HumBang; it is highly possible that the method introduced in ChimGuKyungHumBang is a description of Lee-HyungYik's Burnchim.

  • PDF

고려 시대 인삼과 의약서에 대한 기록 (Records on Ginseng and Medical Book during the Goryeo Dynasty)

  • 이성동
    • 인삼문화
    • /
    • 제5권
    • /
    • pp.21-31
    • /
    • 2023
  • 우리나라의 특산품인 고려인삼은 삼국시대 이래 가장 중요한 수출품 중 하나였다. 그러나 고려 시대까지 우리 역사에서 인삼에 관한 기록은 그리 많지 않다. 본 고에서는 고려 시대의 인삼에 관한 국제 수교 및 교역 기록과 당시 출판된 것으로 알려진 의약서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주변 국가인 발해, 송, 왜, 후진, 원나라와 외교적 예물로 또는 교역품으로 인삼이 활발하게 거래되었다. 주로 고려에서 주변 국가로 인삼이 수출되었지만 발해와 거란으로부터는 인삼을 외교적 예물로 받기도 하였다. 아라비아 상인은 고려의 대표적 국제무역항이었던 벽란항에 와서 인삼을 교역하였다. 몽골 침입 이후 원나라의 인삼 요구량이 지나치게 많아서 큰 사회적 문제가 되기도 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제중입효방』, 『어의촬요방』, 『향약고방』, 『삼화자향약방』, 『향약혜민경험방』, 『향약구급방』, 『비예백요방』 등 여러 의약서가 출판되었다. 『향약구급방』은 조선시대에 중간된 것이 전해지고 있으나 나머지 책들의 원본은 현재 전해지지 않고 있다. 최근 후대의 여러 의약서에 인용된 것들을 연구하여 그 일부가 복원되기도 하였다. 궁중에서 사용되었던 의약서에는 인삼을 포함한 처방의 비중이 높았던 반면 주로 평민을 위한 『향약구급방』에는 인삼 처방이 한 건도 수재(收載) 되지 않았다. 이는 당시 인삼이 매우 귀하고 고가이어서 평민이 접하기는 어려웠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Smoking Cessation Treatment and Outcomes in Medium to Heavy Cigarette Smokers being Treated for Cancer in Jordan

  • Hawari, Feras Ibrahim;Obeidat, Nour Ali;Ayub, Hiba Salem;Dawahrah, Sahar Sattam;Hawari, Saif Feras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1호
    • /
    • pp.6875-6881
    • /
    • 2013
  • Background: Studies evaluating smoking cessation treatment outcomes in cancer patients are scarce, despite smoking cessation importance in cancer care. We sought to add to the literature by evaluating smoking cessation in a challenging group of cancer patients (medium-to-heavy smokers) visiting an out-patient smoking cessation clinic (SCC) in a cancer center in Amman, Jordan.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smoking >9 cigarettes per day (CPD) and referred to the SCC between June 2009 and May 2012 were studied. Clinic records were reviewed to measure demographic and baselin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longitudinal (3-, 6- and 12- month) follow-up by phone/clinic visit was conducted. At each follow-up, patients were asked if they experienced medication side-effects, if they had returned to smoking, and reasons for failing to abstain. Descriptive and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A total of 201 smoker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3-month abstinence was 23.4% and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older age, being married, and presenting with lower (${\leq}10ppm$) baseline carbon monoxide (CO) levels. On a multivariable level, lower CO levels, a higher income (relative to the lowest income group), being older, and reporting severe dependence (relative to dependence reported as 'somewhat' or 'not')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higher odds of abstinence at three months. Reasons for failing to quit included not being able to handle withdrawal and seeing no value in quitting. Long-term ARs did not reach 7%. Conclusions: In a sample of Jordanian smokers (>9CPD) with cancer and receiving smoking cessation treatment, ARs were low and further declined with time. Results underscore the need for more aggressive patient management and rigorous follow-up during and after smoking cessation treatment, particularly when this takes place in challenging settings. Observed reasons for failure to abstain should be used to tailor counseling practices.

여말선초 약초원의 형성 과정과 조경사적 의미 고찰 (The Development and Significance of Physic Gardens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Dynasties)

  • 김정화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60-70
    • /
    • 2017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약초원의 형성 과정을 추적하고 조경사적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초학 연구가 이루어진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시기의 의료체계 속에서 약초원과 관련한 기록을 찾아보았다. 약초원은 여말선초인 13~15세기에 발달하였다. 지역성을 강조하는 성리학적 자연관의 영향으로 토산 약초를 뜻하는 향약(鄕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고려 말 문인들이 약포(藥圃)를 가꾼 경향이 발견되며, 향약 조사 발견 재배 탐구 등 관련 정책이 시행된 조선 초 종약전(種藥田)이라는 이름의 약초원이 조성된 사실이 확인된다. 내의원과 혜민서와 같은 중앙의료 기구 부속 시설이었던 종약전은 15세기 중반에 실재했던 것으로 확인되고 조선 건국과 함께 설립되어 조선 후기에 쇠퇴한 것으로 추정된다. 종약전은 약현, 율도, 여우도, 사아리 등 한양 도성 밖 여러 곳에 있었고, 그 규모는 18세기 초 당시 약 16만 제곱미터였다. 형개, 지황, 감초 등을 포함한 수십 종이 종약전에서 재배되었고, 내의원에서 파견된 의관과 관노비 수십 명에 의해 종약전이 운영되었다. 종약전은 새로운 약초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라는 사회적 배경 측면에서 르네상스시대 의과대학의 약초원과 공통점을, 약초의 종류 위치 기능 등의 측면에서 중세 유럽의 성곽과 수도원 내 약초원과 유사점을 지닌다. 본 연구는 약포와 종약전의 구체적 공간 형태를 밝히지 못한 점에서 한계를 가지나, 우리나라에서 약초원이라는 정원 유형이 여말선초 향약을 중심으로 한 의학의 발달과 함께 나타났으며 공동체의 치료제 재배를 위한 실용정원으로 기능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온천행궁도(溫泉行宮圖)>(1795)의 온천(탕실) 건축 고찰 (A Study on the Hot Springs(Tangsil Building) of Temporary Palace(Onyanghaenggung) according to the <Oncheonhaenggungdo>(1795))

  • 이정수;김일환;이경미;지원구;최재성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7권1호
    • /
    • pp.110-123
    • /
    • 2024
  • 온양행궁은 <온천행궁도(溫泉行宮圖)>『온궁사실(溫宮事實)』(1795), 『영괴대기(靈槐臺記)』 및 <영괴대도> 등의 문헌자료와 영괴대(靈槐臺), 신정비(神井碑)로 왕의 온행을 확인가능한 문화유산이다. 특히 1906년 헤르만 산더(Hermann Sander)가 촬영한 사진을 통해, 조선시대 온양행궁의 온천(탕실)이 일제강점기 초기까지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온양행궁 관련 문헌 및 <온천행궁도>(1795)에 기초하여, 온양행궁 탕실의 건축형식을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온양행궁 및 탕실의 변천을 살펴보고, 둘째 왕의 목욕문화 및 행태를 고찰한 후, 셋째 <온천행궁도> 온천(탕실) 건축을 「온궁수리」를 통해 정리하고, 넷째 일제강점 초기 헤르만 산더(Sander)의 사진과 비교하여 조선 후기 마지막 온양행궁 온천(탕실) 건축 형식을 고찰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온양행궁 온천(탕실)은 현종 초 온정실(溫井室, 8칸), <온천행궁도> 온천(탕실)로 이어지면서 조선 후기 『호서읍지』(1871)까지 유지되고 있는데, 일제강점기 초기 헤르만 산더(1906) 및 <1912년 충남 아산시 온양온천>(한국저작권 위원회) 사진 건축물과 일치하고 있다. 둘째, 조선시대 국왕의 목욕법은 목욕평상(沐浴平床) 또는 교의(交倚)에 앉아 세두, 유두, 목두 등을 시행하거나, 온천수 증기를 직접 쐬는 훈세, 탕정 앞에 목판을 깔고 앉아 물에 발을 담그는 침족 또는 침세, 그리고 배꼽 아래만 물에 담그는 반신욕인 체욕, 좌탕 등의 다양한 목욕방법을 채택하였다. 셋째, 온양행궁 온천(탕실)은 온천수가 상탕 서북쪽에서 분출되어 동쪽으로 꺾여 중탕으로 들어가고 남쪽으로 꺾어지면서 바깥으로 나와 하탕이 되는 구조로서, 탕체 주변부는 태안에서 실어 온 바둑돌을 탕실 바닥에 깔았다. 이상의 고찰로부터, 어실로부터 왕의 접근동선, 왕의 목욕법과 목욕도구, 입대하는 의관과 목욕보조 인력 등 목욕행태와 「온궁수리」에서 언급된 각 실 등의 구성을 헤르만 산더의 사진과 비교하여, 온양행궁 온천(탕실) 건축물을 추정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