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tifer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34초

먹이종류에 따른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의 고밀도 배양 (High Density Cultivation of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 in the Different Diets)

  • 박흠기;김성구;박기영;박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80-283
    • /
    • 1999
  • 고밀도 배양에 있어서 먹이종류 (해수 Chlorella, 담수 Chlorella, 유지효모)에 따른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 성장과 영양가를 조사하기 위해서 10$\ell$ 배양수조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해수 Chlorella, 담수 Chlorella와 유지효모를 공급한 rotifer의 최고밀도는 각각 10,900$\~$12,400개체/ml, 9,190$\~$10,600개체/ml, 2,390$\~$2,750개체/ml, 였다. 따라서 해수 Chlorella, 담수 Chlorella를 공급한 rotifer의 최고밀도는 유지효모를 공급한 rotifer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해수 Chlorella를 공급한 rotifer의 고도불포화지방산 함량은 $8.71\%$로 나타났다. 이 것은 유지효모를 공급한 rotifer ($9.14\%$)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지만, 담수 Chlorella를 공급한 rotifer ($4.45\%$)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고밀도 rotifer 배양에 있어서 양질의 rotifer를 생산하기 위해서 해수 Chlorella가 적절한 먹이인 것을 판단된다.

  • PDF

공기 및 산소 공급과 pH 조절에 따른 rotifer의 성장과 고밀도 배양의 생산성 (Growth of rotifer by the air, oxygen gas-supplied and the pH-adjusted and productivity of the high density culture)

  • 박흠기;이균우;김성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53-757
    • /
    • 1999
  • 본 연구는 여러 수온 (24, 28 및 $32^{\circ}C$)에서 공기 및 산소공급과 $32^{\circ}C$에서 pH를 7로 조절된 배양에서 rotifer의 성장을 평가하였다. Rotifer는 농축 Chlorella를 먹이로 공급하였다. 또한 농축 Chlorella와 산소 및 pH를 조절한 rotifer 배양 (고밀도 배양)방법과 빵 효모와 경유 보일러를 이용한 rotifer 배양 (batch 배양) 방법간의 생산성 을 조사하였다. 공기와 산소를 공급한 배양방법에 있어서 수온이 증가할수록 rotifer의 성장률은 증가하였다. 공기를 공급한 배양에 있어서 rotifer의 최고밀도는 수온 $24^{\circ}C$에서 16,300$\~$17,000 개체/ml였고 산소를 공급한 배양에 있어서 rotifer의 최고밀도는 수온 $28^{\circ}C$에서 26,300$\~$30,500 개체/ml였다. 공기를 공급한 배양에 있어서 용존산소가 1 ppm이하로 감소하거나 산소를 공급하는 배양에서 이온화되지 않은 암모니아의 농도가 16.6$\~$22.6 ppm이상으로 증가할 때 rotifer의 성장은 감소된다. 산소공급 및 pH를 7로 조정할 때 rotifer의 최고밀도는 43,000개체/ml까지 도달한다. 고밀도 배양과 batch 배양방법에 따른 rotifer 100억개체당 생산비는 각각 693천원, 961천원이였다. 그러므로 고밀도 배양에서의 rotifer 생산성은 batch 배양한 것 보다 더 효율적이다.

  • PDF

고밀도 배양에 있어서 영양강화 방법 및 종류에 따른 rotifer의 지방산 조성의 변화 (Change of fatty acid compositions of rotifer according to enrichment diets and methods in the high density culture)

  • 박흠기;이균우;이상민;김성구;김형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48-752
    • /
    • 1999
  • 본 연구는 고밀도 배양시 rotifer의 영양강화 방법 및 영앙강화제에 따른 rotifer의 개체밀도와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첫째 방법은 담수산 Chlorella로 rotifer를 고밀도로 배양한 후 영양강화제인 유지효모, Algamac, Super Selco, 해수산 Chlorella로 2차 영양강화 하였다. 두 번째 방법은 rotifer 반 연속 고밀도 배양중 18시간 동안 담수산 Chlorella를 공급한 후 6시간동안 영양강화제를 공급하였고 대조구로 담수산 Chlorella을 공급하지 않고 24시간 동안 해수산 Chlorella를 공급하였다. 배양수조는 5$\ell$를 이용하여 수온 $28^{\circ}C$를 유지하였고 산소가스를 공급하였다. 반 연속 고밀도 배양 방법에서 24시간 동안 해수산 Chlorella를 공급하였을 때 rotifer 밀도와 용존산소는 안정적으로 유지되었고 rotifer의 n-3 HUFA의 함량이 다른 실험구보다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2차 영양강화 방법과 반 연속 고밀도 배양 방법에서 유지효모, Algamac 및 Super Selco로 영양강화하였을 때 rotifer의 밀도와 용존산소는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이들 영양강화제 가운데 Super Selco가 비교적 높은 n-3 HUFA의 함량i글 보였다. 따라서 본 실험을 통해서 rotifer 고밀도 배양시 안정적인 rotifer 성장과 rotifer의 질적 개선을 위해서는 24시간 해수산 Chlorella를 공급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Production of Resting Egg in Korean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L and S-type)

  • Park, Heum-Gi;Hur, Sun-Bum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21-327
    • /
    • 1996
  • Production of resting egg from the Korean rotifer, Brachiunus plicatilis (L and S-type) was investiga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L-type : 20, 24, $28^{\circ}C$, S-type : 28 32, $36^{\circ}C$) and salinities (10, 20,30 ppt). The rotifer was cultured in 25 ml test tube and fed on Nannochloris oculata. With regard to mixis rate, L-type rotifer showed higher rate at lower temperature, and the highest rate was observed at 20 ppt of salinity at each temperature of the experiment. However, for S-type rotifer, the optimum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28\~32^{\circ}C$ and 20 ppt, respectively. The highest number of resting egg was 173 eggs/ml in 16 days at $24^{\circ}C$, 10 ppt for L-type rotifer and 410 eggs/ml in 14 days at $28^{\circ}C$, 10 ppt for S-type rotifer. The maximum number of resting egg produced per 10,000 rotifers was 8,122 eggs at $20^{\circ}C$, 20 ppt for L-type rotifer and 8,700 eggs at $28^{\circ}C$, 20 ppt for S-type rotifer. The maximum number of resting egg produced $10^8$ cells of N. oculata was 50.7 eggs for L-type rotifer ($24^{\circ}C$, 20 ppt) and 79.6 eggs for S-type rotifer ($32^{\circ}C$, 10 ppt). The number of resting egg produced per day was $1\~11$ eggs/ml for L-type rotifers and $21\~35$ eggs/ml for S-type rotifer in 9 combination experiments. In this study, S-type rotifer is better than L-type rotifer in resting egg production, and the optimum temperature and salinity for resting egg production were $20^{\circ}C$, 20 ppt for L-type rotifer and $28^{\circ}C$, 20 ppt for S-type rotifer. This result shows the difference of Korean rotifer in the optimum condition for resting egg production from other rotifers reported earlier.

  • PDF

먹이생물과 수온이 붉바리 자어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ve Food and Water Temperature on Larval Survival of Red 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 이창규;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65-572
    • /
    • 1998
  • 붉바리의 종묘생산시 낮은 생존률은 다른 해산어류보다 자어기의 입크기가 현저히 작은 것과 관련이 큰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실험에서는 붉바리 자어의 생존률과 관련한 자어기 동안의 먹이생물 크기, 수온 및 먹이의 밀도에 따른 자어의 생존률등을 조사하였고, 더불어 자치어 사육기간 중의 성장관계 등을 조사하였다. Tetraselmis tetrathele, 해산 Chlorella 및 Nannochloris oculata를 먹이로하였을 때 태국산 S형 rotifer의 크기는 먹이의 크기가 작을수록 rotifer의 크기도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온에 따른 S형 rotifer의 크기는 수온이 높을수록 rotifer의 크기도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수온에 따른 자어의 생존률은 $29^{\circ}C$까지는 수온이 높을수록 생존률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먹이의 밀도에 따른 자어의 생존률은 rotifer의 밀도가 ml당 15~20개체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형 rotifer, S형 rotifer 중 작은 개체, L형 rotifer, L형 rotifer 중 작은 개체를 각각 먹이로 하여 자어를 사육한 결과, S형 rotifer 및 S형 rotifer 중 작은 개체를 공급한 경우는 생존이 가능하였으나, L형 rotifer 및 L형 rotifer 중 작은 개체를 공급한 경우는 부화후 1주일 이내에 모두 사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S형 rotifer 중 작은 개체만을 택하여 자어에게 공급한 경우는 작은 개체의 rotifer가 자어 사육수조 내에서 성장되었기 때문에 자어가 이것을 효과적으로 섭취하지 못했고, 따라서 S형 rotifer만을 공급한 자어의 생존률과 큰 차이가 없었던 것으로 풀이되었다. 6톤 수조에서 부화자어의 수용밀도를 40,000마리로 하여 53일간 사육한 결과, 부화 후 10일까지의 자어 생존률은 6.3%, 총 사육기간 중의 자치어 생존률은 0.2%로 나타났다. 부화후 53일째 치어의 평균 전장은 29.5mm였다.

  • PDF

담수산 농축 Chlorella와 빵효모의 혼합 공급 비율에 따른 담수산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 Pallas의 대량배양 (Different Combinations of Condensed Chlorella and Baker′s Yeast for Mass Culture of the Freshwater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 Pallas)

  • 이균우;박흠기;박기명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47-152
    • /
    • 2000
  • 본 연구는 담수산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의 경제적인 대량배양을 위해서 담수산 농축 ChloreIla와 빵효모 혼합 공급 비율에 따른 효과를 조사하였다. 담수산 rotifer의 최고밀도와 성장은 Chlorella 공급 비율이 높을수록 빠르게 나타났다. Rotifer 밀도가 증가할 수록 배양수의 용존산소량은 감소하였고 이온화 되지 않은 암모니아량도 증가하였다. 특히, Chlorella 100% 단독구에서 용존산소량이 0.2~0.3 ppm으로 낮아지고 이온화되지 않은 암모니아가 14.1~29.6 ppm으로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rotifer 밀도는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담수산 rotifer를 안정적으로 대량배양하기 위해서는 용존산소가 0.3 ppm이상, 이온화되지 않은 암모니아가 14 ppm 이하로 유지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먹이의 공급 비율에 따른 rotifer의 생산비는 ChloreIla단독구에서 가장 높았다. 그러나 Chlorella 70%와 빵효모 30%를 혼합 공급하면 rotifer 최고밀도에 있어서 Chlorella 단독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으면서 Chlorella 100%단독구보다 생산비가 1.8배 낮기 때문에 Chlorella 70%와 빵효모 30%를 혼합 공급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고 안정적인 먹이비율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otifer 고밀도 반연속 해양에 있어서 담수산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 와 해수산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의 생산성

  • 이균우;윤문근;박흠기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78-279
    • /
    • 2000
  • 현재, 해수어와 해산 갑각류 종묘생산에 있어 해수 자치어와 유생의 초기먹이로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와 B. rotundiformis를 사용한다. 또한 담수산 rotifer, calyciflorus는 담수산 자치어의 먹이로 이용이 가능하며 특히, 입이 작은 열대 관상어의 초기 먹이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rotifer 생산에 있어 일반적인 batch 배양 방법은 많은 공간을 차지하면서 rotifer 생산 기간 중 갑자기 전량 폐사하는 등 배양이 불안정하고 생산성을 고려할 때 양적확보를 위한 생산단가가 비교적 높다. (중략)

  • PDF

한국산 Rotifer, Brachinus plicatilis와 B. calyciflorus의 크기 및 내구란 형성 (Size and Resting Egg Formation of Korean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and B. calyciflorus)

  • 허성범;박흠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87-194
    • /
    • 1996
  • 어류 종묘생산시 중요한 먹이생물로 사용되는 한국산 rotifer를 순수 분리하기 위하여 염전, 기수호, 하구 및 어류 양식장을 중심으로 채집하였다. 해수산 rotifer, B. plicatilis는 13 지역에서 L-type rotifer 2 strains과 S-type rotifer 14 strains을 순수 분리하였다. 담수산 rotifer, B. calyciflorus는 4곳의 양식장에서 4 strains을 순수 분리하였다. 순수 분리된 해수산 rotifer, B. plicatilis. L-type과 S-type rotifer strain의 피갑장과 내구란 장경의 분포는 각각 $244.3\~255.3\;{\mu}m,\;142.4\~145.5\;{\mu}m$$131.0\~165.8\;{\mu}m,\;93.7\~116.4\;{\mu}m$로 나타났다. 또 담수산 rotifer, B. calyciflorus strains의 피갑장과 내구란 장경의 분포는 각각 $211.8\~229.9\;{mu}m$$126.8\~140.2\;{\mu}m$로 나타났다. B. plicatilis는 성장과 내구란 생산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L-type과 S-type의 rotifer의 최고 밀도는 각각 O-L이 200개체/ml였고, H-S가 753.3개체/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생산된 내구란은 S-type에서는 YY-S가 86.7개/ml로 가장 높았고, L-type에서는 O-L이 45.8개/ml로 높았다.

  • PDF

한국산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L과 S-type)의 내구란 대량생산 (Mass Production of Resting Egg of Korean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L and S-type))

  • 허성범;박흠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45-351
    • /
    • 1996
  • 한국산 B. plicatilis, L-type rotifer와 S-type rotifer의 내구란 대량생산은 L-type rotifer의 경우 15일 동안 농축 Chlorella + 빵효모 혼합구와 빵효모 단독구로 하였고 S-type rotifer는 7일동안 1 $m^3$ 수조에서 농축 Chlorella로, $6{\~}8$일 동안 4 $m^3$ 수조에서 냉동 농축 Chlorella + 빵효모로 대량생산하였다. L-type rotifer 내구란 대량생산 실험에서 농축 Chlorella + 빵효모 혼합구가 총 내구란 생산 $54.5{\times}10^6$개, $10^{8}$ rotifers 당 내구란 생산 $30.5{\times}10^6$개, 먹이 건조 중량 1g 당 내구란 생산 $100{\times}10^3$개로 빵효모 단독구 보다 높게 나타났다. S-type rotifer의 내구란 대량생산은 4 $m^3$ 수조에서 냉동 농축 Chlorella + 빵효모를 먹이로 총 내구란 생산 $149{\~}567{\times}10^6$개, $10^{8}$ rotifers당 내구란 생산 $36{\~}123{\times}10^6$개, 먹이 건조 중량 1 g당 내구란 생산 $131{\~}338{\times}10^3$개를 생산하여 1 $m^3$ 수조에서 농축 Chlorella를 단독 먹이로 생산한 경우 보다 높았다.

  • PDF

해산어류 자어의 초기 먹이생물인 로티퍼의 최초 섭이 일령과 포식 수 분석을 위한 새로운 관찰 및 계수 방법 (Studies about New Observation and Counting Method for Analysis of First Feeding Day and Daily Feeding Numbers of Rotifer by Marine Fish Larvae)

  • 정민민;위종환;지영주;민광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78-182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해산어 초기 자어 사육 과정에서 자어가 섭이하는 로티퍼의 새로운 관찰 및 계수방법을 제시한다. 지금까지는 해산어 자어를 사육하면서 언제부터 로티퍼를 먹이로 이용 가능한지? 그리고 일령이 경과함에 따라 어느 정도 양의 로티퍼를 섭이하는지? 정확하게 분석할 수는 없었다. 왜냐하면 자어가 섭이한 로티퍼(몸통)는 소화기관내에서 소화되어 연구자가 관찰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관찰 방법으로서 로티퍼의 저작기(trophi)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로티퍼는 각 개체마다 한개의 저작기를 가지며 이 저작기는 해산어 자어의 소화기관내에서도 소화되지 않고 그 형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에 의하면 자어의 소화기관내의 저작기를 관찰하여 계수하는 방법(RTCM; Rotifer Trophi Counting Method)을 이용하여 로티퍼를 최초로 섭이하는 일령은 물론 자어의 일령이 경과함에 따른 포식 로티퍼 개체수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