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tator Cuff Tears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33초

관절경적 교량형 봉합 술식을 통한 회전근 개 전층 파열의 치료결과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Repair of Full-thickness Rotator Cuff Tear Using Suture Bridge Technique)

  • 서재성;박성혁;김원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2호
    • /
    • pp.181-187
    • /
    • 2010
  • 목적: 회전근 개 전층 중파열, 대파열 환자에 대하여 관절경적 교량형 봉합 술식을 시행한 후 임상 결과를 분석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1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회전근 개 전층 중파열, 대파열을 관절경적 교량형 봉합 술식으로 치료받은 90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15개월 (12~23개월)이었다. 파열의 크기는 중파열이 43예, 대파열이 47예였다. 술 전 및 최종 추시 시 KSS, ASES, UCLA, Visual Analogue Scale (VAS)를 이용한 기능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휴식 및 운동 시 평균 VAS 점수는 각각 수술 전 2.56, 6.94에서 최종 추시 시 0.96, 1.70으로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UCLA 점수는 수술 전 평균 17.08점에서 최종 추시 시 31.17점으로 향상되었으며, 최우수가 31예 (34%), 양호가 49예 (54%), 불량이 10예 (12%)였다. 최종 추시 시 60세 이하인 경우 31.47점, 61세 이상인 경우 30.69점이었으며 (p=0.344), 중파열인 경우 31.23점, 대파열인 경우 31.11점이었고 (p=0.924), 비외상군이 31.10점, 외상군이 31.23점이었다 (p=0.929). 결론: 회전근 개 전층 중파열, 대파열 환자에서 관절경적 교량형 봉합 술식을 시행하여 동통의 감소 및 견관절 기능 향상의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 믿을만한 수술적 방법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수술 당시 연령, 외상력 유무는 치료 결과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봉합할 수 없는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결절 성형술 (Tuberoplasty for Irreparable Massive Rotator Cuff Tears)

  • 이진웅;조남수;조승현;조형준;이용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1호
    • /
    • pp.7-13
    • /
    • 2009
  • 목적: 봉합할 수 없는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서 관절경적 결절 성형술 후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2월에서 2007년 4월까지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로 관절경적 결절 성형술을 시행한 1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17.3개월, 평균 연령은 61.7세였다. 5예는 관절경적 결절 성형술을, 6예는 관절경적 견봉하 감압술도 함께 시행하였다. 결과: Constant 점수와 UCLA 점수는 수술 전 각각 평균 61.8점과 14.8점에서 수술 후 평균 86.9점, 31.8점으로 향상되었고, 최우수 6예, 우수 3예, 불량 2예였다(p<0.001, p=0.003). 능동적 전방 거상은 111.8도에서 154.1도로 향상되었다(p=0.011). 견봉상완 간격은 수술 전 평균 3.94 mm에서 수술 후 평균 4.22 mm로 측정되었다(p=0.12). 불량인 2예는 수술 전 견봉상완 간격이 평균 1.67 mm에서 수술 후 0.94 mm로 감소되었다. 결론: 봉합할 수 없는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서 관절경적 결절 성형술은 통증 완화 및 운동 범위 증가의 효과를 얻었으나, 수술 전 견봉상완 간격이 2 mm 이하이고 술후에 더 좁아진다면 좋은 결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두 개 이상 건이 이환된 회전근 개 파열에서 일차 복원술 (Primary Repair in Tears Affecting Two or More Rotator Cuff Tendons)

  • 김진영;강기서;태석기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2호
    • /
    • pp.160-166
    • /
    • 2007
  • 목적: 다발성 회전근 개 파열에서 일차 복원술의 결과와 결과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에서 2003년 사이에 두 개 이상 건이 이환된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하여 일차 복원술을 시행한 후 2년 이상 추시된 19예(평균 연령 64.8세)를 대상으로 UCLA score의 변화를 조사하고, 외상, 능동적 운동, 견봉-상완골간 간격, 파열의 크기, 면적 등과 UCLA score사이의 상관 관계를 Pearson 선형 상관계수(PLCC)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결과: UCLA score는 평균 9.4에서 26.1로 전 예에서 뚜렷이 증가하였으나 Ellman 기준상 53%에서 우수, 47%는 불량의 결과를 보였다. 외상, 능동적 거상, 견봉-상완골 간격 및 파열의 크기는 UCLA score와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파열 면적은 UCLA score와 역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LCC=-0.696) MRI상 극하근의 Goutallier등급 III단계 이상 변성이 있는 경우는 불량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다발성 회전근 개 파열에서 일차 복원술의 결과는 53%에서 만족스러웠다. 큰 파열 면적, 극하근의 심한 변성은 불량 예후인자로 사료된다.

회전근 개 파열: 언제 수술하나? 안 하면 어떻게 하나? (Rotator cuff tears: Operate when? What happens if not?)

  • 박형빈;성창민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12
    • /
    • 2011
  • 회전근 개 질환은 임상에서 접하는 가장 흔한 견관절 질환이다. 증상을 호소하는 회전근 개 파열 환자를 접하게 되면 수술을 시행할 것인지, 아니면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할 것인지의 결정은 진료실에서 당면하는 가장 흔한 과제이다. 그리고 수술적 치료를 선택한다면, 언제 할 것인지, 어떤 수술방법을 선택할 것인지의 결정도 중요하며, 수술을 시행하지 않는 경우는 어떤 치료를 해야 할 것인지 또한 흔히 겪는 문제이다. 본 종설에서는 회전근 개 파열의 경우 언제 수술하나에 해당하는 수술의 적응증과, 수술하지 않는 경우는 어떻게 치료할 것인가? 라고 하는 비수술적 치료의 적응증에 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PDF

관절경 하 회전근 개 파열의 봉합에서 광범위 근개 봉합법의 이용 (Use of Massive Cuff Stitch in Arthroscopic Repair of Rotator Cuff Tears)

  • 고상훈;조성도;곽창렬;어진;유창현;최승원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9권2호
    • /
    • pp.181-188
    • /
    • 2006
  • Purpose: To evaluate the integrity of repair & technical tip in use of Massive Cuff Stitch at arthroscopic repair of rotator cuff tear. Materials and Methods: Twenthy-nine cases of arthroscopically repaired full thickness tear of rotator cuffs which are medium sized were evaluated. Between December 2004 to September 2005 we have studied, the average age 53($42{\sim}69$) years old, mean follow-up was 15($12{\sim}21$) months. We analyzed the results statistically by paired t-test. The integrity of repair were verified by follow up MRI which were checked 11 cases and ultrasound which were checked 10 cases. Results: VAS of pain improved preoperative average 7.1 to postoperative 0.9, ADL improved 11.2 to 25.6 respectively, UCLA improved 13.7 to 32.9(all, P<0.05). 89.7% showed excellent & good results at the final follow-up. The satisfied rate was 93.1%(27 cases). There was re-rupture of the repaired rotator cuff in one case out of 11 cases which were checked by MRI, and in one case out of 10 cases which were checked by ultrasound, and there was one case of thinning of cuff which were checked by ultrasound. Conclusion: The use of Massive Cuff Stitch in arthroscopic repair of rotator cuff tear have been reduced technical failure. It will be good surgical technique which maintain the integrity of repairs.

Minimal Medial-row Tie with Suture-bridge Technique for Medium to Large Rotator Cuff Tears

  • Lee, Hyun Il;Ryu, Ho Young;Shim, Sang-Jun;Yoo, Jae Chul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8권4호
    • /
    • pp.197-205
    • /
    • 2015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st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results of minimal-tying (one medial-row tie among 4 medial-row sutures) on the medial-row in double-row suture-bridge configuration ($2{\times}2$ anchor with $4{\times}4$ suture stands). Methods: From 2011 March to 2012 July, 79 patients underwent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using $2{\times}2$ anchor double-row configuration. The mean age was 61.3 years (range, 31-81 years). Two double-loaded suture anchors were used for medial-row. Four medial-row stitches were made with only one medial-row knot-tying (the most anterior suture). Lateral-row was secured using the conventional suture-bridge anchor technique; all 4 strands were used for each anchor. Repair integrity was evaluated with MRI at mean 6.2 months postoperatively. Retear and the pattern of retear, change of fatty infiltration, and muscle atrophy of supraspinatus were evaluated using pre- and postoperative MRI. Results: Repaired tendon integrity was 38 for type I, 30 for type II, 6 for type III, 4 for type IV, and 1 for type V, according to Sugaya classification. Considering type IV/V as retear, the rate was 6.3% (5 out of 79 patients). Medial cuff failure was observed in 4 patients. Fatty atrophy of supraspinatus was significantly improved postoperatively according to Goutallier grading (p=0.01). The level of muscle atrophy of supraspinatus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after surgery. Conclusions: Minimal tying technique with suture configuration of four-by-four strand double-row suture-bridge yielded a lower retear rate (6.3%) in medium to large rotator cuff tears.

견관절 회전근 개 파열과 동반된 말초 신경 손상 (Peripheral Nerve Injuries Associated with Rotator Cuff Tears)

  • 이광원;이호;나규현;최원식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7-122
    • /
    • 2006
  • 목적: 견관절 회전근 개 전층 파열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전기 진단 검사를 통하여 신경 손상 유무를 조사하여 유병율 및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5월 1일부터 2005년 2월 1일 까지 본원에서 회전근 개 전층 파열로 확진되어 수술적 가료를 받은 환자중 급성기 외상으로 인하여 발생한 골절 및 탈구가 없는 19례에서 술전에 전기 진단 검사를 시행하여, 신경 손상의 유병율 및 여러 가지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이들 대상 환자의 평균 연령은 $59.1{\pm}11.4(45\sim87)$세, 평균 이환 기간은 $48.4{\pm}100.2$(1개월$\sim$30년)개월, 성비는 13:5(남자:여자)이었고, 외상 후에 동통이 생긴 경우가 8례 있었다. 결과: 19례 중 6례(31.6%)에서 신경 손상이 동반되어 있었고, 신경 손상의 유형은 전례에서 상완 신경총 손상이었으며, 후각 신경절 후 병변이었다. 신경 손상이 있는 6례에서 외상과 더불어 증상이 시작된 경우가 4례(67%)이었고. 파열 크기, 관절 운동 범위, 동통 지수, 기능 지수는 신경 손상이 없는 경우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회전근 개 파열이 있는 환자의 진단 및 치료에 있어 신경 손상이 동반될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하고 필요하면, 근전도 검사를 통하여 신경 손상의 동반 여부를 확인한다면 적절한 치료계획에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 PDF

중장년층에서의 회전근 개 파열과 Bankart 병변을 동반한 재발성 견관절 탈구 (Recurrent Shoulder Dislocation with Rotator Cuff Tears and Bankart Lesion)

  • 이광원;양동현;안재훈;김하용;최원식;하권익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81-86
    • /
    • 2004
  • 목적: 본 연구는 40세 이후에 발생한 회전근 개 파열을 동반한 재발성 견관절 탈구 환자 중 Bankart병변을 동반한 경우, Bankart복원술이나 소절개 술식(miniopen technique)을 이용한 회전근 개 봉합술을 동시에 시행한 후 후향적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정형외과학 교실에서 1991년 5월부터 2002년 1월까지 내원하여 수술 받은 40세 이상의 회전근 개 파열을 동반한 재발성 견관절 탈구 환자 25례의 환자 중 최종 추시가 가능하였던 22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52(범위, 41$\~$67)세, 추시기간은 평균 50.5(범위, 10$\~$47)개월이었다. 결과: 전체 환자 22례 중 Bankart병변을 동반한 환자 8례들의 최종 추시 결과 견관절 운동 범위는 전방거상은 평균 122$^{\circ}$에서 154$^{\circ}$, 외전은 평균 115$^{\circ}$ 에서 161$^{\circ}$ 로 향상되어 술전에 비해 견관절 기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University of Pennsylvania patient self-assessment 의 동통지수는 술전 11.0에서 술후 5.5로 호전되었다. 환자가 호소하는 동통의 정도는 VAS 평가상 술전 평균 5.4에서 술후 평균 2.5로, UCLA 평가지수는 술전 20.2에서 술후 29.6로, Constant 평가지수는 술전 48.6에서 술후 69.0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UCLA 평가지수상 전체 환자 22례 중 Bankart병변을 동반한 8례 환자들의 최종 추시 결과 우수 2명, 양호 4명 , 보통 2명이었으며, Bankart병변을 동반하지 않은 14례의 환자군의 최종 추시 시 우수 2명 , 양호 6명, 보통 5명, 불량 1명으로 양 그룹간의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 결론: 40세 이상에서의 견관절 탈구는 재발성은 적고, 회전근 개와 액와신경 손상, 상완골 대결절의 골절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고 알려져 있지만, 회전근 개 파멸과 함께 전방관절낭와순 복합체의 손상이 동반된 경우엔 재발성 불안정성이 증가하여 소절개 술식을 이용한 회전근 개 봉합술과 함께 Bankart봉합술과 같은 전방 구조물 대한 복원을 시행하는 것을 권장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