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t spiraling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용기의 형태와 용적에 따른 찰피나무 유묘의 생장 (Growth of Mandshurian Linden (Tilia mandshurica Pupr, et Max.) Seedlings as Affected by Container Types and Volumes)

  • 윤택승;임지영;김종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39-244
    • /
    • 2005
  • 본 연구는 시설양묘 용기에서 직근성 수종인 찰피나무 유묘의 생육상황 및 뿌리발달 형태를 탐구하기 위하여 5개월 간 플라스틱 온실에서 수행되었다. 공시용기로 사용된 플라스틱 망 용기와 일반 플라스틱 용기에서 생육한 용기묘의 수고생장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근원경 생장은 플라스틱 망 용기에서 높게 나타났다. 플라스틱 망 용기는 묘목의 뿌리발달에 영향을 끼쳐 묘목의 뿌리발달을 촉진시켰으며, 전체 지하부의 건물생산량을 증가시켰다. 특히 플라스틱 망 용기묘에서는 적극적으로 유도된 공기단근에 의하여 나선형 뿌리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험에 사용된 플라스틱망 용기는 찰피나무 용기묘 생산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 용기에서 생산된 묘목은 다양한 식재지 환경에서 식재될 경우 활착율 증가는 물론 생장율 증가도 보일 것으로 생각된다.

층층나무 우량 용기묘 생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roduction of High-Quality Cornus controversa Container Seedlings)

  • 윤택승;홍성각
    • 임산에너지
    • /
    • 제21권3호
    • /
    • pp.28-33
    • /
    • 2002
  • 본 연구는 우량 층층나무 용기묘 생산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5개월간 비닐온실에서 수행되었다. 공시용기로 사용된 플라스틱 망 용기와 일반 플라스틱 용기에서 생육한 묘목의 수고생장 차이는 없었으나, 근원경생장은 플라스틱 망 용기에서 높게 나타났다. 플라스틱 망 용기에서 생육한 묘목은 장근 및 세근발달이 촉진되었으며, 지상부와 지하부 건물생산량이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특히 플라스틱 망 용기에서 생육한 묘목에서는 망 용기에 의해 유도된 공기단근에 의하여 나선형 뿌리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플라스틱 망 용기는 묘목의 뿌리발달을 좋게하며 지상부 생장이 향상된 층층나무 용기묘 생산에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녹색기술 무배수구 용기깊이와 슬릿(Slit)차이에 따른 디펜바키아 마리안느와 렉스 베고니아의 생육반응 (Growth Responses of Dieffenbachia amoena 'Marianne' and Begonia rex to Different Lengths and Numbers of Slitwalls in Drainless Containers for Green Technology)

  • 주진희;윤용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8호
    • /
    • pp.931-938
    • /
    • 2012
  • The effects were investigated of different lengths and numbers of slitwalls in drainless containers on growth and change in soil moisture volumes on the growth of Diffenbachia amoena 'Marianne' and Begonia rex. Drainless containers filled with amended soil, with square shape ($240mm{\times}240mm$) were used, as well as three different sets of slitwalls (2, 4 or 8, respectively) in addition to non-slitwall containers. Two indoor foliage plants were grown in slitwall containers in randomized blocks with 3 replications in greenhouse conditions, from March to September, 2009. Soil moisture volumes per container were measured by weighing containers every 2 hours during the day. The change in soil moisture volumes showed considerable differences among slitwalls tested in comparison to control containers before and after twice-weekly irrigation. Particularly, the differences in the S2 (195mm, slitwall 2) containers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other containers tested. For Diffenbachia amoena 'Marianne', plant height, length of leaf, dry weight and fresh weight were higher with S2 containers than with those grown in other containers tested. The Begonia rex with the best quality in terms of plant height, length of leaf and width of leaf was grown in S8 (360mm, slitwall 8) containers. Particularly, statistical analysis has indicated that shoot fresh weights of Begonia rex grown in S8 were 3-fold higher than those grown in CS8 containers. The different results obtained within the two species led us to hypothesize a species-specific influence on indoor foliage plant performance. However, plants of both species grown in slitwall containers showed good results compared with plants grown in non-slitwall contai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