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t pruning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19초

만개기 단근처리를 통한 수분스트레스가 '후지'/M.9 사과나무의 수체반응 및 과실특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Water Stress through Root Pruning on Tree Growth and Fruit Quality in 'Fuji'/M.9 Apple Tree at Full Bloom)

  • 사공동훈;윤태명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64-273
    • /
    • 2016
  • 본 시험은 5~6월 수분스트레스가 사과나무의 광합성, 신초생장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단근은 만개기(4월 30일)에 원줄기에서 30cm와 60cm 떨어진 곳에서 열 방향에 따라 양쪽 혹은 한쪽으로 처리 하였다. 무처리구의 5~6월 오후 평균 잎수분포텐셜은 -1.80MPa 이상을 유지하였지만, 단근 처리구들은 -1.80MPa 이하였다. 단근 처리 정도에 따른 5~6월경 오후 평균 잎 수분포텐셜은 양쪽 30cm 단근구(-2.06MPa), 양쪽 60cm 단근구(-2.02MPa), 한쪽 30cm 단근구(-1.91MPa) 순으로 낮았다. 한쪽 30cm 단근 처리와 양쪽 30cm 단근 처리는 5~6월 광합성속도를 각각 무처리구의 80% 및 65% 수준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한쪽 30cm 단근구의 무처리구 대비 총 신초장과 평균 과중의 감소 정도는 각각 25% 및 11% 정도였던 반면에 양쪽 30cm 단근구는 각각 45% 및 15% 정도였다. 그러나 가용성 고형물 함량 및 착색 정도는 단근 처리구들이 무처리구보다 높았으며, 양쪽 단근구들이 한쪽 단근구보다 더 높았다. 결론적으로, 5~6월 오후 평균 잎 수분포텐셜이 -1.80MPa 이하이면 과실비대가 감소되었고, -2.00MPa 이하이면 신초생장이 감소되었다.

대추나무의 단근처리가 생육 및 결실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ot Pruning on Growth and Fruit Setting in Zizyphus jujuba var. inermis (Bunge) Rehder)

  • 이종원;김충우;오하경;이경희;이성균;김상희;홍의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60-164
    • /
    • 2017
  • Background: This study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root pruning of Zizyphus jujuba var. inermis (Bunge) Rehder. Root cutting inhibit vegetative growth and promote reproductive growth as temporarily reducing growth, net assimilation, water potential of leaf and cytokinin level. Methods and Results: The root pruning was treated of the root cutting widths 50, and 80 ㎝ and the root cutting depths 10, and 20 cm. The amount of root pruning and the number of suckers were the highest in the root-pruning treatment at a width of 50 cm and a depth of 20 cm. The blooming time was from June 18 to 20, and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blooming time among the root-pruning treatments. The number of flowers was rather higher in the root-pruning treatment at a width of 50 cm and a depth of 20 cm and at a width of 80 cm and a depth of 20 cm. The percentage of fruit setting was higher in the plants whose roots were pruned at a depth of 20 cm than in the untreated plants. The fruit size, fruit weight, and sugar content showed no difference among the root-pruning treatments. Conclusions: The results showed that percentage of fruit setting increased with root pruning, while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growth and fruit quality of plants.

Influence of Initial Seedling Size and Root Pruning Intensity on Growth of Transplanting Seedling of Quercus acutissma

  • Na, Sung-Joon;Lee, Do-Hyung;Kim, In-Sik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09-717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root pruning intensity in combination with different initial seedling size on the growth of transplanting seedlings of Quercus acutissima. One-year-old seedling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depending on their height, i.e. small (< 15 cm), medium (25-35 cm) and large size (35 cm <). Root of seedlings was pruned by three intensity such as, leaving 5 cm (severe), 10 cm (medium) and 15 cm (light) of taproot from the root-collar. After one year, we investigated survival rate, height and root-collar diameter (RCD) increment and final shoot dry weight. Also we measured characteristics of newly developed lateral roots such as number, total length, dry weight and diameter. Severe root pruning showed the lowest survival rate in all seedling size. Height increment, RCD increment and shoot dry weight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intensity of root pruning. Seedlings of medium and light root pruning showed similar above-ground growth and dry weight of lateral roots. More large seedlings showed good survival rate, height increment and final shoot dry mass in all root pruning intensity. Therefore, one-year-old seedlings of Q. acutissima should be pruned taproot by 10 cm and transplanted to obtain excellent performance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planting work.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important that applying to different root pruning intensity depending on initial seedling size for producing 2-year-old seedlings with excellent growth and high quality.

단근, 줄기 절단과 식재 밀도에 따른 음나무(Kalopanax septemlobus) 묘목의 활착 및 생장 특성 (Effects of Root Pruning, Stem Cutting and Planting Density on Survival and Growth Characteristics in Kalopanax septemlobus Seedlings)

  • 강호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97-105
    • /
    • 2013
  • Kalopanax septemlobus (Thunb. ex Murray) Koidz. is natively distributed in Korea. The importance of this species has been increased not only for high quality timber but for medicinal and edible uses. However, increasing market demand of K. septemlobus with illegal cutting and overexploitation has resulted in its rapid depletion and destruction of natural habita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survival rat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planted K. septemlobus seedlings with treatment of root pruning, stem cutting and planting density. The survival rate and growth of height and root-collar diameter for one- and two-year old seedlings with different planting densities were investigated in the clear-cut area of a Pinus densiflora stand for five years. One-year-old seedlings were treated with or without root pruning and planted with three density levels (5,000 trees $ha^{-1}$, 10,000 trees $ha^{-1}$, and 40,000 trees $ha^{-1}$). Two-year-old seedlings were treated with and without stem cutting and planted with the density of 5,000 trees $ha^{-1}$. The survival rate of one-year-old seedlings with root pruning treatment in the density of 10,000 trees $ha^{-1}$ was 92%, while that without root pruning in the density of 40,000 trees $ha^{-1}$ was 67% after five years. The height of one-year-old seedlings has been significantly affected only by planting density in the $5^{th}$ year. The survival rate of the two-year-old seedlings with stem cutting was 75.5% and greater than control (67.3%) in the $5^{th}$ year but no difference in height was shown between the two treatments from three years after plantation.

온실(溫室)에서 자라는 낙엽송(落葉松)의 접목묘(接木苗)와 야외(野外)에서 자라는 실생묘(實生苗)로부터 개화(開花)의 유도(誘導) (Flower Induction in Greenhouse-grown Hybrid Larch Grafts and Field-grown European Larch Seedlings)

  • 신동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3호
    • /
    • pp.532-538
    • /
    • 1996
  • Indoor seed orchard의 가능성을 시험하기 위해 온실의 화분에서 자라는 낙엽송 접목묘와 야외에서 자라는 실생묘에 Gibberellins(GA4/7) 살포, 주입 및 몇가지 보조 처리를 사용하여 조기개화를 유도하였다. 온실의 화분에 지라는 접목묘에 대해서는 GA4/7 반복 살포 단독처리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나 보조 처리로서 사용된 root pruning은 상승효과를 보이 지 못했다. GA4/7 주입은 접목표의 치사를 초래하였기 때문에 유용한 방법이 아니었다. 10년생 실생묘를 이용한 야외실험에서는 GA4/7 살포와 보조처리로서 root pruning 또는 plastic mulching의 사용이 개화의 유도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 PDF

딸기 촉성재배 시 국소 냉방 및 단근처리와 국소난방이 화방출뢰와 난방에너지소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cal Cooling and Root Pruning on Budding and Local Heating on Heating Energy Consumption in Forcing Cultivation of Strawberry)

  • 권진경;강석원;백이;문종필;장재경;오성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6-54
    • /
    • 2019
  • 히트펌프와 냉온수 배관을 이용한 촉성재배 '설향' 딸기의 관부와 근권부에 대한 국소 냉난방 시험과 정식 전 딸기묘의 단근처리 시험을 수행하였다. 정식(2017년 8월 31일) 후 주간의 관부 표면온도는 국소냉방구가 $18{\sim}22^{\circ}C$로 화아분화에 적합한 온도를 유지한 반면 무처리구와 근권부 냉방구는 화아분화 한계온도인 $25^{\circ}C$를 상회한 $30^{\circ}C$ 이상으로 나타났다. 정식 후 30일 경과 시의 생육조사 결과 국소냉방처리 간의 생육차이는 없었으며 단근처리묘에서 초장과 엽병장이 상대적으로 작았으나 전체적으로 지상부의 생육저하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소냉방 및 단근처리에 대한 화방출뢰율을 조사한 결과 정화방 출뢰율은 구입묘를 제외하고 단근처리묘와 비단근처리묘에서 모두 관부 국소냉방구, 근권부 국소냉방구, 대조구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으며, 대조구, 근권부 국소난방구, 관부 국소난방구 모두에서 단근처리묘가 비단근처리묘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정화방 출뢰율은 관부 국소난방구 단근처리묘가 가장 높았으며 가장 낮은 무처리 비단근처리묘 보다 시기별 최대 3.8배 높게 나타났다. 1차 액화방의 출뢰율은 처리구 간 차이가 정화방에 비해 크지 않으나 정화방과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2018년 3월 27일까지의 상품과 수확량은 구입묘를 제외하고 관부 국소난방구, 근권부 국소난방구, 대조구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단근처리묘가 비단근처리묘보다 수확량이 높았다. 이러한 경향은 2018년 2월 14일까지의 정화방 중심의 초기수확량에서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2018년 3월 9일부터 국소냉방과 단근처리의 영향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방시험의 경우 근권부 국소난방구(근권 $20^{\circ}C$+공간 $5^{\circ}C$)와 관부 국소난방구(관부 $20^{\circ}C$+공간 $5^{\circ}C$)는 대조구(공간 $9^{\circ}C$) 대비 각각 59%와 65%의 난방유 절감이 가능하였으며, 히트펌프 가동에 의한 전기소비를 반영하였을 때 난방비는 각각 55%와 61%가 절감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히트펌프와 배관을 이용한 촉성재배 '설향' 딸기의 관부 국소냉난방은 초기수확량 증가와 난방에너지절감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화아분화 촉진에 의한 화방출뢰의 조진화는 정식시기, 환경조건, 초기생육이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이와 관련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초기 묘목크기와 단근강도가 이식 후 졸참나무의 지상부 및 뿌리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itial Seedling Size and Root Pruning Intensity on Above-ground and Root Development in Quercus serrata Seedlings after Transplanting)

  • 나성준;김인식;이도형;이위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03-510
    • /
    • 2013
  • 본 연구는 졸참나무의 건전한 1-1 조림용 묘목을 생산하기 위해 초기 묘고가 다른 묘목에서 적절한 단근의 강도를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1-0 노지묘의 크기를 구분하여 단근(5, 10, 15 cm)을 실시하였다. 1년의 생육기간이 지난 시점에서 묘고를 비롯한 지상부 생장량과 주근 및 측근의 발달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지상부의 생장은 초기 묘목 크기와 단근에 의해 다양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측근의 발달은 묘목 크기에 따른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묘고가 큰 묘목군에서는 15 cm로 단근된 묘목이 가장 우수한 지상부 생장량을 나타내었으며, 초기 묘고가 작은 묘목군에서는 15 cm와 10 cm로 단근된 묘목이 우수한 생장량을 나타내었다. 묘목 크기에 따른 생장은 초기 묘고가 큰 묘목이 작은 묘목보다 우수한 지상부 생장을 나타내었으며, 주근의 재생산량과 새롭게 발달된 측근의 수도 많았다. 하지만 측근의 길이 및 무게 생장은 작은 묘목이 더 많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고품질의 묘목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묘고가 큰 1-0묘를 생산하는 것이 다양한 장점을 가지며, 초기 묘고가 26 cm 이상의 큰 묘목은 15 cm로 단근하고, 초기 묘고가 24 cm 이하의 묘목은 10 cm로 단근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단근길이라고 판단된다.

개화결실촉진처리가 달피나무의 소지생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결과 (Effects of Flowering and Fruiting Stimulatory Treatments on Twig Growth of Tilia amurensis R$_{UBP}$.)

  • 이덕수;홍성각
    • 임산에너지
    • /
    • 제19권1호
    • /
    • pp.13-19
    • /
    • 2000
  •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veral stimulatory trements of flower and seed growth on the reproductive and vegetative growth of Tilia amurensis RUBP. The effects of mounded planting, girdling, root-pruning, bending and foliar fertilizer application on the fifteen to forty yead-old tress growing in the experimental plantation at the Konkuk University and the National forest at the Daegwanryung were measur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number and the longitydinal growth of internode were reduced by the treatments. The xylem growth of the longitudited more greatly than the bark growth by all the treatments. (2)The increasong rate of the brand angle as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was 2.11% in the girdling treatment, 31.61% in the mounded planting treatment, and 22.14% in root-pruning treatment. (3) The foliar application of fertilizer(N, P, K, and B) before flowering increased leaf and stem growth, that one after pollen fertilization increased the fruit growth. (4)The foliar application of fertilizer before flowering increased the xylem growth while that after pollen fertilization increased the bark growth. (5)The stimulatory effects of root pruning and branch bending on the flowering and seed growth were shown relatively less than that of mounded planting. The effect of the moinded planting on the yield of the seeds has remained continuously every year since planting the trees.

  • PDF

딸기 '설향'의 정식일, 정식전 단근 및 정식 후 굴취처리가 생육, 화방 출뢰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ing dates, Root Pruning before and Uprooting After Transplanting of Plantlets on Growth, Budding and Yield of Strawberry 'Seolhyang')

  • 최영준;엄선정;전하준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49-55
    • /
    • 2017
  • 본 실험은 '설향' 딸기에서 정식날짜와 정식전 단근처리 및 정식후 굴취처리가 생육, 출뢰율 및 수확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60~70일 묘령의 모종을 9월 7일, 9월 14일, 9월 21일 정식하였고 단근처리는 전체 뿌리의 25%, 50%를 각각 잘라내어 무처리와 비교하였다. 굴취처리는 9월 7일 정식한 묘를 10일후 굴취한 다음 재정식한 것과 20일후 굴취하여 재정식한 것을 비교하였다. 정식일이 늦을수록 지상부 생육이 억제되고 수량이 감소하였다. 정화방과 액화방 출뢰는 다소 앞당겨지는 경향이었다. 단근처리와 굴취처리는 지상부 생육이 억제되고 수확량이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25% 보다 50% 처리구에서 더욱 확연하게 보였다. 단근처리시 정화방과 액화방 출뢰일은 무처리에 비해 늦추는 경향을 보인 반면 정식 20일후 굴취처리에서 액화방 분화를 약 7일 정도 앞당길 수 있었으나 수확량은 무처리에 비해 낮은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액화방의 분화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강한 근권부 스트레스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나 수량과 생육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재배시 신중한 판단이 요구된다.

한국형 컨테이너 조경수 생산기술로서 컨테이너 모듈의 성능 평가 (A Study for the Evaluation of Container Modules; The Technology of Korean Container Tree Production Model)

  • 정용조;임병을;오장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59-67
    • /
    • 2016
  • 공공기관의 조경공사 설계시에는 일반적으로 조달청에서 고시하는 조경수목 가격을 반영하나, 수목 식재시 조달청에서 정한 세근발달 재배품이라는 규정이 거의 준수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규정을 준수하면서 하자율을 줄일 수 있는 조경수 생산의 신기술, 신제품인 지중 매립형 컨테이너 모듈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단근 후 3개월간의 세근 발생밀도, 세근발달 길이 및 굴취시 세근 유지율, 수목의 생육 지장 여부에 대하여 일반노지 단근과 컨테이너 용기 지상재배와 비교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근 발생의 밀도는 컨테이너 모듈을 사용한 조경수에서는 88%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 노지 단근은 64%로 상대적으로 낮았고, 컨테이너 용기를 이용한 지상재배 조경수는 고사하여 측정의 의미가 없었다. 둘째, 조경수의 세근발달과 세근 유지율은 컨테이너 모듈의 경우, 평균 길이는 10.4cm, 세근 유지율은 100%로서 굴취에 의한 세근의 손상은 없었으며, 노지 단근의 경우 평균 길이는 25.6cm, 세근 유지율은 56%로 컨테이너 모듈의 절반 수준으로 훼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컨테이너 용기 조경수의 세근발달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셋째, 컨테이너 모듈과 일반 노지 단근의 경우, 단근 작업에 따른 수목의 고사 또는 왜소엽 등의 지장이 전혀 없었다. 반면에 컨테이너 용기의 경우, 거의 전량이 고사하여 수목생육에 지장이 심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지중매립형 컨테이너 모듈의 성능을 평가해 본 결과, 세 가지 모델 중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컨테이너 모듈이 여름철 부적기 식재나 생육조건이 불리한 환경에서 수목의 빠른 초기 활착을 유도함으로써 하자를 예방하고, 조달청 규정 등에서 제시하고 있는 원칙을 준수할 수 있는 최적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