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t collar diameter growth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초

Physiological Response of Tetrapleura tetraptera (Schum. and Thonn.) Taub. to Soil Textural Class, Moisture and Light Intensity

  • Akinyele, Adejoke O.;Wakawa, Lucky Dartsa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3권2호
    • /
    • pp.97-104
    • /
    • 2017
  •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on response of Tetrapleura tetraptera (Schum. and Thonn.) to soil, water and light with the view of its domestication and introduction to different ecological regions. The experiment was arranged in a factorial experiment of $3{\times}3{\times}3$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CRD) with three replicates. The factors were: soil textural class (Loamy sand, Sand and Sandy clay loam), watering regime (daily, twice a week and once a week) and light intensity (100%, 75% and 50%). Soil textural classe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ollar diameter, stem height, number of leaflets, root/shoot ratio and relative growth rate of Tetrapleura seedlings. Seedlings grown on loamy sand recorded the highest mean value- 2.28 mm for collar diameter, stem height- 12.9 cm, number of leaflets- 19.9, chlorophyll b- $0.34mg\;mL^{-1}$, leaf relative water content- 27.4% and relative growth rate- $0.037mg\;g^{-1}\;day^{-1}$. Watering regim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llar diameter of Tetrapleura. Seedlings watered daily recorded the highest mean value- 2.25 mm for collar diameter. Light intensity significantly influenced collar diameter and root/shoot ratio. Seedlings exposed to 100% light intensity recorded higher mean value for collar diameter- 2.28 mm and root/shoot ratio- 1.481 cm. The interaction between soil textural class and light intensity significantly affected collar diameter, stem height and number of leaflets. Higher mean value for collar diameter (2.47 mm) stem height (13.25 cm) and number of leaflets (21.16) were recorded while the interaction between soil textural class, light intensity and watering regime was significant for only number of leaflets. Tetrapleura exhibited some level of tolerance to different soil texture, drought and light intensity. Therefore, Tetrapleura has the potentials to be raised in different ecological zones characterized by difference in soil, rainfall and amount of sunshine.

광도가 곰솔 유묘의 생장과 물질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ght Intensity on Growth and Biomass Production of Pinus thunbergii Deedings)

  • 김종진
    • 임산에너지
    • /
    • 제19권1호
    • /
    • pp.7-12
    • /
    • 2000
  • 본 실험은 광도가 곰솔(Pinus thunbergii Parl.) 유묘의 생장과 물질생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고자 자연전광이 100, 50, 30, 10% 및 2%로 조절된 야외포지에서 1997년 5월부터 1998년 10월까지 실시되었다. 곰솔의 수고생장 및 근원경생장은 1,2차년을 통하여 자연전광에서 가장 높악으며, 50%에서의 수고생장은 1,2차년도 각각 대조구의 96.4, 88.9%로, 근원경생장은 각각 94.1 77.6%로 조상되엇다, 30%이하로 상대광도가 낮아질수록 수고 및 근원경생장이 급격히 감소 되었으며, 근원경생장의 감소율이 수고생장의 감소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2차년도의 2%에서는 시험 유묘 모두가 고사하였다. 물질생산량도 광도가 낮아짐에 따라 감소되었으며, 1, 2차년도 모두 뿌리의 감소율이 잎, 줄기보다 높았고, 1차년도에는 줄기의 감소율이, 2차년도에는 잎이 감소율이 가장 낮았다. T/R율은 1차년도에는 50%에서,3.55, 2차년도에는 10%에서 4.88로 가장 높았다.

  • PDF

자외선-B 증가에 따른 소나무 유묘의 생장 단계별 생장 반응 (Growth Responses at Different Growth Stage of Pinus densiflora Seedlings to Enhanced Uv-B Radiation)

  • 김종진
    • 임산에너지
    • /
    • 제19권1호
    • /
    • pp.1-6
    • /
    • 2000
  • 본 연구는 소나무(Pinus densifora S. et Z.) 유묘의 발아전 단계, 자엽 단게 및 1차엽 발생후 단계 등 각각의 생육단계에서의 UV-B 증가 환경에 노출될 때의 생장반응을 탐구하고자 16주 동안 3수준의 UV-B(ambient UV-BBE, ambient + 3.2, ambient + 5.2 KJm-2s-1) 조사량이 설치된 야외 포장에서 실시되었다. UV-B 조사에 의하여 소나무 유묘의 수고생장, 근원경생장 및 건물생산량은 감쇠되었으며 T/R율은 증가하였다. 유묘에 대한 UV-B 처리시작 단계 차이에 따른 생장차이도 관찰되었는데, ambient +3.2 처리구내에서 보면 발아전 단계부터 UV-B 처리를 받은 유묘의 수고생장 및 근원경생장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주 수준의 UV-B 증가 처리구에서 모두 자엽단계부터 처리를 잗은 유묘의 건물생산량이 각 처리구내에서 가장 낮앗다. 한편 UV-B 증가에 의해 소나무 유묘 침엽의 엽롭소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엽록소 a/b율은 증가하였다.

  • PDF

배광성용기 사용이 생태녹화용 자작나무 유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Negative-Phototropism Pot on the Seedling Growth of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for the Ecological Revegetation)

  • 강병연;김재환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6권4호
    • /
    • pp.295-30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생태녹화용 유묘 생산에 적합한 재배용기를 선별하기 위하여 다양한 재배용기가 자작나무 유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용기는 일반용기, 일반용기 내부에 융기선 5 mm와 10 mm 설치, 일반용기 표면에 세로 절개홈 있는 배광성용기, 배광성용기 내부에 융기선 5 mm와 10 mm를 설치한 용기이었다. 재배용기에 따른 유묘생장 특성은 다음과 같다. 실험결과 온실 재배에서는 관수, 온도 등 관리도가 높아 수고, 가지수, 근원경 생장의 유의차가 없었으나, 뿌리생장은 유의차를 보이며 배광성용기에서 우수했다. 일반용기는 뿌리가 나선형의 비정상으로 자란 반면 배광성용기는 뿌리가 수직으로 자랐다. 노지이식 후 재배용기 처리에 따라 유의차를 보이며, 수고, 가지수, 근원경, 뿌리생장 모두 배광성용기에서 자란 유묘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광성용기에서 자란 유묘의 경우 뿌리가 수직으로 생장해 노지 이식 후 뿌리활착 및 생장이 우수했으며, 용기내부에 설치한 융기선은 5 mm이내가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배광성용기를 사용한 생태녹화용 자작나무 유묘에서 수고, 가지수, 근원경 및 뿌리생장에 큰 효과를 보여 배광성용기가 유묘생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헛개나무 선발개체 차대의 생장 및 엽특성 (Leaf Characteristics and Growth Performance in Progenies of Hovenia dulcis var. koreana Nakai)

  • 김세현;정헌관;장용석;한진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11
    • /
    • 2007
  • 우량품종 육성을 위해 선발된 헛개나무 차대묘 20가계의 생장특성과 엽특성을 조사한 결과, 전체 평균 묘고는 61.6cm, 평균 근원직경은 6.98mm였으며, 가계별로는 KW 2-5 가계가 평균 묘고 79.3cm로 가장 우수한 생장을 보인 반면 근원직경에서는 JN 2-2 가계가 평균 9.16mm로 가장 우수한 생장을 나타내었다. 묘고와 근원직경에서 가장 우수한 생장을 보인 KW 2-5와 JN 2-2 가계는 가장 낮은 생장을 보인 가계들과 비교하여 각각 57%와 53%의 우수한 생장을 보였다. 묘고와 근원직경의 초기생장 상위 10% 가계를 선발했을 때 KW 2-5와 JN 2-2 가계가 전체 가계 평균에 비해 125%의 선발 효과를 보였으며, 상위 20% 가계를 선발했을 때 KW 2-5, JN 2-2, KW 1-1, KW 1-15 가계에서 115%의 선발효과를 나타냈다. 한편, 엽장과 엽폭, 엽병길이와 엽병직경 및 엽형지수와 측맥수 등 6항목에 대하여 엽특성을 조사한 결과, 평균 변이계수는 $9.4{\sim}42.4%$로 나타나 변이 폭이 큰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엽병길이와 엽병직경 특성의 변이계수가 각각 42.4%와 28.7%로 다른 특성들에 비해 큰 값을 나타냈다. 조사된 엽특성들은 모두 가계간 유의적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엽장과 엽형지수간 상관을 제외한 모든 특성들간의 상관에서는 정의상관 관계가 인정되었고 특히, 엽장과 엽폭특성간의 상관계수가 0.8049로 나타나 두 특성간에 매우 유의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fluence of Initial Seedling Size and Root Pruning Intensity on Growth of Transplanting Seedling of Quercus acutissma

  • Na, Sung-Joon;Lee, Do-Hyung;Kim, In-Sik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09-717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root pruning intensity in combination with different initial seedling size on the growth of transplanting seedlings of Quercus acutissima. One-year-old seedling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depending on their height, i.e. small (< 15 cm), medium (25-35 cm) and large size (35 cm <). Root of seedlings was pruned by three intensity such as, leaving 5 cm (severe), 10 cm (medium) and 15 cm (light) of taproot from the root-collar. After one year, we investigated survival rate, height and root-collar diameter (RCD) increment and final shoot dry weight. Also we measured characteristics of newly developed lateral roots such as number, total length, dry weight and diameter. Severe root pruning showed the lowest survival rate in all seedling size. Height increment, RCD increment and shoot dry weight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intensity of root pruning. Seedlings of medium and light root pruning showed similar above-ground growth and dry weight of lateral roots. More large seedlings showed good survival rate, height increment and final shoot dry mass in all root pruning intensity. Therefore, one-year-old seedlings of Q. acutissima should be pruned taproot by 10 cm and transplanted to obtain excellent performance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planting work.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important that applying to different root pruning intensity depending on initial seedling size for producing 2-year-old seedlings with excellent growth and high quality.

편백 1, 2년생 노지묘와 용기묘의 생장특성 비교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of 1- and 2-year-old Bare Root and Container Seedling of Chamaecyparis obtusa)

  • 송기선;차영근;최진영;김종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2호
    • /
    • pp.317-323
    • /
    • 201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주요 조림수종인 편백(Chamaecyparis obtusa Sieb. et Zucc.) 노지묘와 용기묘의 생육단계별 생장특성을 탐구하고자 수행되었다. 1년생 노지묘의 간장생장은 용적이 31.2 mL와 300 mL 용기에서 생장한 용기묘 보다 좋았으며, 근원경 생장은 300 mL 용기의 용기묘가 가장 좋았다. 2년생 노지묘는 300 mL 용기의 용기묘보다 간장 및 근원경생장이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건물생산량 비교에서, 1년생 지상부는 32 mL 용기묘가, 지하부 및 전체 건물생산량은 300 mL 용기묘가 가장 높았다. 2년생의 경우는 지상부는 노지묘가, 지하부는 용기묘의 건물생산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뿌리전체길이, 뿌리투영단면적, 뿌리표면적, 뿌리평균직경, 뿌리부피 등 묘목의 뿌리형태 특성 비교에서, 1, 2년생 용기묘 모두 뿌리평균직경을 제외하고는 노지묘보다 더 높은 생장을 보였다. 본 실험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편백 묘목생산과정에서 용기묘가 노지묘에 비해 상대적으로 뿌리발달이 뛰어난 묘목으로 생장한 것으로 판단된다.

시비처리가 소나무 용기묘와 노지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tilization Treatments on Growth of Container and Bare Root Seedlings of Pinus densiflora)

  • 조민석;김길남;이상태;문현식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2호
    • /
    • pp.63-7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 용기묘와 노지묘를 대상으로 조림과정에서 5가지 시비 처리(무시비, 심층시비 20, 50, 100g 및 표층시비 20g)에 따른 생존율, 생장 특성 및 묘목품질지수를 조사 분석하였다. 조림지에 묘목 식재 시 시비처리에 따른 생존율은 처리구별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며, 심층시비 100 g 시비를 실시하여도 과량 시비에 의한 피해를 보이지 않았다. 소나무 용기묘와 노지묘의 연차별 근원경과 묘고 생장은 심층시비 100 g에서 가장 높았으며 또한, 물질생산량과 묘목품질지수에서도 생장 특성과 같은 경향이 나타났다. 모든 시비 처리구에서 전반적으로 용기묘가 노지묘보다 우수한 생장을 보였으며, 적정 시비 처리에 따른 효과 또한 용기묘가 노지묘보다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Growth of Salix gracilistyla Miq. Originated from Provenance in Gangwon-do, Korea for Bioenergy Resource

  • Hyunseok Lee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추계국제학술대회
    • /
    • pp.59-59
    • /
    • 2020
  • Salix gracilistyla has a characteristic of fast growth especially in the river side or infertile soil, showing a lot of lateral branches and a strong root system among the Salix. spp. On the basis of results observed, we provide several growth characteristics of S. gracilistyla among some selected provenances. In two-year results, root collar diameter ranged from 33.5 mm to 56.7 mm. Taeback showed the lowest value, and Jeongseon and Hoengseong were higher than the other areas in the traits above. Height growth was the lowest in Samcheok and the highest in Wonju. To examine growth and development of lateral branches is important because S. gracilistyla has a lot of lateral branches which account for high biomass production. Length of lateral branch showed high variation, in which the highest number was observed in Yeongwol and the lowest in Samcheok. Many lateral branches were shown in Wonju. Preliminary study on biomass resources evaluation, we analyzed correlation between volume and length, and volume and root diameter. High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root diameter and plant volume. And we compared the observed volume with the caculated volume by regression formula. To evaluate Salix species as biomass resources, it is needed to survey growth characteristics continuously and adopt selection of individuals or families of high biomass and caloric values by reliable data. In addition, Salix spp. can be also applicable to selection breeding regime because of feasible propagation and fast growth.

  • PDF

SCB액비 처리가 편백의 초기생장에 미치는 효과 분석 (Analysis of Slurry Composting and Biofiltration Liquid Fertilization on the Initial Growth of Chamaecyparis obtusa)

  • 이상현;정수영;이광수;김현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4호
    • /
    • pp.594-602
    • /
    • 2022
  • 본 연구는 편백의 초기생장에 대한 slurry composting and biofiltration(SCB)액비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대조구(control), 화학비료처리구(chemical fertilizer : CF), 퇴비처리구(compost : CP), 저농도액비처리구(low liquid fertilizer : LLF) 및 고농도액비처리구(high liquid fertilizer : HLF)로 조성하여 처리구별 5본씩 3반복 실험을 하였다. 생장량분석 결과, 고동노액비를 200% 처리한 HLF-200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생장량을 보였다. 시비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HLF-200처리구와 대조구를 대상으로 근원직경 및 수고 생장모델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대조구와 HLF-200처리구 근원직경생장모델의 경우 각각 Schumacher 동형방정식 및 Schumacher 다형방정식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고생장모델의 경우 Gompertz 다형방정식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정된 모델에 따른 생장곡선을 통해 근원직경과 수고의 생장량 및 생장률 모두 대조구보다 HLF-200처리구가 높아 시비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CB액비를 통한 시비처리가 편백의 초기생장 증진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