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f Style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2초

고려시대의 호남지역 신라계 석탑 연구 (A Study on Stone Pagodas with Silla Style in the Honam Region of Korea in Goryeo Period)

  • 탁경백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4호
    • /
    • pp.4-21
    • /
    • 2016
  • 이제까지 호남지역의 석탑은 대체로 백제의 고토란 이유로 백제계 석탑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지정문화재를 중심으로 검토한 결과 호남지역의 석탑은 94기이고, 이중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백제계 석탑은 15기, 신라계 석탑은 34기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논문은 이제까지 백제계 석탑에 편중한 연구에서 신라계 석탑에 대한 검토를 통해 호남지역 석탑의 새로운 면모를 밝히고자 하였다. 석탑의 지역적인 배치를 통해 본 결과, 통일신라시대에는 전라남도에 치중하여 신라 석탑이 만들어졌다. 그러나 고려시대에 들어오면 호남지역 전역에 걸쳐 불국사 삼층석탑을 모방한 신라계 석탑이 건립된다. 이러한 점은 이전의 시기보다 신라계 세력의 호남지역에 대한 불교지배력이 강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현상은 백제계 석탑과 신라계 석탑이 공존하는 김제, 정읍, 순창 담양, 영암 강진을 중심으로 확인할 수 있다. 호남지역 신라계 석탑의 기단부의 형식은 이층기단은 21기, 단층기단은 12기이다. 이러한 현상은 신라 석탑이 가지고 있는 특징 중 하나인 이층기단을 계승하고자 했던 의도로 파악된다. 단층기단도 1매석, 또는 자연암반을 하층기단 삼아 단층기단으로 만들어진 탑도 2기가 있었다. 탑신부는 삼층석탑이 21기, 오층석탑이 12기이며, 1층탑신석을 1매석으로 만든 탑이 25기로 신라석탑의 전형적인 3층탑신부와 탑신석 1매석 제작 전통을 잘 계승하고자 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옥개받침은 3단, 4단, 5단 등 그 구성방법이 다양하게 확인되었다. 전체적으로 이층기단을 가지고 있는 석탑 중 상층기단과 하층기단에 탱주가 있는 석탑은 16기 중 12기가, 삼층석탑은 21기 중 15기가 전라남도에 분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신라계 석탑의 정형성을 잘 계승하여 더 많이 유행한 지역은 전라남도임을 알 수 있었다.

해체주의 건축 디자인에서 설치미술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to Installation Art in Deconstruction Architecture Design)

  • 김명옥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2호
    • /
    • pp.10-17
    • /
    • 1997
  • The lastest art is being characterised by an ever active exchange between different genre. This is a study on the installation aspect in deconstruction architectured and interior design. The progressive and aggressive nature of installatation art embodies uncatagorized genre, the freedom of material application, introduction of the notion of time in space, the reversion of subject and object, the union of art and every experience, understanding of object through deconstruction, enlargement of concept of space, collage-style composition and layer technique. I can conclude that the installation aspect in Tshumi's Parc de la Villette is its call upon the audience to actively participate, the introduction of a coincidental conjunction, its challenge on the conventional idea of park and its flexibility caused by human activity and time. In Hadid's Hong Kong Peak Club the installation aspect is the application of layer technique using four enormous beams horizontally laid out on a man-made moutain. Furthermore, Libeskind's pursuit of the mental in Berlin Museum Extension through the penetration of an invisible line into a void creates a new interpretation of the role of a museum and thus relates itself to installation art. The installation aspect in Himmelblau's Vienna Roof Renovation is the literal deconstruction of the roof of an old building in the old section of Wien and the expression of time and space through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interior and exterior environment by the use of juxtaposition technique. Finally, I note that the installation aspect in Gehry's Santa Monica Residence is the reorganization of cheap material as a form of 'object', that creates spon-taneity, movement as well as flow of time in space and ex-hibit the double-sidedness of the visible world.

  • PDF

신라 분황사탑의 '모전석탑(模塼石塔) 설(說)' 대한 문제 제기와 고찰 (Inquiry about 'The Theory of Brick-Copy' of the Stone Pagoda at Bunhuangsa Temple)

  • 이희봉
    • 건축역사연구
    • /
    • 제20권2호
    • /
    • pp.39-54
    • /
    • 2011
  • The Bunhuangsa stone pagoda, constructed in AD. 634, National Treasure no. 30, has been named as 'brick-copied pagoda' since the Japanese-ruling period by scholars. It is said that the Chinese brick pagoda was its precedent model, however the Bunhuangsa Pagoda is the oldest of all the Chinese-style brick pagodas except one, the Sungaksa Pagoda. The Chinese pagoda cannot have been a precedent model to copy due to its complex detail of wood vestige, as the Bunhuangsa pagoda is simple form without ornament. Domestic brick pagodas cannot have been a precedent model to copy as well, because all the domestic brick pagodas are younger than the Bunhuangsa Pagoda. Therefore, the terminology 'brick-copied pagoda' is a fallacy; it is rather that later brick pagoda copied the precedent the Bunhuangsa stone pagoda. The Bunhuangsa Pagoda is simply a piled-up pagoda of thick or thin, big or small slates of stone, facing only one smooth side and therefore needing nothing to relate to brick. The originality of the pagoda is more related to simple piled-up Indian stone stupa rather than Chinese brick pagoda. The roof form of its gradually stepped projection comes from the harmika of the summit of Indian stupa. Contrary to general history, old Silla Dynasty imported Buddhism directly from India by sea. From written national history and by temple foundation history, the Indian Buddhism evangelist possibly made influence to the erecting of temple and pagoda. The original wrong terminology has made a harmful effect gradually to the naming of mass-styled stone pagoda of only carved stepped-roof form after brick-copied pagoda. The false term 'brick-copied pagoda' should be discarded, which comes with superficial observation based on toadyism to China and colonialism to Japan. Instead of the fallacious term, this paper suggests multi-storied 'piled-up pagoda with slate stone.'

경남 도서지역 촌락의 가옥 유형에 관한 연구 - 지붕 형태와 지붕 재료를 중심으로 - (The Types of the Rural Housing in the Sea Islands of Gyeongnam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Roofing Types and Materials)

  • 이전;성화룡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60-672
    • /
    • 2015
  • 촌락 가옥은 촌락 경관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기존의 촌락 가옥에 대한 지리학 연구는 주로 전통적인 민가에 초점을 두었으나, 본 연구는 오늘날의 촌락 가옥에 초점을 둔다. 본 연구는 경남 도서지역 가옥의 지붕 형태와 지붕 재료를 중심으로 제시하는 촌락 가옥의 유형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지역의 가옥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해서 지붕 형태와 지붕 재료를 분류하는 기준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촌락 가옥의 유형화를 시도한다. 지붕 형태를 중심으로 분류하는 가옥 유형에서는 팔작지붕 우진각 맞배지붕과 같은 전통적인 지붕 형태를 가진 가옥이 많고, 전통적인 지붕 형태 이외의 가옥 유형에서는 단순평지붕 가옥이 많다. 두 개 이상의 지붕 형태를 가진 결합양식지붕 가옥 유형의 경우, 경사-평지붕 가옥이 경사-경사지붕 가옥보다 10여 배나 많다. 지붕 재료 중에서는 시멘트, 컬러강판, 인조슬레이트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특정 지붕 재료가 특정 지붕 형태에서 두드러지게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통해 연구지역의 주요한 가옥 유형을 '지붕 재료와 지붕 형태'를 중심으로 다섯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다.

  • PDF

말초신경계 치료를 위한 초미니 Loop-코일프로브 삽입형 자기치료기의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manufacture of mini loop coil probe style magnetic curer for peripheral nervous system treatment)

  • 김휘영;최진영;박성준;김희제
    • 벤처창업연구
    • /
    • 제2권1호
    • /
    • pp.153-169
    • /
    • 2007
  • 열작용에 의한 전자파의 안전성을 생각하는데 있어서는 , 이 30${\sim}$300MHz 부근의 주파수대가 가장 중요하고 기립 신장 방향의 공진 상태에서는 목, 슬 관절, 발목 등 가는 부분이 강하게 가열되는 위험이 있다. 이처럼 자기자극기는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자계를 인체내부에 전계를 유도하여 무접촉성, 무침습적으로 깊고, 넓은 부위의 자극이 가능한 이점으로 말초신경, 뇌질환, 뇌신경, 근력, 요실금, 노인성, 근질환, 재활치료 등까지 근래에 와서 활발하게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마지막으로 초미니 자기신경 치료기를 말초신경계 질환치료에 적용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첫째로 자기루프 객체의 실린더 형태로 설계하고 동작전원과 제어장치를 구현하였고, 둘째로 루프 객체 실린더형이 프로브의 특성과 치료영역 범위와 치료펄스의 거리에 대한 유효영역을 구하였고, 셋째로 프로브의 형태에 따른 펄스포밍과 에너지 값을 구현하여, 병변에 따른 치료펄스를 구현할 수가 있었다. 특히, 특성실험을 통해 댐핑펄스 형태와 치료펄스 형태 등을 다양하게 구하게 되었다. 최근에 의학 발달로 무자극, 무침습에 따른 질환치료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구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진폭 치료펄스(전통적인 magneto-therapy)의 크게 대단한 강렬)는 짧은 시간에 치료효과를 극대화 하고, 미래에는 수요가 크게 확대 될 것으로 예측된다.

  • PDF

백제 판단첨형식 연화문의 형식과 편년 (The Styles and Chronicle Years of Lotus Flower Patterns of the Shape of Straight and Pointed Petals of Baekjae)

  • 조원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3호
    • /
    • pp.132-153
    • /
    • 2009
  • 판단첨형식 연화문은 연꽃잎이 뾰족한 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원형돌기식, 삼각돌기식, 판구곡절식 등과 더불어 백제의 대표적인 연화문 형식 중 하나이다. 이 연화문은 백제 한성기부터 사비기에 이르기까지 와당을 비롯한 불상 광배, 사리병, 두침 등에 다양하게 시문되었다. 그러나 현재 남아 있는 대부분의 판단첨형식 연화문은 사비기의 와당에 시문된 것이 대부분이다. 이들 연화문은 중국 북조나 남조, 고구려 등의 영향으로 제작된 것이 대부분이나 풍납토성 경당지구 출토와당, 용정리사지 출토 와당, 왕흥사지 출토 사리병 등에 시문된 연화문으로 볼 때 중국 북조의 영향이 절대적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백제기에 나타난 여러 문양의 판단첨형식 연화문은 당시 백제의 활발한 문화교섭을 판단케 한다. 백제의 판단첨형식 연화문은 그 평면형태에 따라 보주형, 유엽형, 세장유엽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보주형은 풍납토성 및 용정리사지에서 검출된 와당으로 그 시기는 한성기~웅진기의 것들이다. 반면, 유엽형 및 세장유엽형의 연화문은 무령왕릉 왕비두침, 은제탁잔, 서혈사지 와당, 구교리사지 와당, 하죽리 와당 등에서 확인되고 있어 웅진기 이후인 6세기 전반 이후의 연화문임을 추정케 한다. 현재 판단첨형 연화문 중 가장 이른 시기의 것은 풍납토성 경당지구에서 수습된 5세기 중반대의 것이다. 그러나 향후 점진적인 발굴조사를 통해 시기적으로 선행되는 와당이 수습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아울러 다른 다양한 형식도 출토될 여지가 적지 않다. 나아가 중국 남북조시기의 사지, 왕궁지, 기타 건물지의 발굴조사를 통해 다른 판단첨형식 연화문이 수습될 가능성도 적지 않다. 이는 그 동안 알려지지 않은 백제 판단첨형식 연화문의 계통을 파악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가스소화설비를 이용한 목조 문화재 적심부 화재진압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Method for Fire Suppression in a Central Area inside the Roof of a Wooden Cultural Property using a Gas Extinguishing Apparatus)

  • 김현성;김병선;조원철;임윤묵
    • 한국재난관리표준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65-71
    • /
    • 2010
  • 본 연구는 우리 조상의 소중한 목조 문화재가 화재로 인해 소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재진압 방법 중 하나인 가스소화설비를 이용하여 목조문화재 적심부의 화재진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목조문화재는 적심부로 연소 전이시 진압이 매우 곤란하기 때문에 적심부 연소시 파괴를 수반하지 않는 화재 진압은 불가능하다. 스프링클러설비 등과 같이 현대 건축물에 설치되는 소방시설은 소화효과는 높은 반면에 설치와 작동에 따른 문화재 손상의 우려가 높아 목조문화재에 대한 적용성이 낮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최소화하면서 소화효과를 거둘 수 있는 소화설비 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타당성이 입증된 시험결과를 토대로 설치방안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적심부는 한국 고유의 건축방식으로 외국에 유사사례를 찾아 볼 수 없어 고정소화장치 개발을 통한 화재진압의 신속성과 효율성을 제고한 가스계 소화설비 소화방법을 개발하여 문화재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을 연구하였다. 연구내용으로는 연구 실험 모형틀을 제작하여 소화방법을 수립, 소화시설을 설치하여 1차로 개판 천공 주수공 설치의 화재진압 효과성을 실험하였고 2차로 개판 천공 소화가스 주입구 설치의 화재 진압 효과성을 실험하였으며 그에 따라 숭례문과 유사한 목조 문화재의 경우 지붕의 적심부가 화재진압의 성패를 결정함으로 향후 유사사건의 발생시 신속하고 효율적인 화재진압을 위하여 소화방법에 관한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그에 따라 목조 건축물(문화재) 진압대책 수립을 위한 객관적 데이터를 확보하였고 가스계 고정소화설비의 설치를 통한 문화재 방화대책 효과의 과학적 검증을 제시하였다.

  • PDF

개방돈사의 무창돈사형 환기시설 개선 효과 (The Effect of Vantilation System Renovation from Winch Style to Non-window Style for Swine Barn)

  • 송준익;전중환;박현경;강희설;최동윤;김두환;박규현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9-114
    • /
    • 2010
  • $\bigcirc$ 현장조사 결과 우리나라 개방식 돈사의 측벽 비율은 윈치시설이 90% 이상이었고, 반무창은 5%였으며 무창 또한 5% 전후로 조사되었다. $\bigcirc$ 리모델링 돈사는 복도덕트로 입기를 하였고 지붕 또는 측벽배기로 하였고 이때 돈사의 폭 10~12 m, 길이 30~50m 전후로 조사되었다. $\bigcirc$ 에너지 절감효과를 위한 복도 설치는 개방식 돈사의 리모델링 개조시 돈사 출입문에 복도 2~3 m (돈사길이 비율 7~8%)를 설치가 양호하였다. $\bigcirc$ 리모델링 돈사의 환기시스템은 복도에서의 덕트를 통한 입기를 실시하고 양쪽 측벽을 판넬 등으로 밀폐화 (무창)를 하고 측벽배기를 하였다. $\bigcirc$ 폐사율 저감은 개선전 11% (47두)에서 개선후 3% (12두) (73% 감소) 되었으며, 에너지 절감효과는 개선전 155만 원 (5,595 kw)에서 개선후 73만 원이었다. $\bigcirc$ 경제성을 분석한 결과 400두 돈사를 리모델링 할 경우 겨울철 4개월 (12월부터 3월까지) 사육할 경우 2,835,680원 이익을 얻을 수 있었다.

범어사 보제루의 복원을 위한 건축형식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Form for the Restoration of Boje-roo in Beomeo-sa)

  • 서치상;윤석환
    • 건축역사연구
    • /
    • 제18권6호
    • /
    • pp.127-144
    • /
    • 2009
  •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architectural form for the restoration of noogak(樓閣), Boje-roo(普濟樓) which was constructed at the central court of Beomeo-sa(梵魚寺). The results are as follow; 1. Boje-roo was established in 1700. By the constructional records and poetic essays of the times, the architectural of the establishment building was consisted fo two stories structure. The passage system for the approach to the court was the nuha-jinip(樓下進入), that is to say, one might walk between the columns of lower story of the building. And one could ascent the upper stairs and approach to the upper level, inner court. 2. By the remodelling in 1812, the building was varied to one story structure. Therefore the passage system for the approach to the inner court transformed from the nuha-jinip to the ugak-jinip(隅角進入), that is to say, one might ascent the atairs of the podium and could approach the inner court through the both sides of the building. 3.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tic rule, the structure of it's roof and walls of Boje-roo were altered to the Japanese style. In 1965, the wooden columns were shifted to the concreted column, and the wooden wall-panels were shifted to the brick wall attached stone slates. 4. Conclusively speaking, for the restoration of Boje-roo, the establishment form in 1700 is the more proper than the remodelling form in 1812.

  • PDF

대학교 본관 파사드에 나타난 연대별 디자인 표현 특성 (A Study on the Periodic Characteristics of Design Expression in the Facade of the Main Adminstration Building in University)

  • 서희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11-21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sign characteristic of the facade of the main adminstration building in university. The main administration building which is a basic of educational facilities has various administration setups, such as the register's office, the student affairs section, the planing department, the general affair's office and so on. This building performs academic, administration, facilities management, and admissions service. Also, the building has an ideological, historical, and symbolic image, having an organic relationships with the other educational facilities. This study choose one hundred seven universities, except universities that does not provide information easily and the second campus which does not have the main administration building,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The analysis is derived from the design elements applied to facade design of the main administration building and this is divided into design principles(balance symmetry, contrast, rhythm), the formal composition(geometrical, linear), and the style of architecture(classical architecture and modern architectu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design characteristic of the facade of the main adminstration building in university has chronologically changed. First of all, in the 1940's, symmetry emphasized on the center of building, superimposition, division, pediment, and arch were marked. Then, superimposition was prominent in the 1950's and symmetry emphasized on the center of building was shown in the 1960s again. Flat roof was in the 1970's, 1990s and 2000's. Finally, pediment was dominant in the 1980's. The design elements of the main administration building can be samples of chronological styles of architecture. Facade design, with proper design of the past and recent times, includes the meaning that achieve the great purpose of the university by emphasizing visual im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