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f Greening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18초

경량형 옥상녹화 식재기반의 물리성과 레플렉숨 생육특성 (Growth Performance of Sedum reflexum and Physical Properties of Extensive Green Roof Growing Media)

  • 이홍;강태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50-59
    • /
    • 2014
  • 이 연구는 식생모듈박스에 적용한 레플렉숨을 중심으로 식물 생육특성 간의 관계 및 식물의 생육특성과 토양 물리적 특성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이 실험에서 토양 물리적 특성과 식물 생육특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의 분석은 SPSS Ver 19.0 for Window용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토양 물리적 특성과 생육특성의 다중회귀 분석 결과, 레플렉숨에 대한 회귀식은 초장=$3.993-14.070^*$(용적밀도)+$.233^*$(고상)+$.038^*$(액상)+$.068^*$(침투율)로 나타났으며, 이 중 용적밀도와 고상이 유의성 있게 나타났다. 레플렉숨에 대한 회귀식은 초폭=$2.931-33.925^*$(용적밀도)+$.566^*$(고상)+$.206^*$(액상)+$.027^*$(침투율)이며, 이 중 용적밀도와 고상이 유의성 있게 나타났다. 즉, 초장 및초폭과 토양의 물리적 특성은 일정한 회귀식으로 작성할 수 있다. 상하부 생체량과 건중량은 토양의 물리적 특성과 직접적인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에너지성능기준 강화 이후 국내공공기관 업무용 건축물의 디자인경향 (A Study on Design Tendencies in Office Buildings of Public Institutions after Reinforcement of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Criteria in Korea)

  • 이아영
    • KIEAE Journal
    • /
    • 제11권6호
    • /
    • pp.139-149
    • /
    • 2011
  • This study focuses on design tendencies in office buildings of public institutions after tightening up Korea's building energy performance criteria. Important office design criteria and recommendations pay attention to the issues such as building orientation, greening buildings, building form, space and envelop by intensifying building energy performance related laws, government guidelines and evaluation systems. The design tendencies explored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Office buildings mainly face south and have various types of indoor and roof green spaces not for ecological reasons but for the rest. Building depth becomes thinner and atria are inserted into office buildings to improve daylighting and natural ventilation. Building cores are located on north or west and east sides acting as buffer spaces to reduce heat loss and to block solar radiation. Office building envelop design includes various creative ideas to control or utilize solar energy as like three dimensional or double structured skin and window size variation to cope with the intensity of solar radiation. Further, solar energy generation systems are integrated with building component such as roofs, sun screens and window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government's reinforcement of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criteria drives the change in design methods and approach.

시뮬레이션을 통한 인공지반 교목의 탄소저장량 변화 (Simulating Carbon Storage Dynamics of Trees on the Artificial Ground)

  • 유수진;송기환;박사무엘;김세영;전진형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1-22
    • /
    • 2017
  • 저탄소 도시 실현의 대안으로써 저탄소경관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다중 스케일 차원에서 디자인 요소들의 동태성을 이해해야 하며, 탄소 저장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하여 인공지반 교목의 탄소저장량 변화를 장기적인 측면에서 시뮬레이션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의 과정은 인과지도를 통해 다중 스케일 측면에서 탄소순환의 동태성을 분석하고, 강남구청 본관 옥상공원의 탄소저장량에 대하여 2008년, 2018년, 2028년, 2038년의 변화를 시뮬레이션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반 교목과 도시 탄소순환 탄소저장량의 관계에 대한 인과지도 분석결과, 다중 스케일간의 관계성이 확인되었다. 둘째, 시뮬레이션 모델의 주요변수는 '바이오매스', '탄소저장량', '고사유기물', '탄소흡수량'이 선정되어 모델에 활용되었으며, 적합도는 $R^2=0.725$(p<0.05)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뮬레이션 모델 결과, 인공지반 교목의 탄소저장량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수종의 순위가 다양하게 변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홍단풍, 소나무, 자작나무와 같은 수종을 강남구청 본관 옥상공원의 탄소저장량 향상을 위한 수종으로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저탄소경관 계획 시 식재계획의 기준안 또는 수종 선택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인공토양에 혼합된 지오휴머스가 토양수분 증가와 식물의 건조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eohumus Mixed with Artificial Soil on Soil Water Retention and Plant Stress Response)

  • 이염;김동엽;김형보;김영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1
    • /
    • 2016
  • Currently, urban green space is disappearing due to urban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including the disruption of the ecology in urban areas. To solve such problems and increase urban green area, roof greening has been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hrough observing the responses of three plant species (Mukdenia rossii, Dianthus chinensis, and Pachysandra terminalis) plantrd on the soil mixed with Geohumu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Gehumus on soil water content and plant survival. Soil water content of the rooftop soils has been increased when mixed with Geohumus. The responses were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Geohumus in the mixture. Geohumus exerted a stronger influence on raising soil moisture content for soil A which had lower water-holding capacity. The stress responses of the plants varied in relation to the amount of Geohumus and soil moisture content. The stress response was lowest for Dianthus chinensis and increased in the order of Mukdenia rossii and Pachysandra terminalis. With the highest plant stress, Pachysandra terminalis showed the lowest survival rate among the three species. Without irrigation, the plants survived only for six weeks on green roofs. The survival rate differed depending on the amount of Geohumus mixe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with some exceptions, that Geohumus helped to improve soil water content, reduce plant stress, and extend plant survival period.

녹지자원을 활용한 대구광역시 녹지연계망 구축방안 (A Study of the Establishment of Green Network in Daegu Metropolitan City Using Green Resources)

  • 이동훈;허상현;홍광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9호
    • /
    • pp.961-970
    • /
    • 2009
  • This paper has attemp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urban environment in terms of the management of urban green tract and suggest a way of coexistence between human and nature by proposing a plan to establish green network using an urban green zone based on 'linear concept' instead of point and plane concepts. The results have turned out as follows: 1. According to current status of forest functions, forest recreation area has reached 39.6%, satisfying citizens' needs. However, the space for living environment is just about 20% with a lack of a green zone. Therefore, it's been necessary to establish green network using roadside trees and take advantage of them as sustainable living space along with existing green tract. 2. With forest in the suburbs and Geumhogang which is the tributary to the Nakdonggang, Sincheon (stream) flows through the downtown. It connects mountains including Waryongsan from the south to the north around Duryu Park and Dalseong Park. Therefore, the water system that passes through Palgongsan (Mt.) and Biseulsan (Mt.) would make it possible to connect with the parks in the downtown. 3. According to this paper, it appears that it's necessary to establish green network through roof or wall greening by focusing on the existing green tract in the urban parks and suburbs and taking advantage of roadside trees and water system.

병원 옥상정원의 이용후 평가 - 서울아산병원을 대상으로 - (The Post-occupancy Evaluation of Roofgarden at Hospital - A Case Study of Asan Medical Center -)

  • 김인혜;허근영;최아현;김유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8-72
    • /
    • 2003
  • Rooftop greenery has been used as a way to solve urban environmental problems by creating green space in densely populated citi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ggest more effective designs for roof-garden at hospitals through a post-occupancy evaluation. The roofgarden of Asan Medical Center was evaluated with regards to setting, proximate environmental context, users, and design activity by a multi-method including plan investigations, observations, in-dept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users' main activities included resting, walking, and talking. A number of users were observed at shaded spaces sitting on such things as benches, pergolas, and shelters. The satisfaction of the users showed high satisfaction level except in the amount of shade, facilities, and shelter. The variables affecting a overall satisfaction were ‘accessibility’, ‘safety’, ‘quality of surroundings’, and ‘suitability for speculation’. By comparing the design concept with using pattern, designer's intention was not reflected sufficiently in several aspects such as ‘event deck for therapy programs’, ‘grove and path’, and ‘low planters’. This study suggests some design implications; it is necessary to furnish shaded sitting places for passive behaviors and pathways for walking or a light exercise. A wind-break wall with glass windows could widen the users' views in a limited space. Natural shade like tree shade or pergola are more desirable than artificial shades. As for the vertical location of the roofgarden, the middle floor could be better than top area for accessibility. Characteristics of building and users should be considered in detail to provide distinct spaces. Proper technical standards for the greening of artificial ground should be established.

콘크리트 균열폭에 따른 녹화 식물 뿌리 침입 및 방수층의 수밀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 Roots Penetration and Watertightness of Asphalt Sheet according to the Cracks Width of Press Concrete)

  • 엄태호;김영삼;이종석;신홍철;김영근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12-117
    • /
    • 2016
  • 최근 인공지반녹화가 주변 생활공간의 쾌적화, 에너지 절약효과, 도시 미관의 환경개선 등의 장점을 갖고 있어 콘크리트 위에 녹화 공간 조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축공사 표준 시방서, 건축물 녹화 설계기준 등에서는 방수층의 수밀안정성 확보를 위해 일정 품질 이상의 방근층 설치를 규정하고 있으나, 실제 우리나라의 많은 현장은 방수층 위에 누름콘크리트 타설 후 인공녹화를 시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근층을 시공하지 않은 현장을 대상으로 지표를 설정하였으며, 누름콘크리트의 균열에 따른 식물의 뿌리가 균열부로 침입 및 관통하여 누름콘크리트 하단부의 아스팔트 방수시트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GIS를 활용한 생태면적률 산정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Biotope area ratio Estimation Model using GIS)

  • 이지수;이승욱;이승엽;홍원화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9-18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신도시 등의 조성에 있어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고 시민들에게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도입된 생태면적률을 산정하는 모델을 개발하여 구축의 효율성과 데이터베이스 유지관리의 간편성과 정확성을 확보함에 있다. 특히 생태면적률은 현재 환경영향 평가 뿐만 아니라 친환경 인증기준 중 생태환경기준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생태면적률의 산정도 구축을 위한 지표가 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결과자료의 누락, 데이터 수정보완의 어려움과 같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IS를 통해 도형 자료를 구축하고 가중치의 속성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생태면적률 산정은 토지이용계획도를 기초로 하여 건폐지의 경우 옥상 및 벽면 녹화, 비건폐지의 경우 수공간, 인공지반, 틈새투수포장, 자연지반 녹지의 공간유형을 대상으로 한다. 가중치가 부여된 공간유형정보는 도형정보와 통합되고 통합된 자료는 향후 토지이용에 따른 분석을 위해 토지이용계획 정보를 블록 별로 부여한다. 한편, 공간유형별 가중치 적용의 경우 도출방법이 각 지자체나 적용 주체의 상황에 따라 특성에 맞게 판단기준의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그 수치가 유동적일 수 있으나 본 모델에서 수치변화에 대한 탄력적인 대응이 가능함으로써 간편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구축의 모델로 활용될 수 있다.

초등학교 주변을 중심으로 본 서울시 도시녹지 현황 분석 및 고찰 - 원격탐사 방법을 이용한 식생분류 -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alysis of Urban Green Spaces in Seoul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Surroundings - Remote Sensing Based Vegetation Classification -)

  • 김현옥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8-18
    • /
    • 2012
  • 도시자연은 물리적 환경개선 기능은 물론 사회적, 정서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학교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은 우리나라의 경우 학교 옥외공간을 비롯하여 인근에 조성된 녹지공간은 자연체험의 기회가 적은 도시 아이들이 가장 쉽게 자연을 접할 수 있는 일차적인 장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도시의 녹지현황을 학교 주변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서울시 185개 초등학교를 선정하고, 학교 옥외공간을 포함한 반경 300m 이내(본 연구에서 '학교존'으로 정의) 주변 녹지 현황을 RapidEye 다중분광 인공위성 영상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학교존 평균 녹지율은 약 21%이고, 최고 74%에서 최소 0.7%까지 편차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과반수 이상의 학교존 녹지율이 20% 미만이다. 학교존 녹지율이 높은 학교 대부분이 산기슭에 위치하고 있어 산림면적이 학교존 녹지율을 높이는데 기여한 것으로 분석되며, 산림녹지의 경우 식생활력 또한 기타 도심지에 조성된 조경수목식재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교존 녹지율이 낮은 학교들 대부분은 고밀 주택지 인근에 위치하고 있으며, 녹지의 식생활력 또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도시산림을 제외한 시가화지역에서 학교존 녹지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아파트단지내 조경녹지시설이며, 그 밖에 친환경적인 학교 옥외공간이나 가로공원 등 도시오픈스페이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하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도시계획적인 맥락에서 학교존 녹지율이 낮은 지역을 우선 대상으로 학교숲 조성사업을 지원하거나 주변지역의 옥상녹화를 장려하고, 학교주변 아파트단지내 녹지공간을 학교옥외공간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도시오픈스페이스로 개방하는 등의 체계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하겠다.